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는 정보시스템의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는 자격으로서, 계획수립,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한 후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시스템 설계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작업을 한다.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하여 취득할 수 있으며 1차와 2차로 실시된다. 1차는 객관식 4지선다형의 필기 시험으로 '소프트웨어설계, 소프트웨어개발, 데이터베이스구축, 프로그래밍언어활용, 정보시스템구축관리' 5과목이다. 과목마다 20문제씩 100문항이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150분이다.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매 과목 점수가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면 합격하게 된다.
2차 실기는 '정보처리 실무'에 대한 필답형 시험이다. 실기 시험의 출제경향은 다음과 같다. 정보시스템 등의 개발 요구 사항을 이해하여 각 업무에 맞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관한 설계, 구현 및 테스트를 수행에 필요한 1. 현행 시스템 분석 및 요구사항 확인(소프트웨어 공학 기술의 요구사항 분석 기법 활용), 2. 데이터 입출력 구현(논리, 물리데이터베이스 설계, 조작 프로시저 등), 3. 통합 구현(소프트웨어와 연계 대상 모듈간의 특성 및 연계 모듈 구현 등), 4. 서버프로그램 구현(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구축, 형상 관리, 공통 모듈, 테스트 수행 등), 5. 인터페이스 구현(소프트웨어 공학 지식,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설계, 기능 구현, 구현검증 등), 6. 화면설계(UI 요구사항 및 설계, 표준 프로토 타입 제작 등), 7.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테스트 케이스 설계, 통합 테스트, 성능 개선 등), 8. SQL 응용(SQL 작성 등),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SW 개발 보안 설계, SW개발 보안 구현 등), 10. 프로그래밍 언어활용(기본 문법 등), 11. 응용 SW기초 기술 활용(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활용, 네트워크 활용, 개발환경 구축 등), 12.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제품소프트웨어 매뉴얼 작성 , 버전 관리 등). 2차 시험 시간은 2시간 30분이며 총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