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는 산업생산방식에 의하여 양산될 제품의 원형(prototype)이나 제품 모형(mock-up)을 정확하고도 경제적으로 재현하고, 제품디자이너가 제공하는 정성적인 디자인 컨셉트(concept)와 정량적인 디자인 사양(specification)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하여 제품의 기능구조 설계, 조립 등 기술적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의 모형을 제작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통신기기 제조업체, 컴퓨터 및 응용기기 제조업체의 경우 주로 외부 콘트롤보드 인간공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와 몸체 외관의 형태와 구조 설계에서 주요 업무를 행하고, 기계제품의 경우 구조 및 외관 형태정리와 조작 안전성과 편의성에 중점을 맞추어 직무를 수행하며, 소비제품 디자인의 경우 시장조사와 소비자 선호도 취향조사 자료의 분석과 이의 시각화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작업을 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자격증 시험을 시행하며 1차 필기는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실시된다. 시험과목은 '제품디자인일반, 제도와 CAD, 모델링재료, 제품응용모델링'으로 총 60문항을 60분 동안 풀게된다.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실기는 제품응용모델링 실무에 대한 작업형으로 2021년부터 검정방법이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2D 도면작업과 3D 모델링 작업의 컴퓨터 작업과 모형제작 작업으로 7시간 정도 시행이 되었으나 컴퓨터 작업에서 2D도면작업이 빠지면서 시험 시간이 5시간 30분으로 변경되었다.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