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사

- 2023년도 전기기능사 필기 시험의 회차별 합격률은?
- 전기기능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으로 큐넷에서 시험일정과 주요 공지에 대해 확인이 가능하다. 전기기능사는 정기기능사 일정에 따라 1회에서 4회까지 연 4회 실시가 된다. 제1회 필기 정기접수는 1/9~1/12, 추가접수는 1/22~1/23까지였고 시험은 1/28~2/1에 실시가 되었고, 제2회 필기 접수는 3/13~3/16, 빈자리 접수는 4/2~4/3, 시험일은 4/8~4/12, 제3회 필기 정기접수는 5/22~5/25, 빈자리 접수는 6/18~6/19, 시험은 6/24~6/29까지, 제4회 필기 정기접수는 8/28~8/31, 추가접수는 9/13~9/14, 시험일은 9/19~9/24에 실시되었다.회차별 결과를 살펴보면 제1회 필기 접수자는 17,173명 응시자는 13,600명, 합격자는 5,129명으로 합격률은 '37.7%', 제2회 전기기능사 필기 접수인원은 18,373명 응시자는 14,460명 합격자는 4,969명으로 합격률은 '34.36%', 제3회 필기 접수자는 20,140명 응시자는 15,210명 합격자는 5,127명으로 합격률은 '33.7%', 제4회 시험 접수인원은 22,479명 응시자는 16,969명 합격자는 5,817명으로 합격률은 '34.2%'이다. 상대적으로 1회에 시행된 시험의 합격률이 높았던 편이며 응시인원은 마지막 4회차에 가장 많았다.전기기능사 필기 시험은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로 3과목이며 객관식 4지 선다형 방식으로 실시가 된다. 총 60문항이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60분으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 시험에는 응시자격 제한이 없어 학력, 경력, 전공과 무관하게 응시가 가능하다.
- 심승희 기자 | 2023-11-07 08:15:05

- 2024년부터 적용되는 전기기능사 필기 시험과목의 출제기준
- 전기기능사는 전기에 필요한 장비와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관리하는 업무를 수하며 전기기사와 관련된 자격증 중에서 첫 단계에 해당한다. 자격시험에는 응시자격 제한이 없으며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시행된다. 필기 시험과목은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3과목이며 총 60문항으며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실시된다.전기기능사 필기 시험에서 출제되는 내용들은 출제기준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적용되는 전기기능사 필기의 주요 및 세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전기의 성질과 전하에 의한 전기장' 항목에서는 전기 본질(원자, 분자, 도체, 부도체, 단위계), 정전기 성질 및 특수현상, 콘덴서(커패시터), 전기장과 전위, '자기의 성질과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서는 자석에 의한 자기현상(영구자석과 전자석, 자석 성질과 용도·기능·쿨롱 법칙·성질), 전류에 의한 자기현상(전류에 의한 자기장, 자기력선 방향 등), 자기회로(자기저항, 자속밀도), '전자력과 전자유도'에서는 전자력, 전자유도(전자유도작용, 자기유도, 상호유도작용, 코일 접속, 전자에너지), '직류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 전기저항, '교류회로'에서는 정현파 교류회로, 3상 교류회로, 비정현파 교류회로, '전류의 열작용과 화학작용'에서는 전류 열작용(전류 발열작용, 전력량과 전력), 전류의 화학작용(전류의 화학작용, 전지 등), '변압기'에서는 변압기 구조와 원리, 이론과 특성, 결선, 병렬운전, 시험 및 보수, '직류기'에서는 직류기 원리와 구조, 직류발전기·직류전동기의 종류와 특성, 이론과 용도, 직류기 시험법, '유도전동기'에서는 유도전동기 원리와 구조, 속도제어 및 용도, '동기기'에서는 동기기 원리와 구조, 동기발전기의 이론 및 특성, 병렬운전, 동기전동기 운전, '정류기 및 제어기기' 항목에서는 정류용 반도체 소자, 정류회로의 특성, 제어 정류기, 사이리스터의 응용회로, 제어기 및 제어장치, '보호계전기'에서는 보호계전기의 종류와 특성, '배선재료 및 공구'에서는 전선과 케이블, 배전재료, 전기설비 공구, '전선접속'에서는 전선 피복 벗기기, 전선 접속방법, 전선과 기구단자와의 접속, '배선설비공사 및 전선허용전류 계산'에서는 전선관시스템, 케이블트렁킹시스템, 케이블덕팅시스템, 케이블트레이시스템, 케이블공사, 저압 옥내배선 공사, 특고압 옥내배선 공사, 전선 허용전류, '전선 및 기계기구의 보안공사'에서는 전선 및 전선로의 보안, 과전류 차단기 설치공사, 각종 전기기기 설치 및 보안공사, 점지공사, 피뢰설비 설치공사, '가공인입선 및 배전선 공사'에서는 가공인입선 공사, 배전선로용 재료와 기구, 장주, 건주 및 가선, 주상기기 설치, '고압 및 저압 배전반 공사'에서는 배전반 공사와 분전반 공사, '특수장소 공사'에서는 먼지가 많은 장소, 위험물이 있는 곳의 공사, 가연성 가스·부식성 가스가 있는 곳, 흥행장, 광산, 기타 위험장소의 공사, '전기응용시설
- 한지영 기자 | 2023-10-17 09:30:03

