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무원 전산직

- 군무원 응시생이라면 확인해야 할 사항들
- 군무원은 다양한 직군과 직렬로 구성이 되어 있어서 행정, 군사정보, 전기 및 전자, 총포, 탄약, 한해, 병리, 사이버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 군무원은 특정직 군무원으로 분류가 되며 군인과 함께 근무를 하게 되고 보수나 복지혜택은 모두 공무원과 동일하게 받게된다. 군무원 시험은 전국에서 동시에 실시가 되기 때문에 중복 응시가 불가하다. 국방부, 육군, 해군·해병대, 공군 중 하나에 부대에 접수를 해야 하며 만약 중복 접수가 확인이 되는 경우 접수 일시를 기준으로 확인하여 나중에 접수한 원서를 취소하게 된다. 또한 일반모집과 장애인 구분모집 간 복수 접수가 불가하다. 군무원 원서접수 시, 개인별 입력자료는 빠짐없이 정확히 입력해야 한다. 개인 정보에는 이름, 연락처, 한국사·영어능력검정시험 성적, 자격·면허증 취득정보, 사회소외계층 여부 등이 해당한다. 또한 원서접수 시, 접수 기간동안 응시료 결제전까지는 원서 수정이 가능하지만 수수료를 결제한 후에는 응시번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하다. 만약 수정이 필요하다면 취소 후에 재접수를 해야 한다. 접수 이후에는 필기 시험 장소 변경은 불가하며 해당지역의 시험관리 사정에 따라 시험지역이 변경될 수는 있다. 시험이 종료되고 서류전형이나 필기, 면접 시험의 결과가 발표될 때는 응시번호만 표기가 되기 때문에 본인의 응시번호를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경채 시험의 경우, 경우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이 있으며 이는 해당 기간안에 반드시 등기우편으로 제출을 해야 한다. 미제출 시 불합격으로 처리가 된다. 군무원 면접 시험은 필기 합격자를 대상으로 시행이 되며 만약 면접결과 적격자가 없다면 합격자를 선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면접 응시자수가 선발예정인원에 미달하는 경우 추가로 필기시험 합격자를 결정해서 추가 면접이 시행될 수도 있고, 최종 합격자가 채용후보자 등록을 하지 않거나 임용을 포기하는 등 결원이 생길경우 최종합격자 발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추가 합격자를 선발할 수 있다. 면접까지 합격을 했다면 신원조사 및 채용신체검사 등을 거쳐 결격사유가 있는지 확인하게 되고 만약 문제가 있다면 임용되지 않을 수 있다. 임용후보자가 되면 약 2주간의 기본교육을 받아야 하며 구체적인 내용들은 최종합격자 발표 시 안내가 된다. 군무원 시험 응시에 대한 주의사항들은 각 부대의 채용시험 계획 공고문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는 매 4월이면 발표가 되며, 해당 공고를 통해 채용예정인원과 구체적인 시험일정도 확인할 수 있다.
- 현경선 기자 | 2023-11-03 10:52:45

- 2023년 국방부 군무원 직렬별 필기 커트라인 점수는?
- 2023년도 국방부 군무원 시험의 필기 시험은 7.15(토)에 실시가 되으며 원서접수는 5.8(월)~5.11(목)까지다. 공채의 경우 284명, 경채는 31명을 채용했으며 9급 공채의 경우, 행정직 40명, 기술정보직 43명, 군사정보직 7명, 수사직 2명, 토목직 1명, 건축직 13명, 시설직 10명, 전기직 5명, 전자직 6명, 통신직 42명, 전산직 18명, 사이버직 14명, 지도직 6명, 영상직 3명, 일반기계직 1명, 화학분석직 2명, 탄약직 9명, 차량직 1명, 인쇄직 16명, 병리직 2명, 방사선직 3명, 치무직 2명, 재활치료직 1명으로 총 247명을, 7급 공채의 경우는 행정직 1명, 사서직 2명, 군사정보직 8명, 토목직 3명, 건축직 4명, 환경직 1명, 전기직 1명, 통신직 1명, 전산직 1명, 영상직 14명, 일반기계직 1명으로 총 37명을 선발했다.국방부 군무원 필기 시험의 커트라인 점수는 직렬에 따른 차이가 크다. 2023년도 시험의 경우, 수사직이 경쟁률이 가장 높았으며 필기 합격선 또한 90.67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경쟁률이 높았던 행정직의 커트라인은 89.33점이였으며 다음으로는 화학분석직이 83.67점, 전산직이 80점으로 높았따. 지도직은 77점, 사이버직 72.67점, 병리직은 72점, 차량직 71점으로 해당 직렬은 70점대였고, 군사정보직과 치무직은 69.33점, 기술정보직과 영상직은 68점, 일반기계직 67.67점, 방사선직 66.67점, 토목직은 65.67점, 재활치료직은 65.33점, 건축직은 63.67점, 인쇄직 61.33점으로 60점대의 커트라인이었다. 50점대 합격선의 직렬로는 탄약직이 54.67점, 시설직이 51.67점였고, 40점대 합격선으로는 전자직 49점, 통신직 46.67점으로 두 직렬의 커트라인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 한지영 기자 | 2023-11-03 09:44:48

