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기획자는 인터넷 사이트를 구성하고 설계하는 전문가로 정의할 수 있다. 웹사이트에서 제공할 구성 내용을 기획하고 웹사이트 구축을 위해 웹 엔지니어, 웹 디자이너, 웹 프로그래머 등과 업무를 협의하며 사이트의 자료를 갱신하고 사이트의 게시판과 전자우편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와 불만 사항을 신속히 처리하며 사용자의 성향과 접속 현황 등을 분석하여 웹사이트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개편한다. 웹사이트의 구축을 외부업체에 맡겼을 때, 외부업체 개발자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사이트 구축 목적이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작업 과정과 결과물을 확인하고 서비스 제공형 사이트에서는 주로 기술적인 부분을 담당한다. 커뮤니티형 사이트에서는 회원간의 커뮤니티 활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하며 전자상거래형 사이트에서는 고객의 요구 분석을 통해 상품의 디스플레이와 온라인 판매촉진을 담당하고 있다.
웹기획자는 고객의 요청으로 홈페이지나 웹을 구축하고 개편해주는 웹 에이전시 혹은 웹 SI(System Integration) 업체, 또는 웹을 서비스 하는 회사에 취업하게 된다. 점차 많은 웹기획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에서 적용 가능한 모바일웹 및 어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야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 웹기획과 모바일 웹기획 전문가를 구분하여 회사에서 채용공고를 내기도 하지만 웹기획자는 모바일 기기의 기본적 특징만 파악하고 있다면 모바일 웹기획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인력 수요는 많다고 할 수 있다. 또한 3D디스플레이 시장규모의 성장으로 3D 입체기술을 지원하는 다양한 디바이스가 등장함에 따라 3D콘텐츠 제작의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새로운 모바일 기술에 힘입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성장하는 세부업종이 늘어나는 추세로 해당 분야에서의 수요 또한 증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