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취득이 가능하다. 크게 전기분야와 기계분야로 구분을 하며 전기분야의 소방설비기사는 전기계통으로 작동하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 설비, 비상콘센트 설비, 비상조명 설비, 전기화재경보기 등을 담당한다.
소방설비기사 전기 분야 시험은 1차와 2차로 시행된다. 1차의 경우 객관식 4지 선다형의 필기시험으로 시험과목은 '소방원론, 소방전기일반, 소방관계법규,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4과목이다. 과목마다 20문제씩 출제가 되어서 총 80문항이며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으로 총 2시간동안 실시된다. 실기 시험은 주관식으로 답을 작성하는 필답형으로 시험과목은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이며 약 3시간동안 시행된다.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필기는 4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어야 하며 과락이 있어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차 실기 시험의 경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
소방설비기사 시험을 준비하는 인원은 유지가 되거나 매해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시행된 소방설비기사 전기 분야 합격률을 비교해보면 2019년도 필기 평균 합격률은 52.5%, 실기는 46.2%, 2020년도 필기는 53.8%, 실기는 46.7%, 2021년도 필기는 46.1%, 실기는 34.6%, 2022년도 필기는 44.9%, 실기는 42.4%로 차이가 크진 않지만 필기보다는 필답형 실기의 합격률이 조금 더 낮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