- 2023년도에 실시된 육군 군무원의 직렬별 경쟁률은?
- 군무원은 군부대에서 군인과 함께 근무를 하는 특정직 국가공무원으로 분류된다. 국방부, 공군, 해군, 해병대보다 육군 군무원의 채용 규모가 큰 편이며. 2023년도 올해 공채 선발인원은 총 2,528명으로 7급은 227명, 9급은 2,301명, 경채는 142명을 선발했다. 9급 군무원 공채의 직렬별 채용인원을 확인해보면 행정직 246명, 군수직 519명, 사서직 1명, 군사정보직 43명, 수사직 12명, 건축직 11명, 시설직 88명, 환경직 16명, 전기직 41명, 전자직 100명, 전산직 95명, 사이버직 31명, 통신직 220명, 지도직 8명, 영상직 5명, 인쇄직 3명, 일반기계직 8명, 용접직 1명, 물리분석직 2명, 화학분석 6명, 유도무기 117명, 총포 84명, 탄약 131명, 전차 89명, 차량 295명, 기체 46명, 항공기관 39명, 항공보기 2명, 방사선 3명, 병리 8명, 의공 7명, 영양관리직 12명, 재활치료직 5명, 치무직 7명으로 군수직의 선발예정인원이 가장 많았다.2023년도 육군 군무원 필기 시험은 7월 15일 토요일에 시행이 되었으며, 원서접수 인원으로 파악한 경쟁률을 확인해보면 행정직 38.7:1, 군수직 6.2:1, 사서직 120:1, 군사정보 10.3:1, 수사직 64:1, 건축직 9.7:1, 시설직 1.7:1, 환경직 10.9:1, 전기직 6.4:1, 전자직 1.6:1, 전산직 6.8:1, 사이버직 3.3:1, 통신직 3:1, 지도직 5.5:1, 영상직 11.6:1, 인쇄직 2.3:1, 일반기계직 17.5:1, 용접직 10:1, 물리분석직 2:1, 화학분석직 11.3:1, 유도무기직 2.6:1, 총포직 1.8:1, 탄약직 2.1:1, 전차직 3.7:1, 차량직 3.5:1, 기체직 3.3:1, 항공기관직 2.2:1, 항공보기직 5:1, 방사선직 7:1, 병리직 8.4:1, 의공직 3.9:1, 영양관리직 11.3:1, 재활치료직 18.8:1, 치무직 13:1로 평균 경쟁률은 계산해보면 경쟁률은 8.5:1이다. 사서직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수사직과 행정직이 높았다.
- 심승희 기자 | 2023-11-03 08:38:27

- 공군 군무원 채용 시, 최종 합격자 결정기준
- 군무원은 행정, 건축, 환경, 전기, 전자, 통신, 총포, 탄약, 항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을 하고 있다. 군부대에서 군인과 함께 근무를 하는 공무원으로 특정직 공무원으로 분류되며 근무처는 국방부와 육군, 해군, 공군 본부 및 예하부대로 매년 각 부대에서 채용을 진행한다. 공군 군무원의 경우 행정, 시설, 정보통신, 공업, 함정, 항공, 기상, 보건, 관리운영직군이 있으며 각 직군마다 업무별로 세부 직렬로 나누어진다.군무원 공채의 경우 1차는 필기시험, 2차는 면접으로 시행되며 필기는 9급을 기준으로 5과목이다. 공통과목으로 국어, 영어, 한국사가 포함되며 영어와 한국사는 대체시험으로 실시된다. 영어의 경우, 토익, 토플, 펠트, 지텔프, 텝스, 플렉스 중 하나로 준비를 하면 되고, 한국사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가 된다. 필기의 경우 과목당 만점의 40% 이상을 득점해야 하며 총 점수가 높아도 어느 한 과목에서 과락이 되면 불합격이 된다. 면접 또한 평균 점수가 15점 이상 되어야 합격이며 면접위원의 과반수가 2개 이상의 평정요소에 대하여 '가'로 평정한 경우 또는 어느 하나의 평정요소에 대하여 면접위원의 과반수가 '가'로 평정한 경우 불합격이 된다. 공군 군무원의 최종 합격자는 필기 시험 50%와 면접 50%의 비중으로 이를 합산하여 높은 순으로 결정된다.
- 한지영 기자 | 2023-09-25 15:54:14

