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 (기계)

- 2023년도 소방설비산업기사 제2회 필기와 실기 합격률
- 소방설비산업기사 시험은 연 3회 실시된다. 회차에 따라서도 합격률에는 차이가 있는 편이다. 2023년도 시험의 경우 정기기사 1회, 2회, 4회에 실시가 되었다. 제1회 필기 원서접수는 1.10~1.19, 추가 접수는 2.7~2.8, 시험은 2.13~3.15에 실시되었고, 실기 접수는 3.28~3.31, 추가 접수는 4.16~4.17, 실기 시험은 4.22~5.7 일정중에서 4.23 일요일에 필답형이 실시되었다. 제2회 필기 정기접수는 4.17~4.20, 추가 접수는 5.7~5.8, 시험은 5.13~6.4이며 실기 접수는 6.27~6.30, 추가 접수는 7.16~7.17, 실기 시험은 7.22~8.6 중에서 7.22 토요일에 실시되었다. 제4회 필기의 정기 접수는 8.7~8.10, 추가 접수는 8.27~8.28이며 시험은 9.2~9.17 실시되고, 실기 접수는 10.10~10.13까지이며 11.4~11.17 중에서 필답형은 11.5에 일요일에 실시가 될 예정이다.2023년도 제1회 소방설비산업기사 시험 합격률을 확인해보면 전기분야 필기는, 47% 기계분야는 46%였고, 실기 합격률은 전기분야가 44%, 기계분야가 42% 였다. 제2회에 시행된 필기의 경우 전기분야가 43%, 기계분야가 37%였으며, 실기 시험은 전기분야가 21%, 기계분야가 29%로 1회차에 시행된 시험의 합격률이 높았던 편이다. 4회 시험일정은 진행중이기 때문에 필기 합격률 정보는 합격자 발표일인 9.22에, 실기 합격률은 12.13에 확인할 수 있다.
- 김상경 기자 | 2023-09-11 11:26:25

- 소방설비산업기사가 하는 일, 담당 업무는?
- 소방설비산업기사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에 따른 화재 예방과 초기진압에 중점을 두어 이와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정이 된 제도이다. 안전관리 분야에 해당하는 자격증으로 소방설비공사 또는 정비업체에서 소방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설비공사를 시공 및 관리하고 소방시설 점검·정비와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들을 담당한다.소방설비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면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히디. 대표적으로, 소방공사나 대한주택공사, 전기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이나 건설회사, 소방전문업체가 있으며 학계나 연구소로도 진출하기도 한다. '소방설계기술자'는 소방시설을 설계하고 소방관련 설비 설계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며, '소방공학기술자나 연구원'은 발주자가 의뢰한 건축시설물에 대해 소방 설계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 시공업자가 수행하는 소방설비의 설치여부에 대해 공정 및 품질관리를 담당하게 된다. '소방공학시험원'은 기존 설비 및 장비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제품 및 장비의 개발을 위해 각종 소방 설비, 장비, 부품을 시험·검사를 담당하며, '소방감리원'은 소방시설 설계를 감리하고 공사감리를 계획, 행정처리, 수행, 결과보고에 대한 업무를 한다.또한 다양한 자격이 부여된다.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방화관리자, 소방검사자(소방공무원 중 자격 취득자에 한함) 자격이 주어지고, 소방시설관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으로도 활용할 수 있고, 소방기본법에 의한 소방안전교육사 시험의 응시자격을 가지게 된다.
- 강애림 기자 | 2023-09-11 10:16:22

- 소방설비기사 실기 필답형의 회차별 시행일자는?
- 소방기사 자격증 시험은 1차는 필기, 2차는 실기로 시행되며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4개의 보기가 주어지고, 실기는 필답형으로 주관식으로 답안을 작성하게 된다. 소방기사 전기분야 필기 시험과목은 1. 소방원론 2. 소방전기일반 3. 소방관계법규 4.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이며 실기 과목은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실무', 기계분야 필기 과목은 1. 소방원론 2. 소방유체역학 3. 소방관계법규 4.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실기 과목은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실무'이다.필기 시험은 과목당 20문제로 총 80문항이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총 2시간으로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40점 이상을 받아야 하고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한다. 필답형 실기 시험은 약 3시간 동안 실시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최종적으로 합격하게 된다.소방설비기사 시험은 연 3회 시행이 되며, 2023년도 시험의 경우 정기기사 1회, 2회, 4회에 시행된다. 1회 필기는 2/13~3/15, 실기는 4/22~5/7, 제2회 필기는 5/13~6/4, 실기는 7/22~8/6, 제4회 필기는 9/2~9/17, 실기는 11/4~11/17에 실시된다. 실기의 경우는 필답형이기 때문에 정해진 일자에 맞춰 전국에서 동시에 시행된다. 제1회 필답형은 4/23 일요일, 제2회 필답형은 7/22 토요일에 실시가 되었고 제4회 필답형 실기는 11/5 일요일에 시행이 될 예정이다.
- 김문성 기자 | 2023-08-08 10:44:39

