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어요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어요

  • 문태준
  • |
  • 마음의숲
  • |
  • 2025-07-15 출간
  • |
  • 292페이지
  • |
  • 128 X 200mm
  • |
  • ISBN 9791162851753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문태준 시인의 초록문장 자연일기!

문태준 시인의 신작 산문집의 백미는 뛰어난 시적 문장과 함께 노동 속에서 자연을 관찰하며 짓는 자연의 시들을 읽는 묘미다. 제주 시골 마을에 집을 짓고 돌담을 쌓고 밭을 일구며 다섯 번의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지내는 동안 그는 풀의 시인, 농부 시인으로 거듭났다.
손에는 어느덧 호미를 쥐고 있었다. 농사 일지를 들춰보며 시월에는 쪽파와 대파, 배추 모종을 심었다고 기록하고 십일월 초에는 보리나 유채 씨앗을 뿌릴 때라고 적기도 한다. 지렁이가 많은 오래된 밭의 이름을 ‘구구전(蚯蚯田)’으로 지었다. 뜻은 한자 그대로 지렁이 밭이라는 의미로, ‘오! 지렁이, 지렁이!’라는 감탄이 들어 있다.


텃밭에 들어가 있으면 정말이지 흙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얼마나 다양하고 드라마틱한지를 잘 느끼게 된다.
자연의 주체들을 보다 가까이 접촉하는 일은 색다른 경험이다. 자연의 오묘한 변화를 감각하는 일은 우리의 생활에 신선한 자극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한 자극을 얻으려면 우리도 자연을 이루는 주체들의 변화를 자세히 보아야 한다
산비둘기가 울고, 뻐꾸기가 이어서 울고, 옥수수가 익어가고, 수박 넝쿨이 땅을 기어가고, 해바라기의 키가 커가고, 대낮의 시간이 길어지고, 목에 두른 수건이 흠뻑 젖어 있으니, 이즈음을 여름의 얼굴이 설핏설핏 보이는 때라고 해야겠다
- 〈여름의 얼굴이 설핏 보이는 때〉 중에서


흙에서 일어나는 다양하고 드라마틱한 일들을 시인은 손으로 직접 만지며 여름 얼굴의 진면목을 본다. 제주의 사계절 내내 생명이 움트고, 자라고, 꽃을 피우고, 낙화하는 모습들을 보며 끊임없이 재탄생하는 신비로운 생명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도 농부일지에 쓴다.


꽃의 개화를 보면서 내 마음이 평화로워지고 내 마음에 무량한 평온이 생겨나는 것을 보면 꽃과 꽃의 개화가 곧 나의 모습이요, 성품이기도 한 셈이다. 예전에는 알지 못했지만 시골의 자연 속에서 살면서, 또 화단을 가꾸고, 텃밭 농사를 지으면서 내가 생명 존재들과 관계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 〈내 마음에 작약꽃 피어나네〉 중에서


시인은 그 생명들이 연결하는 삶의 아름다움과 마음의 평화에만 머물지 않고, 자연 속으로 한 걸음 더 들어간다. 땅에 무릎을 꿇고 잡초를 뽑아내는 일은 마치 하나의 의식을 치르는 것과 같고 매일 잡초를 뽑는 육체적인 노동이 정신을 건강히 버티게 해준다는 헤르만 헤세의 말처럼 시인은 풀을 뽑으면서도 끝없이 내면을 성찰하며 독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풀밭의 환경을 비유한다.


풀을 뽑고 풀을 베어내 풀밭에서 나오려고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또 풀을 뽑고 풀을 베면서 풀밭에 있었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이 풀밭의 비유는 사실은 누구에게나 있는 삶의 조건이자, 삶의 환경일 것이다. 이 풀밭은 우리가 생활하는 곳이고, 또 우리가 살아갈 곳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곳은 어지럽고 두렵고 피곤과 피로를 일으키는 곳이지만, 또 어느 때에는 잘 정돈되어 있고, 풀꽃과 같은 쾌감의 꽃을 선물하고, 노동의 대가가 반드시 따르는 곳이기도 하다. 우리는 풀밭이라는 이 삶의 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또 이 풀밭을 우리의 가족이라고 불러도 좋고, 직장이라고 불러도 좋고, 모임이라도 불러도 좋고, 아주 개인적인 ‘나’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해가 바뀌어도 풀밭은 여전히 그곳에 있고, 또 우리는 그곳에서 먹고 자면서 살아갈 것이다.
- 〈풀을 뽑으며 살고 있습니다〉 중에서


문학적 통찰력, 자연을 관조하는 깊이 있는 사고와 사유의 힘들은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을 풍성하게 만들고 상상하게 한다. 특히 본문 중간중간 시인이 자연을 실천하며 그 속에서 얻어지는 시들을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최근 시인의 지순한 시적 체험이 어디서 오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시적 문장의 진수를 읽는다!

