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말실수로
지적받고 싶지 않다면?
나도 모르게 카페에 ‘들린다’고 말하고 있지는 않은가?
‘심란하다’와 ‘심난하다’를 같은 단어로 알고 있지 않은가?
몇 년, 몇 달 다음에 ‘몇 일’이라고 쓰고 있지 않은가?
카페는 ‘들르는’ 것이고, ‘심난하다’는 “매우 어렵다”, ‘심란하다’는 “마음이 어수선하다”라는 뜻이다. 그리고 ‘몇 일’이라는 말은 없고, ‘며칠’이라고 써야 한다. 이처럼 살다 보면 발음이 비슷해서, 뜻을 제대로 몰라서, 잘못 알고 있어서 말실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어문 기자이자 국립국어원 심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말실수가 두려운 사람을 위한 우리말 사용법》의 저자 이경우는 우리말 앞에 주눅 들지 않아야 말실수가 사라진다고 말한다. 그는 우리말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정확하게 우리말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누구나 착각하기 쉬운 우리말의 차이부터 상황과 상대에 맞게 써야 하는 우리말 표현, 상대방이 틀려도 차마 지적하기 어려운 우리말 맞춤법까지 오늘날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 어휘만 담았다. 경계가 흐릿해서 헷갈리는 말, 작은 차이 때문에 오해가 생기는 말, 익숙하지만 잘못된 표기법 등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 봤을 법한 말만 선정해 안내한다.
헷갈리는 맞춤법부터
상황에 맞는 말까지
★ 오전 12시와 오후 12시, 밤 12시와 낮 12시, 자정과 정오
“열차는 오전 12시까지 운행합니다”라는 문장을 보고 어두운 밤을 떠올리는가, 해가 떠 있는 낮을 떠올리는가? 이때는 12시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계약서의 효력은 1일 자정부터 발생합니다”라는 문장을 보고 ‘1일이 시작되는 12시’를 떠올리는가, ‘1일이 끝나고 2일이 시작되는 12시’를 떠올리는가? 이때는 무려 24시간이라는 차이가 있다. ‘오전 12시’의 기준이 애매하고, ‘자정’이 하루가 끝나는 시간인지 시작하는 시간인지 헷갈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모든 혼란을 해결할 수 있는 말은 없을까? 있다. 바로 ‘0시’와 ‘12시’다. 모두가 잠에 들고 달이 떠 있는 밤 12시를 ‘0시’, 모두가 식사를 하고 해가 떠 있는 낮 12시를 ‘12시’로 표기하면 오해가 생길 일이 없다.
★ 상황에 따라 다르게 쓰는 ‘주인공’과 ‘장본인’
혹시 이제껏 ‘주인공’과 ‘장본인’을 같은 뜻으로 사용하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서로 정반대에 있는 표현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기를 바란다. ‘승리를 안긴 주인공’, ‘인간 승리의 장본인’은 모두 한 사람을 치켜세우기 위해 쓰는 표현이다. 하지만 ‘주인공’은 “연극, 영화, 소설 따위에서 사건의 중심이 되는 인물”을 말하고, ‘장본인’은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라는 뜻 외에도 “악인의 괴수”, “못된 일을 빚어 낸 주동자”라는 뜻을 갖고 있다. 따라서 ‘주인공’이라는 말은 긍정적인 상황일 때만 쓰이고, ‘장본인’은 부정적인 상황일 때만 쓰인다.
★ 곰곰이 생각해도 번번이 틀리는, 이와 히
“깨끗이 닦아라”, “꼼꼼히 살펴 봐”, “틈틈이 자기 계발 해야지”라는 말을 어떻게 발음하고 쓰고 있는가?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이’로만 소리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소리 나거나 ‘이’, ‘히’로 소리 나면 ‘-히’로 적어야 한다. 하지만 ‘깊숙이’, ‘샅샅이’, ‘깨끗이’ 등 ‘이’로 발음해야 하는지 ‘히’로 발음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단어가 많다. 이때 ‘ㅅ’ 받침 뒤에는 무조건 ‘이’, ‘가볍다’, ‘가벼운’처럼 ‘ㅂ’이 ‘ㅜ’로 바뀌는 말도 ‘이’, 같은 말이 겹쳐 있는 말은 대부분 ‘이’라는 사실만 기억해 두면 헷갈릴 일이 없다.
말만 잘 해도
인생이 잘 풀린다!
《말실수가 두려운 사람을 위한 우리말 사용법》은 ‘아’ 다르고 ‘어’ 다른 말을 잘못 써서 오해를 사 본 사람, 정확한 표현을 몰라서 창피당해 본 사람, 친구들에게 혹은 상사에게 매번 맞춤법 지적받는 게 신경 쓰이는 사람을 위한 책이다. 점점 글보다 영상에 익숙해지고 직장에서도 메신저 소통이 늘어나는 요즘 우리말의 정확한 뜻과 원리를 알고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고 친절하게 안내한다.
어떤 상황에서도 말실수하지 않고 자신감 있게 말하고 싶다면 스스로 우리말을 갈고닦아야 한다. 상황에 어울리는 말을 선택해야 의도가 제대로 전달되고, 차별적인 단어는 지양해야 누구도 기분이 상하지 않고, 기본적인 맞춤법은 지켜야 신뢰도가 높아진다. 사소한 말 하나가 상황을 바꾸고, 인생을 좌우하는 것이다.
그러니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매번 헷갈리는 사람이라면, 상황과 상대에 맞는 적절한 표현이 생각나지 않는 사람이라면, 맞춤법을 자주 틀리는 사람이라면 지금 당장 이 책을 펼치길 바란다. 당신이 이 책을 한 장씩 넘길 때마다 말실수할 확률은 줄어들고, 자신감이 차오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