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채널

가정의달 할인 이벤트

뉴스

2023년도 토목산업기사 필기 시험과목 변경 후, 출제기준은?

심승희 기자 ㅣ 기사입력 : 2023. 09. 27



1차로 시행되는 토목산업기사 필기는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6과목으로 실시가 되었으나 2023년부터 3과목으로 변경되었다. 기존의 시험과목은 기사 시험과 동일하게 '① 응용역학 ② 측량학 ③ 수리학 및 수문학 ④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⑤ 토질 및 기초 ⑥ 상하수도공학'으로 시행되었으나, '① 구조설계 ② 측량 및 토질 ③ 수자원설계'로 바뀌었으며 출제 문항수는 120개에서 60개로, 시험 시간 또한 3시간에서 1시간 30분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적용되는 시험의 출제기준을 통해 과목 변경 이후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어떻게 내용이 묶였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구조설계' 과목의 '역학적인 개념 및 건설구조물의 해석' 항목에서는 힘과 모멘트, 단면 성질(1차 모멘트와 도심, 2차 모멘트, 단면상승 모멘트, 회전반경, 단면계수), 재료의 역학적 성질(응력, 변형률, 탄성계수), 정정구조물(반력, 전단력, 휨모멘트), 보의 응력(휨응력, 전단응력), 보의 처짐(처짐, 처짐각, 처짐해법), 기둥(단주, 장주),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항목의 철근콘크리트(설계일반, 설계하중, 하중조합, 휨과 압축, 전단, 철근 정착과 이음, 슬래브, 벽체, 기초, 옹벽 등의 구조물설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기본개념, 재료, 도입, 손실), 강구조(개념,인장 및 압축부재, 휨부재, 접합 및 연결) 항목들이 출제된다.
'측량 및 토질' 과목의 '측량학 일반'에서는 측량기준 및 오차(축지학개요, 좌표계, 측량원점, 국가기준점, 측량 오차와 정밀도, 기준점 측량에서는 위성측위시스템 GNSS(개요와 활용), 삼각측량(개요, 방법, 수평각 측정 및 조정), 다각측량(개요, 외업, 내업), 수준측량(정의와 분류, 용어, 야장기입법, 교호수준측량), '응용측량' 항목에서는 지형측량(지형도 표시법, 등고선 개요와 측정 및 작성, 공간정보 활용), 면적 및 체적 측량, 노선 측량(개요 및 방법, 중심선 및 종횡단 측량, 단곡선 계산 및 이용법, 완화곡선 종류와 특성, 종곡선 종류와 특성), 하천측량(하천측량 개요와 종횡단측량), '토질역학' 항목에서는 흙의 물리적 성질과 분류(기본성질, 구성, 입도분포, 소성특성, 분류), 흙속에서의 물의 흐름(투수계수, 물의 2차원 흐름, 침투와 파이핑), 지반내의 응력분포(지중응력, 유효응력과 간극수압, 모관현상), 흙의 압밀(이론과 시험, 압밀도), 흙의 전단강도(파괴이론과 전단강도, 전단특성, 전단시험, 간극수압계수), 토압(종류, 이론), 흙의 다짐(다짐특성, 다짐시험), 사면의 안정(사면의 파괴거동), '기초공학' 항목에서는 기초일반, 지반조사(시추, 시료채취, 원위치 시험 및 물리탐사), 얕은 기초와 깉은 기초(지지력, 침하), 연약지반개량(사질토·점성토·기타 지반개량공법)에 해당 내용이, '수자원설계' 과목의 '수리학' 항목에서는 물의 성질(점성 계수, 압축성, 표면장력, 증기압), 정수역학(압력 정의, 정수압분포와 정수력, 부력), 동수역학(오일러방정식과 베르누이식, 흐름구분, 연속방정식, 운동량방정식, 에너지방정식), 관수로(마찰손실, 기타손실, 관망해석), 개수로(효율적 흐름단면, 비에너지 및 도수, 점변 부등류, 오리피스 및 위어), '상수도 계획'에서는 상수도 시설계획(구성 및 계통, 계획급수량 산정, 수원, 수질기준), 상수관로 시설(도수, 송수계획, 배수, 급수계획, 펌프장 계획), 정수장 시설(정수방법, 정수시설, 배출수 처리시설), '하수도 계획'에서는 하수도 시설계획(구성 및 계통, 배제방식, 계획하수량 산정, 하수 수질), 하수관로 시설(하수관로 계획, 펌프장 계획, 우수조정지 계획), 하수처리장 시설(하수처리 방법, 하수처리 시설, 오니처리 시설)에 대한 항목들이 출제된다.

심승희 기자
Copyright © 에듀채널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많이 본 뉴스

인기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