두 손바닥을 오목하게 모은 듯한 모양으로 작약꽃은 피어서 그 안쪽에 아주 밝은 빛을 담고 있었다. 작약꽃은 성당 같았고, 절 같았다. 맑고 화사한 마음이 그 꽃 속에 살고 있는 것만 같았다. 우리가 완성해야 할 마음씨가 있다면 바로 이런 모습이 아닐까 싶었다.
- 〈작약꽃은 성당 같고 절 같고〉 중에서

먼 곳의 절에서 들려오는 범종 소리를 듣고 있으면 이 세계가 큰 종소리의 내부에 있는 것만 같다. 종소리는 인자한 할머니의 말씀 같다. 종소리는 옆집 이웃이 파 놓은 연못의 바닥에 고이고, 마른 수풀과 고단한 사람들의 잠을 덮고, 수척한 얼굴을 쓰다듬고, 내 집 지붕으로 넘어와 처마 끝 고드름에 매달렸다 낙숫물처럼 떨어져 흐르고, 그림자 없이 마당을 천천히 거닐고, 청록의 비늘이 촘촘한 측백나무에 서고, 어리숙한 나를 흔들고 흔들고, 오죽의 잎사귀 한 잎 한 잎에 지나간다.
- 〈설한풍을 마주하며〉 중에서


​문태준만의 전통적 서정성을 시적 문장으로 승화한 이번 산문집은 이야기의 논리적 구조와 전개 속에서도 절제된 언어로 시의 이미지와 상징을 사용하여, 감정의 깊은 울림과 공간감의 매혹을 안겨준다. 밝은 빛을 담고 있는 작약꽃 안쪽에서 성당 같고, 절 같은, 고요함과 성스러움을 보며 그것이 우리가 완성해야 할 마음씨와 모습이라고 쓴다.
시인은 눈보라가 굶주린 산짐승처럼 혹은 벌 떼처럼 몰아치는 혹독한 제주의 바람을 묘사하기도 하고 어느 날에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눈송이가 그처럼 느리고 그처럼 신중함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다 문득 시인이 깨어난 새벽, 집에서 그리 멀지 않은 절에서 들려오는 종소리가 자연과 어우러지는 상상력과 비유는 마치 이 세계가 하나의 울림 안쪽에서 존재하는 것 같은 감동을 선사한다.
감각적 이미지의 문장구조와 시적 상상력이 펼쳐내는 문태준 시인의 녹색서! 천천히 오래 읽어도 좋을 그가 발견한 자연의 가치는 독자들에게 새로운 문학적 경험을 제공해 준다.


▶ 스스로 기뻐하는 높이를 사는 일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어요》는 여름부터 시작하여 가을, 겨울, 봄, 시인이 자연과 오롯이 맞닥뜨린 사계절을 담으며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시인은 제주의 사계절 모두가 치열하다고 말한다. 봄은 찬연하고 여름은 우레가 몰아치는 삶 같고 가을은 공활하게 아름답고 겨울은 산짐승이 눈 속에 남기고 간 발자국처럼 처연하지만 그것이 자연의 조화이고 나름 그 계절들을 살아가면서 스스로 기뻐하는 높이를 찾아가고 있다고 한다.


한라봉 열매는 각각 다른 높이에 달려 있다. 낮은 가지에, 서쪽 가지에, 안쪽에, 나무의 꼭대기에 각각 달려 있다. 나는 그 각각의 다른 높이를 좋아한다. 그래서 그 높이를 한라봉 열매가 ‘스스로 기뻐하는 높이’라고 부른다. 한라봉 열매는 각각의 스스로 기뻐하는 높이에 열려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열매가 더 높은 곳에 열렸다고 해서 그것이 더 좋은 열매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제각각의 높이에서 제각각의 열매들은 나름으로 열심히 달콤함을 채우면서 좋은 열매로 익어가는 것일 뿐이다.
- 〈스스로 기뻐하는 높이〉 중에서



