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채널

2025년 상반기 감사 할인 이벤트

뉴스

산업보건지도사의 단계별 시험방식

김문성 기자 ㅣ 기사입력 : 2022. 06. 21


 

산업보건지도사는 직업환경의학, 산업위생공학 분야로 구성된 국가전문자격으로 사업장 안전보건에 대한 진단 · 평가 및 기술지도, 교육 등을 하는 산업안전보건 컨설턴트다. 산업안전법개정에 따라 2014년부터 '산업위생지도사' 자격 명칭이 '산업보건지도사'로 변경되었다. 산업보건지도사는 작업환경의 평가 및 개선 지도, 작업환경 개선과 관련된 계획서 및 보고서의 작성, 근로자 건강진단에 따른 사후관리 지도, 직업성 질병 진단(의료법에 따른 의사인 산업보건지도사만 해당한다) 및 예방 지도, 산업보건에 관한 조사 · 연구, 그 밖에 산업보건에 관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등을 직무로 한다.

자격증 시험은
 1차, 2차, 3차로 나누어 진행된다. 1차 시험은 분야별 구분 없이 공통과목으로 시행되며, 2차 시험은 직업환경의학, 산업위생공학 분야별로 나누어 시행되고 3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시행된다. 1차는 '산업안전보건법령I, 산업위생일반II, 기업진단·지도III' 3과목으로 객관식 5지택일형이며 과목별로 100문항이 출제된다. 2차는 '직업환경의학, 산업위생공학' 전공과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응시하며 논술형 4문항과 단답형 5문항으로 실시된다. 3차는 면접으로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산업안전·보건제도에 대한 이해 및 인식정도, 지도·상담 능력'에 대한 내용을 평가한다. 1,2차 필기 시험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을 해야 합격하게 되며 면접시험은 평정요소별 평가하되, 10점 만점에 6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

김문성 기자
Copyright © 에듀채널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많이 본 뉴스

인기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