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축물의 고층화 현상에 따른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수요 증가, 효율적 주차공간 이용을 위한 기계식 주자장치 증가 등에 의해 승강기공업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고층 빌딩과 아파트, 백화점 등에 설치된 승강기 안전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한층 높아지고 있으며, 건설 경기가 회복세에 들어서며 승강기의 수요는 꾸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승강기공업분야는 이용자의 안전확보와 효율적 공간활용, 에너지 절감 등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계 및 전기분야의 공학이론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이용하기에 편리한 현대식 승강기를 설계, 제작하며, 승강기의 설치, 검사, 유지, 보수 등의 일을 지도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승강기기사 자격 취득 후에는 주로 승강기 또는 승강기부품 제조업체 및 수입업체, 승강기보수·유지·점검 업체, 승강기검사 대행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의 검사자, 승강기검사 대행기관의 기술인력으로도 고용될 수 있으며,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에서의 취업, 보수, 승진, 전보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에서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전기 직류 채용 시험 시에는 5%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