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보육전문매니저 시험은 민간자격제도로 한국창업보육협회에서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다.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필기 시험에 합격한 후, 일정 기간의 실무수습 교육과정을 거쳐야 한다. 시험에는 응시자격 제한이 없기 때문에 나이, 학력, 경력 등에 관계없이 응시가 가능하다.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시험은 객관식 선다형으로 모두 4과목이다. 시험과목은 '기술창업기초, 기술창업실무, 기술창업보육실무, 기술창업성장실무'이며 과목당 25문제가 출제되어 총 100문항이고 배점은 각 100점씩으로 총 400점이다. 기술창업기초 과목에서는 '기술창업의 이해, 기술창업과 기업가 정신, 창업관련 법규, 기술창업 구상 및 사업타당성 분석'에 대한 내용이, 기술창업실무에서는 '사업계획 수립과 비즈니스 모델, 회사의 설립과 사업자등록, 재무·회계·세무 관리, 지식재산권 관리, 제품인증', 기술창업보육실무에서는 '창업보육센터의 이해, 창업보육센터 기능과 운영 시스템, 창업보육센터장의 역할과 기능, 창업보육매니저의 역할과 기능, 기술창업 단계별 보육스킬', 기술창업성장실무에서는 '사업 인허가, 공장설립, 기술창업 마케팅, M&A 및 IPO, 기업가치 향상'에 대한 부분들이 출제된다. 각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해서 전체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하며 각 과목의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시험에 합격하면 공통이론교육과 OJT교육을 받아야 한다. 공통이론교육은 창업보육센터 관리 및 창업보육 실무에 관한 집체교육으로 1일, 4시간동안 시행되고, OJT교육은 코칭매니저의 센터에 교육생이 방문하여 실제 창업보육센터의 실무를 경험하고, 창업보육센터 운영에 따른 노하우 및 운영기법 현장 교육으로 1일 3시간씩 두번으로 총 6시간동안 실시된다. 시험에 합격한 당해 혹은 다음해까지 실무수습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한다.
최종적으로 자격증을 취득하면 '창업보육센터 매니저, 창업관련 재단 및 협회, 창업투자회사, 정부출연 기관 및 연구소, 지자체 출연기관, 경영컨설팅 회사, 중소기업상담회사'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