
- 롤러운전기능사 및 기중기운전기능사의 시험과목은?
- 롤러운전기능사는 도로, 활주로, 운동경기장, 제방 등 지반이나 지층을 다져주기 위해서 정지 명세서에 따라 흙, 돌, 자갈,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을 굳게 다지는 롤러를 운전하고 정비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롤러면허증 소지자는 롤러, 모터그레이더, 스크레이퍼, 아스팔트피니셔, 콘트리트피니셔, 콘트리트살포기 및 골재살포기를 조종할 수 있다.기중기운전기능사는 주로 대형 건설공사, 토목공사, 항만하역현장, 운송 및 창고업체 등의 현장에서 중량물을 인양하고 운반 및 적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이동식 크레인(카고크레인)이나 고소작업대(차량탑재형) 작업은 별도의 자격증 없이 누구나 할 수 있었지만 유해 · 위험작업의 취업 제한에 관한 규칙을 개정(2019.1.31.)하면서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중기운전기능사의 자격을 보유하거나 해당 장비의 신규자 교육과정(20시간)을 마치고 수료시험에 합격한 사람만 장비를 조종할 수 있다.두 시험 모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연령, 학력, 경력에 관계없이 응시가 가능하다. 자격증 시험은 1차는 필기, 2차는 실기로 시행된다.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선택형으로 총 60문항이 출제된다. 롤러운전기능사의 필기는 '건설기계기관, 전기·섀시·롤러작업장치, 유압일반, 건설기계관리법규, 안전관리'이며 기중기운전기능사 필기 과목은 '건설기계기관, 전기·섀시·기중기작업장치, 유압일반,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 안전관리'이다. 시험 시간은 60분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2차 실기는 필기 시험에 합격해야 응시가 가능하며 롤러운전기능사는 작업형으로 6분 정도, 기중기운전기능사는 기중기 운전작업 및 도로주행으로 기계식은 8분 유압식은 6분정도로 실시된다. 실기 또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 김상경 기자 | 2022-05-16 08:58:53

- 칼럼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실기까지 합격하려면 참고하기
-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실기까지 합격하려면 참고하기 반갑습니당~! 갈수록 산업구조의 대형화로 인해 소방대상물이 고층. 심층화되면서 화재위험도 역시 증가되고 있는 전망인데요. 고압가스나 위험물을 이용한 에너지소비량의 증가 등으로 인해 재해발생 위험요소가 많아지면서 소방 관련한 인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기에 소방설비산업기사 자격증에 대한 인기 올라가고 있습니다.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수행 직무와 취업 가능한 곳은? 소방설비산업기사는 소방시설공사 또는정비업체 등에서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를 시공, 관리, 점검, 정비 및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등의 방화관리자 직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분야는 전기와 기계분야로 나뉘는데 소방설비산업기사 기계 수행 직무로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소화기 / 옥내 / 외소화전 / 스프링클러 / 포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할론 소화설비 등을 담당하게 된다는 점 알려드립니다. 자격증 취득시에는 소방설비의 설계, 설치, 시공, 감리, 점검 등을 전문으로 하는 소방전문업체, 건물관리 용역회사, 전기공사 등으로 취업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소방설비사업기사 응시조건 확인하기 소방설비사업기사기계 분야 도전하기 위해서는 요구하는 응시자격에 해당되는 사람이어야만 하는데요.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로 나뉘는 점이오니 응시조건에 해당되는 부분 있는지 살펴보신 후 시험 대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 분야 다른 종목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 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 경기 대회 입상 관련학과 전공자 - 대졸(졸업 예정자) - 4년제 대학 4학년 1학기 이상 재학 및 졸업 -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 수준 훈련 과정 이수 + 실무 2년 이상 순수경력자 - 실무 경력 2년 이상(동일, 유사 분야)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시험 과목은?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실기까지 치러지는 점으로 1, 2차 어떠한 과목 있는지 살펴보시면 좋겠어요. 1차 필기 시험 과목 소방원론 . 소방유체역학 . 소방관계법규 .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래 2차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실기 과목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 로서 1, 2차 시험 모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받으면 합격하는데 1차 시험의 경우 과목당 40점 이상씩 얻어야하는데 한 과목이라도 과락 당할시에는 불합격처리 된다는 점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실기까지 합격하려면?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실기까지 합격하기 위한 학습법으로 인강을 추천드려보고자 합니다. 이 곳은 기계분야를 비롯해 전기분야까지 모두 대비할 수 있는 수업반 구성으로 1차부터 2차 과목까지 한 번에 공부해볼 수 있는 학습 구성 경험해 보고 싶다면 이
- 에듀채널 | 2022-05-16 08:39:17

