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계기사는 기계역학, 재료역학 및 공학, 공작법 등 기계에 관한 학문을 바탕으로 전 산업분야에서 주어진 동작으로 보다 능률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기계 및 기계구조물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일정 자격조건을 갖추어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일반기계기사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일반기계기사 자격증 시험은 1차 필기, 2차 실기로 시행된다. 먼저 준비해야 하는 필기 시험은 5과목으로 '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기계유체역학,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이며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마다 20문제씩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으로 총 2시간 30분이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필기 과목당 점수가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합격하게 된다.
일반기계기사 시험은 2024년부터 기계설계기사와 통합되어 시험과목이 변경된다. 기존에 5과목으로 실시되었던 필기 과목은 '기계제도 및 설계, 기계재료 및 제작, 구조해석, 열·유체역학' 4과목으로 변경되어 총 시험 문항수는 100개에서 80개로 변경되고 시험 시간은 2시간 30분에서 2시간으로 바뀐다. 시험의 합격기준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