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거주지역 제한을 두지 않아 전국 수험생들이 몰리는 바람에 서울 거주 청년들이 정작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용석 서울시의회(도봉1,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제270회 임시회 행정자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서울시는 공무원 7~9급 채용시험에 대해 전국의 우수한 인재를 유치한다는 명목아래 타 시·도와 달리 시험 응시자의 거주지를 제한하지 않고 있다"며 "서울시의 청년실업률이 높아져 가는 현실에서 서울시 청년들이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는 격"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서울시 7~9급 공무원시험 합격자는 경기도민이 가장 많다. 경기도 거주 서울시공무원 합격자는 지난해 853명(39.3%), 2014년 898명(43.5%) 등으로 3년 연속 가장 많이 합격했다. 서울시 거주자의 경우 지난해 620명(28.6%), 2014년 584명(28.3%)으로 경기도 거주자 합격률보다 낮았다.
거주지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은 행정력 낭비란 지적도 나왔다. 타 시·도와 달리 별도의 시험일에 직접 출제한 문제로 시험을 보고 있어 서울시 인재개발원의 인재채용과 신설 등 행정력과 예산이 드는 것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 지방공무원 필기시험 접수자(14만7911명) 대비 응시인원은(8만9631명) 60.6%로 응시율이 지나치게 낮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최근 3년간 필기시험 합격자의 면접 결시율은 평균 14.3%로, 결시율 또한 높은 실정이다.
김 의원은 “전국 청년 실업률보다 서울시 청년 실업률이 더 높은 현실에서 서울시 지방공무원시험에서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합격비율이 전체의 30%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애석한 일”이라며 "서울시 공무원 시험 일정을 타 시도 시험 일정과 동일하게 조율하거나 서울시 공무원 시험 합격 쿼터제 등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에듀채널
Copyright © 에듀채널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