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을 말하며 토목산업에 대한 조사와 연구, 계획, 설계, 시공, 감리, 유지, 보수까지 전반적인 과정을 담당한다. 공사 현장에서 시공계획을 검토하고 공정표와 자재, 도면, 준공검사의 설계와 시공 업무를 담당하며 입찰과 원가분석, 공무 및 시공에 대한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안전사고 관리과 현장을 관리하는 업무도 수행한다. 토목기사는 종합건설업체, 전문건설업체, 토목엔지니어링회사, 포장전문공사업체, 상하수도전문공사업체, 철도궤도전문공사업체로 취업이 가능하다. 정부투자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로 기술직 공무원으로 입직할 수도 있고 관련연구소에서 건설기술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도 하며 경력을 쌓고 상위 자격증인 기술사를 취득하여 사무소를 창업하기도 한다.
'토목공학기술자'는 지반 및 지질조사, 토목구조, 시공, 견적(물량산출), 측량, 감리 등의 업무를 전문 분야별로 수행한다. 토목구조물의 구조설계, 지반조사 및 기초 설계·시공, 도로 및 공항의 설계·시공, 철도 시설의 설계·시공, 항만 및 해안시설의 설계·시공, 하천 및 댐 등의 수자원개발을 위한 설계·시공, 상하수도 시설의 설계·시공, 토목품질시험, 경지정비 및 개간 등의 농어업 토목에 관한 설계·시공 등 대상별로 업무가 전문화가 되어 있다.
'토목구조설계기술자'는 토목과 주택, 상업용 빌딩 등의 안전성 및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건축구조물에 발생하는 구조적 현상이나 구조물의 거동을 예측하고 실험하며,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일을 담당하며, '토목감리기술자'는 도로, 댐, 고속도로 등 건설에 있어서 품질관리, 예산관리, 공정관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공의 모든 과정을 확인, 관리,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감리전문회사 또는 감리업무를 하는 엔지니어링회사에 취업하여 감리원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설계나 시공 분야에서 현장경력을 쌓은 후 관련 업체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토목안전기술자'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원의 안전과 건설재해요인 예측, 재해예방 등을 위하여 각종 설비의 안전성 확보 및 안전관리의 제반 업무를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