- 전기기능사 필기 시험의 합격기준과 최근 합격률 추이는?
- 전기기능사는 전기기사 자격증에서 가장 첫단계에 해당하는 시험으로 특별한 응시자격의 제한없이 누구나 준비가 가능하고 활용도가 높아 매년 많은 분들이 응시하고 있다.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1차와 2차로 시행된다. 1차 전기기능사 필기는 객관식 4지 선다형 방식으로 한 문제에 4개의 보기가 주어진다. 시험과목은 3과목으로 '① 전기이론, ② 전기기기, ③ 전기설비'이며 총 60문제가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60분이며 CBT로 시행되는 시험이라 컴퓨터로 응시하게 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하며 과락은 적용되지 않는다.2018~2022년까지의 전기기능사 필기 평균 합격률을 확인해보면, 2018년도 필기는 31.1%, 2019년도 필기는 31.2%, 2020년도 필기는 37.2%, 2021년도 필기는 34.3%, 2022년도 필기는 33.5%로 평균 30% 대를 유지하고 있다. 작업형 실기의 평균 합격률은 6~70%로 필기와 차이가 큰 편이다. 전기기능사 시험은 연 4회 시행이 되어 응시기회가 많다. 2023년도 시험의 경우 제1회 전기기능사 필기 원서접수 기간은 1/9~1/12, 추가 접수 기간은 1/22~1/23까지였으며 시험은 1/28~2/1에 시행되어서 2/8에 결과가 나왔다. 제2회 필기 원서접수 기간은 3/13~3/16, 추가접수는 4/2~4/3, 시험일은 4/8~4/12, 결과는 4/19에 나왔으며, 제3회 필기 원서접수 기간은 5/22~5/25, 추가 접수기간은 6/18~6/19, 시험일은 6/24~6/29이며 결과는 7/6에 발표되었다. 제4회 필기 원서접수 기간은 8/28~8/31이며 추가접수는 9/13~9/14까지로 시험은 9/19~9/24에 실시되어 10/11에 결과가 발표되었다. 2024년도 시험일정 또한 올해와 비슷하게 시행이 될 것으로 예측하며 연말에 구체적인 회차별 시행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 심승희 기자 | 2023-10-17 08:24:12

