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채널

가정의달 할인 이벤트

뉴스

무역사무원의 구체적인 업무와 직업 전망

김문성 기자 ㅣ 기사입력 : 2023. 10. 31



무역사무원은 수출입 계약 거래 등에 관한 전반적인 사무 업무를 수행한다. 국내·외 규범에 따라 수출입계획 수립, 수출입요건 구분, 거래당사자 구분, 수출입프로세스 정립, 수출입 서식준비 등 수출입 계획을 수립하며 결제방식별 수출입위험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환위험분석, 환위험관리, 무역보험 가입, 보증서 활용 등 위험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수출입 계약을 위한 초안준비, 계약체결 방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등을 비롯하여 계약체결 이후 계약의 이행과 종료에 관한 전반적 과정을 다루게 되며 운송계획 수립, 운송서류 구분, 운송계약 체결, 운송비 책정, 적하보험 가입 등을 하며 수출시장을 개척하기 위하여 해외시장조사, 해외시장 진출전략 수립, 바이어신용조사, 수출원가 계산 등을 하고 수출협상을 한다. 국내외 시장의 수요조사를 한 후 해외공급자를 발굴하고 수입할 물품을 확보하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수출물품의 신속한 통관을 위하여 서류검토, FTA검토, 관세환급, 사후관리 등의 통관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한다. 적법한 절차에 따라 수입통관을 위해 서류작성, 관세납부, 사후관리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하며 국외로부터 신속한 물품의 확보를 위해 송금, 추심, 신용장 결제 등의 수출입 대금결제를 담당한다.

무역사무원 채용 시 무역학과, 어문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국제학과, 국제경영학과, 유통학과, 행정학과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소규모 업체나 중소기업체에서는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요하지만, 대기업에서는 관련 분야 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편이다. 단순한 무역 관련 서류를 다루는 무역사무원은 지금의 채용 추세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무역사무원의 역량을 갖춘 해외영업 인력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무역실무지식과 함께 특화된 외국어, 기획력을 겸비하는 것이 필요하고 업종별 전문지식을 겸한다면 직업 전망이 더욱 밝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김문성 기자
Copyright © 에듀채널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많이 본 뉴스

인기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