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CBT , 각 부별 시험 시간은?
- 신재생에너지발전기사는 2013년도부터 시행이 되었으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한다. 1차로 시행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기사필기 시험은 모두 4과목이다. 1) 태양광발전 기획, 2) 태양광발전 설계, 3) 태양광발전 시공, 4) 태양광발전 운영이며 객관식 4지 선다형이라 한 문제에 4개의 보기가 주어진다. 과목마다 20문제씩 30분으로 총 80문항을 2시간동안 풀게 된다. CBT방식으로 응시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시험 당일 답안지를 제출하면 합격 여부를 알 수 있다. 필기 시험에 합격하려면,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전체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 되고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 되어야 한다.CBT 운영시간은 총 1부에서 8부까지이며 시험장에 따라 운영하는 시간과 회차에는 차이가 있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는 2시간 이하 종목으로 1,3,5부 또는 2,4,6부에 시행이 된다. 1부 입실은 8시 40분까지, 시작은 9시부터이며 2부 입실은 9시 40분, 시작은 10시, 3부 입실은 11시 10분까지, 시험 시작은 11시 30분부터이다. 4부 입실은 12시 40분, 시험은 13시부터이며 5부 입실은 14시 10분, 시험 시작은 14시 30분부터, 6부 입실은 15시 10분까지, 시험 시작은 15시 30분, 7부 입실시간은 16시 10분, 시작 시간은 16시 30분, 8부 입실은 16시 40분, 시험 시작 시간은 17시이다. 응시자는 시험 시작 시간이 아니라 입실시간에 맞춰 해당 시간안에 입실을 완료해야 한다. 시험이 시작되기 전에 수험자 교육 및 본인확인 등의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늦으면 입실이 불가하다.
- 심승희 기자 | 2023-10-20 09:13:35

- 2023년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제1회 실기 시험의 응시자 및 합격률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험이 시행된다.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가 되며, 필기는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시험과목은 '태양광발전 기획, 태양광발전 설계, 태양광발전 시공, 태양광발전 운영' 4과목이다. 총 80문항으로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전체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 되고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차 실기는 필기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시험과목은 '태양광발전설비 실무'로 주관식 필답형 방식이다. 시험 시간은 2시간 30분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참고로, 필기 시험에 합격했다면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은 필기 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다.2023년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시험은 정기기사 제1회, 제2회, 제4회에 실시가 되었다. 제1회 실기의 경우, 정기접수 기간은 3월 28일에서 3월 31일까지, 빈자리 접수 기간은 4월 16일에서 4월 17일까지였으며 실기 시험일은 4월 22일에서 5월 7일까지이다. 이 중 필답형은 4월 23일 일요일에 실시가 되었다. 접수인원은 934명, 응시인원은 777명이며 합격자는 512명으로 합격률은 65.9%로 높았던 편이다.
- 김상경 기자 | 2023-10-20 08:25:56

- 2023년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합격률, 회차별 차이는?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는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 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와 건축물, 시설 등을 기획, 설계, 시공, 운영, 유지, 보수하는 업무들을 수행한다. 2011.11.23. 고용노동부령 제35호에 의해 신설되어, 2013년부터 해당 자격증이 실시되고 있다. 자격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시행된다.필기는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① 태양광발전 기획, ② 태양광발전 설계, ③ 태양광발전 시공, ④ 태양광발전 운영 4과목이다. 과목마다 20문제씩 총 80문항이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으로 2시간동안 실시된다. 필기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각 과목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했을 때, 4과목의 전체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하며 과목당 점수가 40점 이상 되어야 한다. 평균 점수에서 아무리 고득점을 하더라도 어느 한 과목에서 40점 미만이 되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가 된다.2023년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시험은 정기기사 1회, 2회, 4회에 실시가 되었다. 각 회차에 따른 필기 시험 합격률을 확인해보면 제1회 필기 시험의 합격률은 58.9%, 제2회 필기 합격률은 56.5%, 제4회 필기 합격률은 56.6%로 대체적으로 높았던 편이다. 참고로 2020년도 필기 평균 합격률은 49.6%, 2021년도 필기는 38.6%, 2022년도 합격률은 44.1%이였다.
- 김문성 기자 | 2023-10-20 08:19:56