- 2024년부터 적용되는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의 출제기준
- 전기기능사 자격시험은 1차와 2차로 시행된다. 2차 실기는 필기 시험에 합격해야 응시가 가능하며, '전기설비작업' 과목으로 전기설비 배관과 배선공사, 시퀀스 제어회로 완성에 대한 내용으로 실시된다. 시험 시간은 5시간 정도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2024년부터 2026년까지 적용되는 전기기능사 출제기준을 확인해보면 전기설비 작업의 주요 및 세부 항목을 알 수 있다. 주요항목은 '전기설비공사'로 세부 항목으로는 '전기공사 준비하기, 전기배관 배선하기, 전기기계기구 설치하기, 전동기제어 및 운용하기, 전기시설물의 검사 및 점검하기' 5가지의 항목으로 구분된다.'전기공사 준비하기'에서는 전기공사 수행을 위한 전기공사 도면 이해, 공사 수행을 위한 필요 자재물량 산출, 공구 준비의 항목이 해당하며, '전기배관 배선하기'에서는 배관, 배선 공사를 위한 전선관 및 전선 사이즈 재단과 도면 이해 및 금속관, PVC관 배관, 전기배선을 위한 전선 접속 수행에 대한 항목이 포함된다. '전기기계기구 설치하기'에서는 각종 장비의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판단가능 여부, 설계도면에 따른 선로의 시공 적합성 판단과 기기 설치 위치 및 관로 구성 파악 후 문제점 판단 여부 가능에 대한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 '전동기제어 및 운용하기'에서는 시퀀스 원리를 활용하여 작업지침서에 따른 시퀀스 회로 완성과 제어용 기기 설치, 작업지침서에 따른 전동기 단자의 전원선 연결, 전동기 기동장치 설치 및 기동 운전, 전동기 기동과 정지, 전동기 운전지침에 따른 전동기 운전 값 계측, 기록, PC모니터링 가능 여부 항목이 해당한다. '전기시설물의 검차 및 점검하기'에서는 계측기를 활용한 지정된 운전정격 값에 따라 운전값을 측정할 수 있는지 여부와 운전 값의 기록, 저장, 컴퓨터 모니터링 가능 여부, 정상 운전 값에 따른 계측된 값을 비교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 운전지식을 활용하여 운전 지침에 따라 전력시설물을 정지 또는 가동시킬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 김상경 기자 | 2023-10-17 08:18:25

- 전기기능사 1차 필기 시험의 주요 출제항목
- 전기기능사는 전기와 관련된 자격제도 중 첫 단계에 해당한다. 기능사 시험이기 때문에 나이, 전공, 학력, 경력과 무관하게 응시가 가능하며 매년 많은 응시자가 몰리는 시험이다. 자격증 취득 시 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대부분의 전기공사 시공업체로의 취업이 가능하며 조선, 자동차, 항공, 전기전자, 방위산업체는 물론 부품제조업체나 건설현장, 안전관리 대행업체에서도 활동이 가능하고 전기직공무원으로 입직을 하기도 한다.전기기능사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시행된다. 필기 시험은 3과목으로 객관식 4지 선다형이다. 시험과목은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3과목이며 총 60문항이 출제돈다. 시험 시간은 1시간이며 CBT방식으로 컴퓨터로 응시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으면 합격이며 과락은 적용되지 않는다.출제기준을 통해서 어떤 내용들이 다뤄지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전기기능사 필기의 경우, '정전기와 콘덴서, 자기의 성질과 전류에 의한 자기장, 전자력과 전자유도, 직류회로, 교류회로, 전류의 열작용과 화학작용, 변압기, 직류기, 유도전동기, 동기기, 정류기 및 제어기기, 보호계전기, 배선재료 및 공구, 전선점속, 배선설비공사 및 전선허용전류 계산, 전선 및 기계기구의 보안공사, 가공인입선 및 배전선공사, 고압 및 저압 배전반 공사, 특수장소 공사, 전기응용시설공사'의 20개의 주요항목을 기준으로 문제가 출제된다. 이는 2023년도까지 적용되는 출제기준이며 해당 자료는 큐넷의 자료실을 통해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한지영 기자 | 2023-09-08 10:13:19

- 전기기능사 시험의 응시자격 조건과 상위 자격제도는?
- 전기기능사는 전기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를 방지하고자 전기기기를 제작하고 운전하고 보수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때문에 전기기능사는 전기에 필요한 장비나 공구를 활용해서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나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업무들을 담당한다. 전기와 관련된 자격증의 첫 단계이기도 하며 특별히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다양한 연령대에서 시험에 응시하고 있다. 특히 50대 이상 남성들이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전기기능사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학력, 경력, 연령 등에 대한 제한 없이 응시가 가능하지만, 산업기사 이상부터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있다. 전기기능사를 취득한 후,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생기면 산업기사 응시가 가능하고 3년 이상 경력이 생기면 기사 응시가 가능해진다. 관련분야의 자격제도로는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와 전기공사기사가 있다. 산업기사 이상 자격시험은 관련분야 자격증 소지자나 관련학과 졸업자 혹은 경력자로 이 중 하나의 항목에 해당이 되어야 한다.
- 심승희 기자 | 2023-09-08 09:20:33

