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는 소방설비기사 시험의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소방시설공사 또는 정비업체 등에서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를 시공·관리하며, 소방시설의 점검·정비와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 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를 수행한다. 특히 기계분야의 소방설비기사는 기계계통으로 작동하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소화기, 옥내, 외소화전, 스프링클러,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등을 담당한다.
소방기계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이 되며, 필기는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① 소방원론, ② 소방유체역학, ③ 소방관계법규, ④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40점 미만이 되는 과목없이 전체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합격하게 된다. 2차 실기는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에 대한 주관식 필답형으로 100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
소방기계기사 시험의 응시인원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필기 시험을 기준으로 한 해 응시자가 약 17,000명을 넘었다. 시험의 합격률은 특히 실기가 많이 낮은 편으로 최근 연도별 평균 합격률을 비교해보면 2020년도 필기 합격률은 51.6%, 실기는 19.4%, 2021년도 필기는 51%, 실기는 32.5%, 2022년도 필기는 46.8%, 실기는 15.6%로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