- 철도토목기능사 변경된 시험과목은?
- 철도토목기능사는 열차의 안전운행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선로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선로가 항상 완전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각종 보선용 공구와 장비를 사용하여 선로 구조물을 점검, 보충, 수리하는 직무를 수행한다.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어 연령, 학력, 경력 등에 관계없이 준비가 가능하다. 2022년 부터 시험과목이 변경되어서 필기의 경우 기존에는 '철도 및 궤도일반, 측량학, 선로보수'로 실시가 되었으나 '철도궤도 부설 및 유지관리'로 변경되었다. 시험은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총 60문항이 출제되며 시험은 1시간동안 실시된다. 2차 실기는 '보선 작업'에서 '철도궤도 관리 실무'로 변경되었으며 시험은 작업형으로 2시간 동안 실시된다.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철도토목기능사를 취득한 후 일정 기간 이상 동일 직무분야에서 경력을 쌓으면 상위 자격증인 철도토목산업기사, 철도토목기사, 철도기술사 시험의 응시가 가능해진다. 기능사 자격증 소지 후 산업기사의 경우 1년, 기사는 3년, 기술사는 7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하다.
- 김문성 기자 | 2022-05-13 08:21:08

- 통신기기기능사 자격증 1차와 2차 시험과목은?
- 통신기기기능사는 라디오, 무전기, 유선전화, 휴대전화, 광통신기기, 데이터통신기기 등의 통신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이를 조립하는 작업을 하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및 네트워킹 등을 설치, 조정하여 접속이 잘 되었는지 시험하는 일을 담당한다. 또한 통신기기의 전송회로나 중계교환회로 등을 설치하고 고장이 난 경우 그 원인을 파악하여 수리, 보수하는 업무를 수행한다.자격증 시험에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나이, 경력, 학력과 관계없이 준비가 가능하다. 1차 필기는 전기전자공학, 전자계산기일반, 통신기기일반, 통신기기설비기준으로 4과목이며 전 과목에서 혼합하여 60문항이 출제된다. 객관식 4지택일형의 시험으로 1시간 동안 실시된다. 2차 실기는 통신기기설비 작업형으로 시험 시간은 3시간 30분이다. 1차와 2차 시험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합격하게 된다.통신기기기능사 시험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실시하며 시험일정과 시행지역 및 시험 시간을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강애림 기자 | 2022-05-13 08:04:31

- 통신선로기능사의 취업 분야는?
- 통신선로기능사는 통신설비가 필요한 지역에 통신공사용 장비 및 공구, 자재를 이용하여 통신구설비, 통신관로설비, 통신케이블 등의 통신선로 시설을 가설, 접속하는 작업을 한다. 또한 관련 보조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시험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며 통신선로를 운용하고 문제 발생의 원인을 찾아 유지, 보수한다.자격증 시험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며 필기와 실기로 실시된다. 1차는 객관식 4지택일형의 필기 시험으로 '전기전자개론, 전자계산기일반, 통신선로일반, 선로설비기준' 4과목이며 전 과목에서 혼합하여 60문항이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60분으로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2차는 '통신선로설비'에 대한 작업형 시험으로 시험 시간은 1시간이다. 마찬가지로 100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통신선로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한국통신, SK, LG 등 통신선로기술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업체, 구내통신선로나 기타 교환설비를 제작, 설치, 운영하는 업체로 취업이 가능하며 통신용 케이블공사를 시행하는 기업체 및 공공기관이나 통신선로 기자재 판매업체나 제조업체로도 진출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감리원의 자격이 주어지고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해 산업환경설비공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도 활동할 수 있다.
- 현경선 기자 | 2022-05-13 07:4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