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사 자격제도는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기기를 제작하고 제조 조작, 운전, 보수에 관한 숙련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되었으며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등 전기 관련 자격증 취득의 첫 단계이다. 전기기능사는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어 연령, 학력, 경력,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하다. 매년 많은 인원이 응시하는 시험으로 특히 50대 이상 남성이 많이 취득하는 종목에 해당한다.
전기기능사 시험은 1차 필기, 2차 실기로 시행된다. 필기 시험은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3과목이며 객관시 4지 선다형으로 60문항이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1시간이며 CBT방식으로 컴퓨터로 응시하게 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되며 합격 결과는 시험 당일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실기 시험은 필기 시험 합격자에 한해서 응시가 가능하며 '전기설비작업'으로 전기설비의 배관 및 배선공사, 시퀀스 제어회로를 완성하는 시험이다. 시험 시간은 약 5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필기와 마찬가지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