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종묘란 임목의 종자로부터 묘목을 생산하는 과정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말한다. 임업종묘기사는 각종 도구와 실험계기 등을 사용하여 종자를 검사하고 분석하며, 새로운 종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전 등의 방법에 따라 재배시키고, 성장에 적정한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을 조사·연구하는 업무 수행하고, 종묘를 육성하기 위하여 묘포에서 행해지는 각종 작업을 관리, 감독하며, 병충해 등 산림보호에 관한 사항을 조사·연구한다.
자격증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된다. 1차 필기는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조림학, 임목육종학, 산림보호학, 토양학 및 비료학'에서 20문항씩 총 80문제가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으로 120분이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4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고 과목별 점수는 최소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임업종묘기사 실기 시험은 검정방법에 변경사항이 있다. 2차 실기는 임업종묘 실무에 대한 복합형으로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시행된다. 기존에 필답형은 15문제로 1시간 30분동안 시행되었으며 배점은 50점, 작업형은 3시간으로 배점 50점으로 실시되었으나 2021년도 제3회 시험부터 필답형의 문항과 시간은 그대로 배점이 60점으로 바뀌었고, 작업형 시험은 2시간 30분으로 배점은 40점으로 변경되었다. 작업형 시험의 경우 임업종자 수종 구별, 접목, 임업종자 검사 및 품질감정에 대한 평가가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