- 2023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회차별 시험일정
-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산업기사 시험은 연 3회씩 시행되는 자격제도이다. 2023년도 시험일정을 확인해보면, 정기기사 1회와 2회, 4회 일정에 따라 시행된다. 제1회 필기 접수 기간은 1.10~1.19, 빈자리 추가 접수는 2.7~2.8, 시험은 2.13~3.15에 시행되었고 실기 접수는 3.28~3.31, 추가 접수는 4.16~4.17, 필답형 시험은 4.23에 시행되었다. 제2회 필기 접수 기간은 4.17~4.20, 빈자리 접수기간은 5.7~5.8, 시험일은 5.13~6.4이며 실기 접수는 6.27~6.30, 추가접수는 7.16~7.17, 필답형 시험은 7.22에 실시되었다. 마지막 제4회 필기 접수는 8.7~8.10까지이고 추가 접수는 8.27~8.28, 시험은 9.2~9.17이며, 실기 접수는 10.10~10.13까지로 필답형 실기는 11.5에 시행될 예정이다.정기 원서접수는 4일간 실시된다. 보통 접수 첫날 10시부터 시작되어서 마지막 날 18시까지 신청할 수 있다. 단, 수험자가 몰릴 것을 대비해서 응시지역에 따라 접수 첫날 시간을 달리하기도 한다. 1회 필기의 경우, 수도권 지역의 접수 시작 시간은 오후 2시로 변경했고, 4회 필기 시험의 경우 수도권 외 지역은 오후 12시부터, 수도권 지역은 오후 2시부터 시작된다. 회차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접수 전에 공지되는 큐넷의 수험자 안내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추가로 시행되는 빈자리 접수의 경우는 정기 접수 이후 생긴 여석에 한해서만 신청할 수 있고 2일간만 실시된다. 선착순으로 접수되기 때문에 빠르게 마감될 수 있다.
- 강애림 기자 | 2023-07-28 09:05:20

- 2023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제1회 필기와 실기 합격률은?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는 2011년도에 신설되어, 2013년부터 실시되고있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설계 및 인허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작동상태를 감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업무 등을 수행하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이며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이론, 2. 태양광발전 시스템 시공, 3. 태양광발전 시스템 운영, 4. 신재생 에너지 관련 법규 총 4과목으로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 60점 이상이 되고,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차로 시행되는 실기 시험은 주관식 필답형 방식으로 '태양광발전설비 실무'과목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2022년도에 시행된 평균 합격률은 필기가 31.3%, 실기가 21.7%였으며, 2023년도 제1회에 실시된 채점결과를 확인해보면 770명 중에서 493명이 응시하여 그 중 174명에 합격, 합격률은 35.29%로 최근 평균보다 낮은 수치였다. 실기는 시험 대상자 459명, 응시자 372명, 합격자는 127명으로 합격률 34.13%로 지난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
- 한지영 기자 | 2023-07-05 07:53:16

- 2023년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실기 필답형 시험일정은?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는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기획, 설계, 시공, 운영, 유지 및 보수하는 업무 등을 수행한다. 자격증 취득자는 태양광 관련 업체 취업 시 우대받게 되며 전기공사업의 기술인력으로도 선임될 수 있다.자격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1차 필기는 ① 태양광발전 기획, ② 태양광발전 설계, ③ 태양광발전 시공, ④ 태양광발전 운영 4과목으로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시행되고, 2차 실기는 '태양광발전설비 실무' 과목으로 필답형으로 실시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필기는 과락없이 전체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하고, 실기는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실기 시험은 일 년간 총 3번의 응시기회가 있다. 2023년도 정기기사 1회, 2회, 4회차 일정에 따라 실시가 되며 제1회 실기 접수는 3.28~3.31, 추가 접수는 4.16~4.17이며 4.22~6.25 시험기간 중 4.23 일요일에 필답형이 시행된다. 제2회 실기 접수 기간은 6.27~6.30, 시험은 7.22~8.6 기간 중에 7.22 토요일에 실시가 되며, 제4회 실기 원서접수는 10.10~10.13까지로 시험은 11.4~11.17 중에서 11.5 일요일에 시행된다.
- 김상경 기자 | 2023-05-31 08:47:25
00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