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자격증은 한국형 뉴딜정책 시행으로 더욱 전망이 높아졌다. 2025년까지 160조 원을 투입해서 일자리 190만 개를 창출한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책방향과 매칭해서 관련된 자격증들의 메리트가 증가하고 있다. 사업장 재해 사고에 대한 근로자 및 국민 관심이 증가했고, 산업안전보건 대상 물질 및 업종 확대 등 정부 규제 또한 강화되어 향후 관련 인력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1차는 안전 관리론,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기계 위험 방지 기술, 전기 위험 방지 기술, 화학설비 위험 방지 기술, 건설안전기술로 필기시험은 총 6과목을 응시하게 된다. 시험 과목도 많은데, 100점 만점으로 해서 전 과목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이다. 게다가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인 과목이 있으면 과락으로 불합격하게 된다. 실기시험은 필답형과 작업형을 모두 응시하는 복합형 시험이다. 앞으로의 전망은 좋지만 산업안전기사 시험은 합격률 50%를 넘기기 힘들다. 이렇게 어려운 시험인 만큼 기본기를 탄탄하게 하고, 출제되는 문제 유형들을 익히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