▶ 마음의 평화로운 내면을 찾아가는 일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헬렌 니어링, 스콧 니어링, 헤르만 헤세, 게리 스나이더, 야마오 센세이……. 당대를 풍미했던 이들은 모두 문명을 버리고 자연 속으로 들어간 시인들이다. 그리고 동양철학 사상과 불교철학에 심취한 지식인들이기도 하다. 본문에도 자주 인용되는 이들의 삶처럼 문태준 시인은 마음을 살피고 다스리는 일에 소홀하지 않는다. 30년 넘게 불교방송에서 몸을 담고 일해온 시인은 자신이 공부했던 불교사상, 고승들의 삶, 그리고 작고 느슨하고 단순한 것으로부터 행복을 찾아가는 마음공부들을 이 책에서 자주 전한다.


한 해를 살면서 무엇에든 반 발짝 뒤로 물러섰다는 생각은 든다. 격렬한 감정으로부터, 악착을 부리며 더 쥐려는 욕망으로부터, 험한 언어와 불만스러운 표정으로부터, 이미 벌어졌거나 일어난 일들로부터, 음식과 옷으로부터, 융숭한 대접과 칭찬으로부터, 홀대와 비난으로부터, 수확한 것의 적고 많음으로부터 반 발짝 뒤로 물러선 느낌이다.
- 〈끝자락에서 돌이켜 생각함〉 중에서


올해 내내 내 마음에 분노가 적었다는 것에 대해 크게 만족한다. 작년보다 화내는 일이 적었고, 화내는
일이 무용하다는 것을 점차 깨닫기도 했다. 그리고 화가 날 때에도 화가 생겨났다는 것을 조금은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어쩌면 나도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언 호수의 수면 아래서 발견한 평온한 내면의 거실이 내 내면에 있다는 것을 보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 〈호수의 얼음 아래에 있는 차분하고 한결같은 내면의 거실〉 중에서


그리하여 헨리 데이비드 소로처럼 호수 깊은 곳에 있는 평온한 내면을 찾아가고 발견하려 한다. 꽃 안쪽에서 피어나는 환한 빛이 성당 같고 절 같다고 느끼며 그 꽃의 평온한 거실에 머물며 우리가 배우고 도달해야 할 마음을 이 책에 이렇게 쓴다.


꽃은 험담을 할 줄 모르고, 꽃은 불평이 없고, 꽃은 분노가 없다.
연한 꽃잎이 수줍은 듯이 피어 있다. 그 꽃 앞에 내가 앉고, 식구가 앉고, 찾아온 손님이 앉고, 나비가 앉고, 시간이 앉는다. 가만히 앉아 숨을 고르고 평화롭고 아름다운 기운을 받는다. 꽃이 환하니 사람도 환하고 세상도 환하다. 서러운 일은 잊을 수 있다.
- 〈꽃은 험담할 줄 모르고〉 중에서

목차

들어가는 글ㆍ6

여름: 여름 정원에 은하 같은 수국은 피어
소나기가 지나가는 시간ㆍ21
풀을 뽑으며 살고 있습니다ㆍ24
꽃은 험담할 줄 모르고ㆍ26
우리의 삶에 우레가 지나가더라도ㆍ28
풀벌레 우는 밤이 들어오는 집ㆍ31
어리숙하여 얻는 것ㆍ34
초여름의 싱싱한 일상을 주세요ㆍ39
큰 더위의 시간ㆍ43
푸른 비와 맹꽁이 울음소리ㆍ47
여름의 얼굴이 설핏 보이는 때ㆍ49
기억을 적어둔 페이지ㆍ53
바람이 세게 불 때에 억센 풀을 안다ㆍ55
빨랫줄을 걸어 놓고ㆍ56
말과 글에 깃든 빛깔과 향기ㆍ58
호미ㆍ62
어린이니까 사랑하는 것이다ㆍ64
수평선ㆍ65
보슬비 올 때에 정원에서ㆍ67
문득 나를 알아보지 못하더라도ㆍ68
연꽃 연못ㆍ70
섬ㆍ72
두 대의 자전거ㆍ73
초대받은 손님처럼ㆍ75
개복숭아나무ㆍ77
내 터졌다ㆍ79
모종과 씨앗에게는 아무 잘못이 없어요ㆍ81
돌담과 푸릇푸릇한 이끼ㆍ83
여름날의 각별한 장면ㆍ85
나는 흙과 돌과 숲과 내게로 물러나네ㆍ87
여름의 끝자락에서ㆍ91

