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는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 작성과 소방시설 공사 시공 및 관리, 소방시설 점검과 정비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과 소화, 통보,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업무들을 수행한다. 소방설비기사는 전기와 기계분야로 구분이 되며 시험방식은 같으나, 과목에는 차이가 있다.
소방설비기사 1차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한 문제에 4개의 보기가 주어지며, 2차 실기는 필답형으로 답안을 주관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필기 과목은 '소방원론, 소방유체역학, 소방관계법규,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실기 시험과목은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이며 전기분야 필기 시험과목은 '소방원론, 소방전기일반, 소방관계법규,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실기 과목은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이다.
시험의 합격률은 높은 편이 아니다. 소방설비기사 전기 분야의 난이도를 알 수 있는 합격률을 살펴보면 2018~2022년까지 최근 5년간 필기 합격률은 31.4%→ 52.5%→ 53.8%→ 46.1%→ 44.9%이며 실기 평균 합격률은 54.4%→ 46.2%→ 46.7%→ 34.6%→ 42.4%이였으며 소방설비기사 기계 분야 합격률은 필기의 경우, 28.70%→ 45.60%→ 51.60%→ 51%→ 46.8%, 실기 평균 합격률은 38%→ 30.1%→ 19.4%→ 32.5%→ 15.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