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는 소방시설공사 또는 정비업체 등에서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를 시공, 관리하며, 소방시설의 점검·정비와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를 수행하며 기계분야의 소방설비기사는 기계계통으로 작동하는 소화기, 옥내, 외소화전, 스프링클러,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등을 담당한다.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소방설비기사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된다.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필기는 객관식 4지선다형 시험으로 '소방원론, 소방유체역학, 소방관계법규,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로 4과목이다. 과목마다 20문항이 출제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매 과목 점수가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차 실기는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에 대한 필답형 시험으로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응시인원은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0년도 필기 시험의 응시자가 약 14,600명, 실기 응시자가 15,800명이었으나 2021년도 필기와 실기 시험 응시자가 17,000명을 넘었다. 지금까지 시행된 시험의 평균 합격률을 계산해보면 1차 필기 시험은 41.1%, 실기는 22.7%로 두 시험 모두 합격률이 낮은 편이다. 최근자인 2021년도 시험의 합격률은 필기 51%, 실기 32.5%로 다른 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합격률이 높았다. 2022년도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시험은 제1회, 제2회, 제4회 정기기사 일정에 맞춰 시행되며 큐넷을 통해 상세 시험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