- 2023년도 공군 군무원 직렬별 합격선, 커트라인 점수
- 2023년도 공군 군무원의 구체적인 시험 공고문은 4월 14일에 발표가 되었고, 원서접수는 5월 8일~11일까지 4일간이였으며 시험은 7월 15일 토요일에 실시가 되었다. 구체적인 시험 장소는 6월 29일에 발표가 되었으며 필기의 합격자는 8월 18일 금요일에 공고되어, 합격자를 대상으로 9월 19일~22일까지 면접이 실시되었다. 최종합격자는 10월 6일 금요일에 발표가 될 예정이다.올해 공군군무원 채용인원은 공채의 경우 9급 125명, 7급 116명으로 총 241명이었다. 9급 공채 시험을 기준으로 선발예정인원은 행정직 14명, 사서직 1명, 군수직 31명, 군사정보직 3명, 수사직 2명, 건축직 4명, 시설직 4명, 전기직 3명, 전자직 5명, 통신직 16명, 사이버직 8명, 영상직 1명, 일반기계직 4명, 용접직 3명, 물리분석직 2명, 화학분석직 1명, 탄약직 1명, 차량직 5명, 기체직 1명, 항공기관직 2명, 항공지원직 3명, 기상직 4명, 기상예보직 5명, 영양관리직 2명을 선발했고, 장애인 전형으로는 군수직 12명, 전기직 7명, 전자직 4명, 사이버직 2명, 선체직 7명, 선거직 8명, 함정기관직 8명이었다. 각 직렬에 따른 합격선은 행정직 86.66점, 사서직은 73.33점, 군수직 80점, 군사정보직 66.66점, 수사직은 86.66점, 건축직은 63.66점, 시설직은 54.66점, 전기직은 69.33점, 전자직은 61.33점, 통신직은 55.66점, 사이버직은 68점, 영상직은 64.33점, 일반기계직은 73점, 용접직은 57.66점, 물리분석직은 69점, 화학분석직은 83.66점, 탄약직은 53.33점, 차량직은 77.33점, 기체직은 49점, 항공기관직은 71.66점, 항공지원직은 52점, 기상직은 44점, 기상예보직 69점, 영양관리직은 64점이다.
- 김문성 기자 | 2023-09-25 13:01:47

- 공군 군무원 시험의 응시자격 조건은?
- 군무원은 특정직 공무원으로 국방부 직할기간 및 부대, 합동참모본부, 육군와 해군, 공군의 각급 부대에서 국방정책·연구·작전 등의 행정 분야, 장비 ·보급·수송 등의 군수지원 분야, 일반 전투 지원 분야의 업무를 담당한다. 매년 채용인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상대적으로 타 공무원 시험에 비해 수험기간이 짧고 경쟁률이 낮은 편이다. 군무원 시험은 매년 시행이 되며 시기마다 채용인원에는 차이가 있으며 직렬에 따라서도 모집인원과 응시자격 및 시험과목이 모두 다르다.공군 군무원은 8급 이하는 18세 이상, 7급 이상은 20세 이상부터 응시가 가능하다. 공채 시험의 경우 특별한 자격제한은 없지만, '사서, 환경, 전산, 사이버, 항해, 약무, 병리, 방사선, 치무, 재활치료, 의무기록, 영양관리' 직렬의 경우 관련 자격증이나 면허가 있어야 응시가 가능하다. 필기 시험과목 중 공통과목인 영어와 한국사는 각각 대체시험으로 시행이 된다. 영어는 응시 당해 연도로부터 3년 이내 성적이어야 하며 한국사는 응시당해 연도로부터 4년 이내 성적이어야 인정된다.
- 현경선 기자 | 2023-09-25 11:04:36

