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는 유, 무선 통신설비, 컴퓨터 네트워크, 위성통신시스템, 디지털통신 등의 정보통신 시스템 및 전송방식을 연구, 개발하고 관련 시스템을 기초설계하는 작업을 하며 정보통신 시스템의 기초설계, 제작, 응용, 보수, 유지 및 관리 업무 등을 수행한다. 시험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을 하며 일정 자격조건을 갖추어야 응시가 가능하다. '기능사 취득 후 + 실무경력 1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 취득자, 전문대졸(관련학과), 기술훈련과정 이수자(산업기사수준), 실무경력 2년 등'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면 응시가 가능하다.
정보통신산업기사는 2022년부터 필기시험 과목이 개편되어 디지털 전자회로 과목이 폐지되고 새로운 과목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자격 취득자의 디지털전자회로 과목은 면제 받을 수 없다. 개편된 필기 시험과목은 '정보전송일반, 정보통신기기, 정보통신네트워크, 컴퓨터 일반 및 정보설비 기준'으로 4과목이며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시행된다. 2차 실기는 '정보통신 실무'에 대한 필답형으로 실시된다. 기존에는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시행이 되었으나 2013년부터 작업형에 폐지되었다. 두 시험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며 필기는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이 되고 과목당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실기는 총점이 60점 이상 되어야 합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