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보안관리사는 산업현장의 기술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산업보안 활동의 일환으로, 현장에서의 보호 가치대상인 인력·관리, 설비·구역, 정보·문서 등을 내 · 외부 위해요소로부터 침해되지 않도록 예방, 관리 및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산업기술 보유 기관의 보안 요구사항 분석, 보안취약점 점검, 보안사고 대응, 보안정보 및 상담서비스 제공 등 이상의 업무를 수행하며 산업보안 관련 분야별 이론 및 기본지식, 실무능력을 기반으로 조직의 산업보안 정책수립과 집행, 관리 업무와 함께 조직의 비즈니스와 관련된 산업보안 법규를 이해 및 적용으로 보안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직무를 추가로 수행한다.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하다. 시험과목은 '관리적 보안, 물리적 보안, 기술적 보안, 보안사고대응, 보안지식경영'으로 5과목이며 과목당 25문항이 출제되어 총 125문제이다. '관리적 보안'에서는 보안관계법, 관리적 보안, '물리적 보안'에서는 시설보안, 재해손실보호, '기술적 보안'에서는 정보보호일반, 기술적보안, '보안사고대응'에서는 업무지속성계획, 보안사고대응, '보안지식경영'에서는 보안지식, 보안경영에 대한 내용들이 출제된다. 시험에 합격하려면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 과목 평균이 70점 이상 되고 과목당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