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는 안전관리 분야에 관한 국가기술자격 제도로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주로 소방전문업체로 진출하며 건물관리 용역회사, 소방기기 제조회사, 소방 시스템 개발회사, 소방공사, 대한주택공사, 전기공사 등 정부투자기관, 소방방재청의 소방공무원이나 소방관련 공공기관 등 다양한 분야로 취업이 가능하다.
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 시험의 경우, '소방원론, 소방전기일반, 소방관계법규,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4과목으로 실시가 되며 객관식 4지 선다형 방식으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 과목 평균은 60점 이상 되고,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실기는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 과목으로 3시간의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
실기 시험 난이도는 합격률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연도별 합격률을 비교해보면 2018년도 실기 합격률이 54.4%로 최근 시험 중에서 가장 높았고, 2021년도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합격률은 34.6%로 가장 낮았던 편이다. 2022년도 제1회에 시행된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시험은 응시자 7,518명 중에서 1,070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은 14.2%로 유독 난이도가 높아 낮은 합격률을 기록했다. 제2회에 시행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은 57.24%, 제4회에 시행된 실기 합격률은 57.87%로 평균보다 높았던 편이며 1회차 시험과의 차이도 큰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