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삭기는 토사 등을 굴착하는 토공용 건설기계로, 주로 도로, 주택, 농지정리, 준설 등의 각종 건설공사나 광산 작업 등에 쓰이며, 건설기계 중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굴착기운전기능사는 건설현장의 흙이나 자갈과 같은 물질을 굴삭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며 굴삭기의 일상점검과 예방정비를 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건설기계(굴삭기)를 조종하려는 사람은 굴삭기운전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고 적성검사에 합격한 후,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건설기계조종사면허를 받아야 한다(건설기계관리법 제26조).
굴착기운전기능사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학력이나 경력, 나이에 관계없이 준비가 가능하다. 매년 준비인원이 증가하고 있는 인기 자격증으로 특히 50대, 60대 남성이 많이 취득하는 상위 자격증으로 뽑힌다. 굴삭기운전기능사의 필기는 굴착기 조종, 점검 및 안전관리로 60문항이 출제되며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실시된다. 2차 실기는 굴착기 조정 실무에 대한 작업형으로 6분 정도 실시가 되며 두 시험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
굴삭기운전기능사 자격증 도입 이후 최근까지의 평균 합격률을 보면 필기는 50.4%, 실기는 44.9%이다. 작년에 실시된 2021년도 검정현황과 비교해보면 1차 필기는 67.7%로 올랐고, 2차 실기는 38.9%로 낮아졌다. 특히 작년 시험의 경우 필기 응시인원이 57,225명 실기 응시인원이 64,919명으로 역대급으로 많은 인원이 시험에 응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