- 공군 군무원의 각 직군과 해당하는 직렬
- 군무원은 특정직 국가공무원으로 군부대에서 군인과 함께 근무를 하며 담당하는 직렬에 따라 기술, 연구, 행정 등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근무처에 따라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분된다. 각 부대에서 채용을 진행하기 때문에 반드시 해당 부대의 공고문을 확인하여 시험을 준비해야 한다. 공군 군무원은 크게 행정직군, 시설직군, 정보통신, 공업직군, 함정직군, 항공직군, 기상직군, 보건직군, 관리운영 직군으로 구분이 되며 각 직군에 따라 다양한 직렬이 포함된다. '행정직군'에는 행정, 사서, 군수, 군사정보, 기술정보, 수사직렬이 해당하며, '시설직군'에는 토목, 건축, 시설, 환경직렬, '정보통신' 직군에는 전기, 전자, 통신, 전산, 지도, 영상직렬, '공업직군'에는 일반기계, 금속, 용접, 물리분석, 화학분석, 유도무기, 총포, 탄약, 전차, 차량, 인쇄직렬, '함정직군'에는 선체, 선거, 항해, 함정기관, 잠수 직렬, '항공직군'에는 기체, 항공기관, 항공보기, 항공지원, '기상직군'에는 기상, 기상예보, '보건직군'에는 약무, 병리, 방사선, 치무, 재활치료, 의무기록, 의공, 영양관리 직렬이, '관리운영' 직군에는 전산운영, 발간운영, 사무운영, 병참운영, 탄약운영, 조견운영, 사육운영, 이·미용 운영, 조리운영, 보건운영, 시설운영, 통신운영, 목공운영, 교환운영, 운전운영, 기계운영, 전기운영이 해당한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지만, 직렬에 따라 업무의 특성상 사서, 환경, 전산, 항해, 약무, 병리, 방사선, 치무, 재활치료, 의무기록, 영양관리직은 관련 자격증이나 면허가 있어야 응시가 가능하다.
- 한지영 기자 | 2023-09-25 09:38:45

- 해군 군무원 각 직렬별 필기 합격 커트라인 점수는?
- 군무원은 매년 꾸준한 채용인원을 유지하고 있어 일반 공무원보다 경쟁률이 낮은 편이다. 시험은 연 1회로 2023년도 해군 군무원은 247명을 선발한다. 2022년도 채용인원은 총 519명으로 올해가 더 적은 편이다. 2023년도 필기 시험은 7월 15일에 시행되어 8월 18일에 결과가 발표되었다. 각 직렬에 따른 필기 합격 커트라인 점수는 행정직 90.66점, 사서직 77.33점, 군수직 82.66점, 군사정보직 66.66점, 기술정보직 60점, 수사직 80점, 토목직 72점, 건축직 58.66점, 시설직 69.33점, 환경직 65.33점, 전기직 63점, 전자직 51.66점, 통신직 52점, 사이버직 69.33점, 영상직 83점, 일반기계직 73점, 금속직 56점, 물리분석직 71.66점, 화학분석직 74.66점, 유도무기직 61.33점, 총포직 65.66점, 탄약직 64점, 차량직 62.66점, 선체직 53.33점, 선거직 52점, 항해직 73.33점, 함정기관직 42.66점, 잠수직 64.33점, 기체직 77점, 항공기관직 56점, 항공보기직 64점, 항공지원직 합격자 없음, 병리직 68점, 방사선직 68점, 의무기록직 80점, 영양관리직 64점으로 발표되었다.해군 군무원의 '행정직'이 경쟁률도 높고 커트라인 점수도 90.66점으로 가장 높았다. 군수직, 수사직, 영상직, 의무기록직 또한 합격선이 80점대로 높은 편이었으며, 사서직, 토목직, 일반기계직, 물리분석직, 화학분석직, 항해직, 기체직은 70점대였고, 군사정보, 기술정보, 시설, 환경, 전기, 사이버, 유도무기, 총포, 탄약, 차량, 잠수, 항공보기, 병리, 방사선, 영양관리직은 60점대, 건축, 전자, 통신, 금속, 선체, 선거, 항공기관은 50점대였고 함정기관이 40점대로 가장 낮았다.면접 시험은 9월 19일부터 9월 22까지 4일간 시행되며, 구체적인 시험 장소는 9월 7일에 발표가 된다. 면접 시험이 끝난 이후 최종 합격자는 10월 6일 금요일에 발표 되며 11월 1일 수요일 이후부터 임용이 시작될 예정이다.
- 김상경 기자 | 2023-08-28 12:03:56

