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응시자격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기술 자격증 소지자로 동일 혹은 유사분야 종목에서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자가 해당한다. 만약 하위 자격증인 기능사를 취득했다면, 1년 이상 실무 경력이 추가로 필요하다. 동일종목의 외국자격증 취득자나 기능경기대회 입상자도 이에 해당 한다. 두 번째로는, 관련학과 전공자로.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된 관련 학과를 전공하여 졸업한 자 혹은 졸업예정자가 모두 해당한다. 2,3년제 전문대와 4년제 대학 모두 인정되며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도 전공자로 인정된다. 세 번째는, 경력자로 관련분야 자격증이 없거나 비전공자여도 동일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의 경력이 있으면 인정된다.
산업안전산업기사 응시자격 관련학과는 산업안전과, 산업안전관리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학과들이 인정된다.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보건․의료 중 보건․의료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건설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광업자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기계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재료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화학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섬유·의복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전기·전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정보통신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식품가공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인쇄·목재·가구·공예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농림어업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안전관리 중 안전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환경·에너지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가 모두 해당한다.
이 중에서 한 분야에 해당하는 학과만으로도 굉장히 다양한 학과들이 있다. '건설'분야와 관련된 학과에는 세부적으로 '건축, 토목, 조경, 도시·교통, 광해방지' 학과들이 있으며, '광업자원'의 경우 '채광, 광해방지', '기계분야' 학과의 경우 '기계제작, 기계장비 설비·설치, 철도, 조선, 항공, 자동차, 금형·공작 기계' 학과들이 모두 해당한다. '재료분야' 학과들에는 '금속·재료, 단조·주조, 용접, 도장·도금', '화학직무 분야'에는 '화공, 위험물'이, '정보통신'분야에서는 '정보기술, 방송·무선, 통신', '식품가공' 분야에서는 '식품, 제과·제빵', '농림어업'분야에서는 '농업, 축산, 임업, 어업', '안전관리 분야'에서는 '안전관리, 비파괴검사', '환경·에너지' 분야에서는 '환경, 에너지·기상'에 해당하는 학과들이 모두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