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기획자는 공연작품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 작품 선정, 홍보, 마케팅, 공연결과 평가 등 제반 과정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일을 수행한다. 국내·외 공연시장동향, 대중의 기호 및 성향, 사회트렌트 등을 조사하여 뮤지컬, 오페라, 연극, 콘서트 등 공연할 대본이나 음악을 개발하고 외국 작품의 판권을 구입하거나 국내의 창작작품의 저작권 및 공연권을 구입하여 공연작품을 제작한다. 투자자와의 협의 하에 공연일정 및 공연장소를 결정한 후 예산을 책정하며, 출연배우 및 제작인력을 섭외한다. 제작일정 및 진행사항에 대하여 제작진과 협의하고 총괄하며 공연의 홍보 및 마케팅, 티켓판매, 관객개발 등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외국공연팀(배우 및 제작인력)의 국내 공연을 기획하기도 한다. 공연기획을 하기 위해서는 무대, 조명, 음향, 의상 등 공연 전반에 대한 지식을 고루 갖추어야 하며 공연을 무대에 올려 많은 관객을 모으려면 홍보나 마케팅 관련 역량도 필요하다.
공연기획자가 되기 위해 필수로 요구되는 학력이나 전공은 없으며 대학에 공연기획과, 예술경영과, 이벤트학과에서 관련 학습을 할 수 있다. 보통 공연기획사, 극장 및 극단의 직원으로 시작하여 실무를 익히게 되며, 방송아카데미와 사설교육기관의 공연기획 프로그램에서도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공연기획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여가생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콘서트나 뮤지컬, 연극 등 공연 문화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공연이 개최되고 있다. 또한, 가수들의 콘서트 등 대중예술분야에서도 크고 작은 다양한 공연도 늘고있다. 기획에 따라 공연의 질과 콘텐츠가 달라지고 관객의 반응이 직결되는 만큼 기획자의 역량은 무척 중요하다. 따라서 차별화된 공연을 기획하고 나아가 마케팅, 홍보 등의 역량을 갖춘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