- 전기기능사 필기와 실기의 난이도 차이
- 전기기능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이다. 학력이나 경력, 전공, 나이, 성별 등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준비가 가능하다. 전기는 대부분의 산업체에서 사용을 하고 있는 필수 에너지로 자격증 취득 시 활용도가 높다. 실제 매년 많은 인원이 시험에 응시하고 있으며, 2022년도를 기준으로 필기와 실기의 총 응시 인원은 약 75,000명이 넘는다. 전기기능사 자격증 시험은 1차와 2차로 시행된다. 1차로 실시되는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시험과목은 1) 전기이론 2) 전기기기 3) 전기설비로 총 3과목이고, 총 60문항이 출제된다. 전기기능사 2차 실기는 필기 시험 합격자에 한해서만 응시가 가능하며, 시험과목은 '전기설비작업'으로 작업형으로 시행된다. 두 시험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시험의 난이도는 합격률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2018~2022년까지 최근 5년간의 평균 합격률을 비교해보면, 필기의 경우 31.1%, 31.2%, 37.2%, 34.3%, 33.5%로 평균 합격률이 30%대인 반면, 실기는 63.7%, 66.2%, 67.1%, 71.7%, 72.9%로 실기보다 필기의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 김상경 기자 | 2023-09-08 08:20:19

- 전기기능사 취업 시, 평균 월급 및 연봉은?
- 전기기능사는 전기산업현장인 시공, 안전관리, 시설물관리, 감리업체의 경우 바로 투입이 되어 업무가 가능하며 특별한 정년이 없어 계속 근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전기 직렬분야에 응시하기 위해서 전기기능사를 취득하기도 한다. 자격증 시험 또한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나이나 학력, 경력과 무관하게 준비가 가능하다.2019년도에 조사된 전기기능사의 평균 임금 결과 초봉이 2,500만원대였으나 연봉은 경력이나 업무강도에 따라서 차이가 생긴다. 최근 전기기능사 연봉 정보는 채용 공고문을 통해 근무처와 학력, 경력 조건 등에 따른 차이를 알 수 있다.최근 등록된 채용공고를 참고해보면 학력 및 경력 무관으로, 경기 화성시 소재의 회사는 월급 283만원, 충남 홍선군 채용 시 월급 250~300만원, 충넘 천안시 서북구의 경우 월급 305만원, 부산 동래구 전기회사의 경우, 신입 연봉 3000만원, 경기 수원시 영통구의 경우, 연봉 3200~3500만원였으며 경력직 채용의 경우, 경기 군포시는 연봉 3000~3500만원, 충남 당진시는 연봉 3600만원 이상으로 등록이 되어 있었다. 안양시의 한 공고는 전기기능사 소지자로 전기설계 및 도면해독 A/S 업무 담당자를 채용중이며 3년 이상 경력 필수로 연봉은 3400만원~5200만원, 서울 중구에 위치한 3교대 시설직의 경우, 월급은 250~270만원으로 공고가 올라와 있다. 채용분야와 경력, 그리고 관련 자격증 소지여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본인이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채용 공고를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 강애림 기자 | 2023-07-14 10:36:07

- 전기기능사 제1회 필기시험의 응시자 및 합격률
- 전기분야와 관련된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했다면 다양한 분야로 취업이 가능해지며, 대표적인 자격증으로는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기능사가 있다. 산업기사 이상부터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있어 관련분야 자격증 소지자나 전공자 혹은 경력자에 한해서 응시가 가능하지만 전기기능사의 경우 학력, 경력, 연령에 관계없이 응시할 수 있다.전기기능사 시험은 1차 필기, 2차 실기로 시행되며 필기 시험은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3과목으로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시행된다. 2차 실기는 '전기설비작업'으로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두 시험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을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전기기능사 필기 합격률은 실기에 비해 낮은 편이다. 최근 3년간의 연도별 평균을 비교해보면 2020년도 필기 합격률은 37.2%, 실기는 67.1%, 2021년 필기 합격률은 34.3%, 실기는 71.7%, 2022년 필기 합격률은 33.5%, 실기는 72.9%였다. 전기기능사 시험은 연 4회 실시가 되며 필기 합격률은 차이가 크진 않으나 회차별로도 차이가 있다. 2022~2023년도에 시행된 제1회 시험을 비교해보면, 작년 제1회 필기의 경우 대상자 15,471명, 응시자 12,104명, 합격자 4,516명으로 합격률은 37.31%였고, 올해 시험 대상자는 17,173명, 응시자는 13,600명, 합격자는 5,129명으로 합격률은 37.71%였다.
- 현경선 기자 | 2023-07-14 09:07:18
00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