가을: 가지마다 자줏빛 무화과 조롱조롱 맺혀 있고
우리에겐 서로 나눌 열매가 충분히 남아 있다ㆍ95
까맣게 그을린 두 얼굴ㆍ99
들녘의 기록ㆍ102
연못이 품은 세계ㆍ103
나의 생활이 의지하고 있는 것들ㆍ104
사치와 고요와 흥취의 찰나ㆍ105
돌을 피하고서ㆍ106
고맙거나 미안하거나ㆍ108
조용한 만남ㆍ112
대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ㆍ114
내 몸과 마음의 안팎을 돌보는 일ㆍ115
가을 새벽 빗소리가 깨운 것들ㆍ117
옹색함에 대하여ㆍ120
영역 너머로ㆍ121
칸나ㆍ123
얼굴이 가려지지 않도록ㆍ126
가을과 흰 그늘과 고흐ㆍ128
사람의 뿌리도 이래야 해ㆍ134
향유가 다시 돌아오거든ㆍ136
가을이 담긴 무화과나무ㆍ138
귤빛으로 물드는 계절ㆍ141
이웃집 개ㆍ143
정원의 시간ㆍ145
작은 가을 정원을 가꾸며 배우는 일ㆍ147
할머니는 비료 포대를 끌고 다니며ㆍ150
이제 때가 되었네ㆍ151
가을 안쪽에서 만난 가을의 끝ㆍ153
낙엽을 쓸며ㆍ156

겨울: 눈보라에도 살얼음 같은 발자국 남기고
겨울에도 경작하면 봄처럼 재배할 수 있다ㆍ161
스스로 기뻐하는 높이ㆍ164
첫눈ㆍ166
햇살 아래ㆍ167
눈사람의 시간ㆍ168
괜히 했던 말ㆍ171
푸른 댓잎 신우대ㆍ172
환한 세상에서 살다 가야 해ㆍ175
첫 보름달ㆍ179
고요를 얻는 시간ㆍ180
설한풍을 마주하며ㆍ185
팥죽ㆍ188
겨울바람의 목소리들ㆍ189
유자 향기ㆍ190
새 달력을 받고ㆍ191
세 알의 생이밥ㆍ193
마음에도 새로운 풀이 돋아나길ㆍ194
맑고 향기로운 것들ㆍ196
자신만의 꽃에 들어있는 꿀을 찾아서ㆍ199
마른 꽃 마른 잎ㆍ202
호수의 얼음 아래에 있는 차분하고 한결같은 내면의 거실ㆍ204
싸락눈 내리는 겨울밤ㆍ207
흰빛과 겨울 정원ㆍ208
미미하지만 때로는 바위보다 무거운ㆍ211
추사의 귀양살이ㆍ213
붉은 동백꽃의 시간ㆍ217
폭설의 시간을 살며ㆍ218
끝자락에서 돌이켜 생각함ㆍ220

봄: 오목하게 모은 손바닥에 고인 밝은 빛처럼
얇은 얼음 아래의 봄ㆍ223
무화과나무 가지에 새순이ㆍ226
봄눈과 봄볕ㆍ228
할머니의 봄 냉이ㆍ231
여우비 스며든 봄의 그늘에ㆍ233
입춘 풍경ㆍ236
텃밭 구구전ㆍ237
삶과 죽음이 물과 얼음 같으니ㆍ240
일곱 밤을 재우세요ㆍ242
객토ㆍ243
울타리 밖에도 화초를 심는 마을ㆍ244
모르는 사이에 피어난 해바라기ㆍ246
노란 복수초 같은 목소리ㆍ248
노부부의 식당ㆍ249
금은처럼 반짝이는 일상의 음악ㆍ251
잡다한 생각을 끊는 법ㆍ255
백발까지 함께 걸을 사랑이라면ㆍ256
낙화 눈보라ㆍ260
돌에 물을 뿌려요ㆍ261
멀리 나가고 싶지 않아요ㆍ263
듣기 좋은 말만 해요ㆍ264
백 걸음에 아홉 번 꺾인 길ㆍ266
작약꽃은 성당 같고 절 같고ㆍ268
세 가지 결심ㆍ271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일ㆍ273
더 열심히 웃어야겠다ㆍ274
정원과 석류 화분ㆍ278
내 마음에 작약꽃 피어나네ㆍ282
툇마루 예찬ㆍ284
돌ㆍ286
그때 들었던 조언을 더 오래 기억했더라면ㆍ288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