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컴퓨터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정보처리기사 자격제도를 제정되었으며 정보처리기사는 정보시스템의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는 자격으로서, 계획수립,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한한다.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기업체 전산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SI(system integrated)업체, 정부기관, 언론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금융기관, 보험사, 병원 등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를 시행하는 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또한 3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는 측량분야 수치지도제작업의 정보처리 담당자로도 진출할 수 있다.
'정보시스템운영자'로 진출하는 경우 SI(시스템통합)업체, 기업체, 공공기관, 대학교 등의 전산실, 전산시스템을 위탁받아 통합 운영하는 데이터센터 등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은 후에는 정보기술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관리자, 컴퓨터시스템설계분석가, 네트워크 시스템분석가 및 개발자 등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데이터베이스개발자'는 전문데이터베이스 제작업체, 데이터베이스 유통업체, 정보컨설팅업체, 시스템통합 (SI)업체,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유통하는 공공기관 등에 진출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업무를 비롯해 데이터베이스 구축·설계 업무를 담당한다. 경력이 쌓이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한 컨설팅과 문제 해결 방법을 전문적으로 제시하는 IT컨설턴트로 진출하거나 IT 기술영업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웹 및 멀티미디어기획자'의 경우에는 주로 인터넷사이트의 채용공고를 통해서 입직한다.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 경우 프로젝트 업무가 발생할 때마다 웹에이전시나 네트워킹을 통해 일을 알선받는다. 웹사이트 제작업체, 기업체 및 공공 기관의 전산실, 웹/서버 호스팅업체, SI(시스템통합)업체 등에 종사하게 되며 신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습득과 이해가 필요하다. 습득한 전문기술 중 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성장하거나 프로젝트의 엔지니어로 시작하여 프로젝트 리더, 프로젝트를 총괄·지휘 하는 프로젝트 매니저(PM)로 성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자, 네트워크시스템분석가 등으로 옮기기도 하며 회사의 규모나 본인의 능력에 따라 웹프로그래밍과 웹디자인, 웹기획과 웹디자인 등을 겸할 수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