- 2023년도 해군 군무원 공채 9급 선발인원과 경쟁률은?
- 군무원은 행정직, 시설직, 정보통신직, 공업직, 함정직, 항공직, 보건직, 공업기상직 등 다양한 직군 및 직렬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직렬에 따른 응시자격과 시험과목이 다르기 때문에 준비하는 직렬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군무원은 군인과 부대에서 근무를 함께 하는 특정직 공무원이며 2023년도의 경우 총 247명을 채용한다. 공채는 총 211명으로 9급 201명과 7급 10명을 선발하고, 경채의 경우 18명으로 8급 2명, 7급 8명, 6급은 8명, 지역 구분 모집의 경채는 9급 10명, 8급 1명을 채용한다.9급 공채를 기준으로 직렬별 채용인원은 행정 5명, 사서 1명, 군수 10명, 군사정보 2명, 기술정보 1명, 수사 1명, 토목 1명, 건축 1명, 시설 3명, 환경 4명, 전기 16명, 전자 11명, 사이버 6명, 영상 1명, 일반기계 5명, 금속 2명, 물리분석 2명, 화학분석 1명, 유도무기 5명, 총포 1명, 탄약 19명, 차량 9명, 선체 18명, 선거 21명, 항해 2명, 함정기관 19명, 잠수 2명, 기체 3명, 항공기관 2명, 항공보기 7명, 항공지원 2명, 병리 1명, 방사선 2명, 의무기록 1명, 영양관리 1명이다.채용인원과 응시인원을 통해 경쟁률을 확인해보면 행정직 103.4:1, 사서직 47:1, 군수직 20.7:1, 군사정보직 12.5:1, 기술정보직 7.0:1, 수사직 34.0:1, 토목직 42.0:1, 건축직 12.0:1, 시설직 8.3:1, 환경직 8.0:1, 전기직 5.9:1, 전자직 4.9:1, 통신직 4.3:1, 사이버직 4.7:1, 영상직 15.0:1, 일반기계직 7.0:1, 금속직 5.5:1, 물리분석직 7.0:1, 화학분석직 9.0:1, 유도무기직 9.4:1, 총포직 7.0:1, 탄약직 6.6:1, 차량직 5.3:1, 선체직 1.2:1, 선거직 1.0:1, 항해직 16.5:1, 함적기과직 4.1:1, 잠수직 4.0:1, 기체직 1.3:1, 항공기관직 5.5:1, 항공보기직 4.3:1, 항공지원직 4.0:1, 병리직 14.0:1, 방사선직 11.0:1, 의무기록직 34.0:1, 영양관리직 8.0:1로 행정직의 경쟁률이 가장 높다. 장애인 구분모집의 경우 군수직 0.5:1, 전기직 0.3:1이며 나머지 전자, 사이버, 선체, 선거, 함정기관직에는 응시인원이 없다.
- 강애림 기자 | 2023-08-28 10:19:45

- 2023년도 해군 군무원 채용 일정은?
- 해군 군무원 시험은 연 1회 시행이 되며 매해 비슷한 시기에 시행된다. 필기 시험 일자를 포함한 대략적인 일정은 1월에 알 수 있으며, 구체적인 채용인원 및 시험일정에 대한 정보는 4월에 공고된다. 또한 해군 군무원 시험을 포함한 국방부, 육군, 공군 채용시험은 같은 일자에 시행이 되기 때문에 중복 접수가 불가하다. 2023년도 해군 군무원의 경우, 원서접수 기간은 5/8(월)~5/11(목)까지 실시되었으며 경채 채용의 서류접수 기간은 5/16(화)~5/18(목)까지였고 필기 시험 장소는 6/29(목)에 공고가 되어 시험은 7/15(토)에 시행되었다. 합격 결과는 8/18(금)에 공지가 되었으며 면접 시험은 9/19(화)~9/22(금)까지 시행 될 예정이다. 면접 시험 장소 공고는 9/7(목)에 발표가 되며 최종 합격자는 10/6(금)에 공지가 될 예정으로 11/1(수) 이후로 임용된다.2023년도 해군 군무원의 채용인원은 총 247명으로 공채 211명, 경채 18명, 국방부 직할부대 7명을 선발하며 그 중 공채의 경우 총 211명으로 7급 10명, 9급 201명을 선발한다. 학력이나 전공, 경력에 관계없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하지만, '사서직, 환경직, 사이버직, 항해직, 병리직, 방사성직, 의무기록직, 영양관리직'은 관련 자격증이나 면허가 있어야 응시가 가능하다.
- 현경선 기자 | 2023-08-28 08:31:50
10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