- 소방설비기사 취업 후 평균 연봉은?
- 소방설비기사는 주로 각종 건설회사, 소방설비의 설계·설치·시공·감리·점검 등을 전문으로 하는 소방전문업체 등으로 취업하는 편이다. 건물관리 용역회사, 소방기기 제조회사, 소방 시스템 개발회사, 각종 소방전문업체와 소방공사, 대한주택공사, 전기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으로의 취업도 가능하며 소방방재청의 소방공무원이나 소방관련 공공기관 또는 학계, 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도 있다. 또한 시설직렬의 건축 직류에서 채용계급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소방설비기사 취득 후 취업을 하는 경우 근무처와 경력 유무 등에 따라 연봉에는 차이가 있다. 소방공학기술자나 연구원으로 진출을 하게 된다면 평균적인 연봉은 상위 25%가 4,326만원, 중위 50%가 3,715만원, 하위 25%가 3,108만원이며 최근 인천 동구에 위치한 소방시설 및 설비시공 기술자 채용의 경우, 최소 경력 1년 이상으로 연봉은 2,700~3,400만원이다.소방기사 취업 및 채용 정보는 큐넷 소방설비기사 페이지의 일자리정보 메뉴에서도 간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8월을 기준으로 경기 화성시의 한 유통업체는 월급 326만원 이상, 부산 서구에 위치한 회사는 연봉 4,300만원 이상,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엔지니어링 회사에서는 대졸자로 연봉 3,320만원 이상, 서울 서초구의 소방회사에서는 연봉 3,000~4,000만원 이상, 경기 김포시의 회사는 고졸자로 월급 300만원 이상, 충북 청주시의 방재회사는 고졸자로 연봉 3,200만원으로 등록이 되어 있었다. 채용 사이트의 소방기사 취업 정보를 확인해보면 울산 남구의 채용 공고에서는 소방설비기사 자격증 필수로 경력은 무관하며 연봉은 3,000만원 이상, 광주 광산구의 채용의 경우는 소방기사 자격증 우대로 최소 경력 2년 이상 경력자로 월급은 300만원~500만원, 경기도 화성시 소방공사 현장직 채용의 경우 경력무과으로 월급 300만원 이상, 강원 원주시 소방시설공사 기술자는 최소 3년 이상의 경력자 채용으로 연봉은 3,500~5,000만원으로 등록이 되어 있다. 이처럼 채용 사이트를 통해 근무지와 채용 조건 및 연봉 정보를 어렵지 않게 참고해 볼 수 있다.
- 강애림 기자 | 2023-08-08 09:55:05

- 소방기사의 업무와 분야별 차이는?
- 소방설비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서 취업 뿐만 아니라 보수나 승진 시 우대가 되는 자격제도이다. 건물이 점차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되어 감에 따라 화재발생 시 진화보다 화재 예방과 초기진압에 중점을 둠으로써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격제도가 제정하였다.소방기사는 소방시설공사 또는 정비업체 등에서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를 시공, 관리하며, 소방시설의 점검·정비,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를 수행한다. 소방기사는 기계분야와 전기분야로 구분이 되며 담당하는 분야에 차이가 있으며 시험과목에도 차이가 있다.기계분야의 소방설비기사는 기계계통으로 작동하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소화기, 옥내, 외소화전, 스프링클러,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등을 담당하며 전기분야의 소방설비기사는 전기계통으로 작동하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 설비, 비상콘센트 설비, 비상조명 설비, 전기화재경보기 등을 담당한다.
- 현경선 기자 | 2023-08-08 09:01:03

- 소방설비산업기사 1차 필기 시험 면제 기간은?
- 소방설비산업기사 자격증 시험은 소방설비와 관련된 자격증 중에서도 첫번째 단계에 해당하며,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일정 경력이 생기면 상위 자격증인 소방설비기사, 소방기술사의 응시가 가능해진다. 자격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이 되며 필기는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1문제에 4개의 보기가 주어진다. 전기분야의 시험과목은 ① 소방원론, ② 소방전기일반, ③ 소방관계법규, ④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이며, 기계분야의 시험과목은 ① 소방원론, ② 소방유체역학, ③ 소방관계법규, ④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로 4과목이다. 필기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대상으로 실기 응시가 가능하며, 실기 시험은 주관식 필답형이다. 전기분야 시험과목은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실무', 기계분야 시험과목은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실무'로 실시된다.소방설비산업기사 시험은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필기 전 과목의 평균이 60점 이상 되고,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필기 합격자는 대상으로 응시자격을 확인하게 되며, 실기 또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 필기 시험에 합격하면 필기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은 1차 필기를 면제받게 된다. 만약 해당 기간이 지나면 다시 1차 필기 시험부터 응시를 해야 한다.
- 김상경 기자 | 2023-07-21 10:40:38

- 2023년도 소방설비산업기사 기계분야 제1회 필기 합격률은?
- 소방설비산업기사는 안전관리 분야에 관한 국가기술자격 제도로 소방설비에 관한 자격종류에는 기계분야의 소방설비산업기사, 소방설비기사와 전기분야의 소방설비산업기사, 소방설비기사가 있다. 기계분야의 소방설비산업기사는 기계계통으로 작동하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소화기, 옥내, 외소화전, 스프링클러,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등을 담당하게 되며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1차로 시행되는 소방설비산업기사 기게분야 필기는 1) 소방원론 2) 소방유체역학 3) 소방관계법규 4)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로 4과목이고, 과목마다 20문제씩 총 80문제로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시행된다. 2차 실기는 주관식으로 답을 작성하는 필답형 방식이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필기는 과락없이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하며 실기는 필답형에서 총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2023년도 시험은 정기기사 제1회, 제2회, 제4회로 총 3회 실시가 되며 제1회 필기 시험은 2월 13일에서 3월 15일까지 실시되어 결과가 발표되었다. 제1회에 시행된 소방설비산업기사 기계분야 필기의 경우 대상자는 2,116명, 응시자는 1,440명, 합격자는 638명이였으며 합격률은 45.57%로 평균보다 높았다.
- 강애림 기자 | 2023-07-21 08:19:02
0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