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크리스트』를 통해 들여다본 니체의 철학
니체 철학이 완숙기에 이른 1888년 집필된 『안티크리스트』는, 기독교를 비롯한 여러 종교에 대한 비판을 넘어 서구 문명이 형성한 도덕적·철학적 전통을 점검하고 이를 전복하려는 니체의 사유를 집약한 작품이다. 1888년은 니체가 정신적으로 많이 고양되어 있던 시기이기도 하지만 채찍질당하던 말을 부둥켜안고 흐느낀 토리노의 말 사건으로 정신의 붕괴를 맞이하기 바로 직전이기도 하다. 저자 신호재 교수는 이 해설서에서, 엄밀하나 친절한 설명과 아울러 니체의 여러 개념들을 도식으로 시각화해 독자들이 『안티크리스트』에 어려움 없이 다가갈 수 있게끔 하였다.
기독교와 서양 철학 전통에 대한 니체의 강도 높은 비판
이 책에서 저자는 『안티크리스트』의 주요 논지를 치밀하게 분석하고, 핵심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니체 사상의 본질이 보다 쉽게 파악될 수 있게 하였다. 원전에 있는 60여 개의 절을 하나하나 강해하는 것이 아니라 니체 철학의 큰 틀을 잡아 놓고, 저자 자신이 선별한 몇 가지 중심 키워드를 가지고 내용을 전개해 나가기 때문에 『안티크리스트』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뿐만 아니라 니체 철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도 친절한 입문서가 될 것이다.
특히 데카당스나 니힐리즘, 귀족의 도덕과 노예의 도덕, 플라톤의 이데아, 칸트의 순수이성과 실천이성, 선악의 개념 등 다소 어렵고 추상적인 개념들은 도표로 나타내 독자들이 해당 개념들에 한층 더 쉽게 다가가게 하였다. 니체의 철학을 마주하고, 이를 통해 세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이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1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니체의 『안티크리스트』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2장에서는 그리스도교와 서양철학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3장에서는 그러한 비판을 통해 니체가 제시하는 이상적인 삶의 모습을 살펴본다. 2장에서 문제의 원인, 3장에서 그에 대한 해결책과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4장은 니체 철학에 대한 저자의 비판적 평가로서 여기에서 니체 철학이 지닌 한계와 의의를 함께 살펴보고,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니체의 철학을 독자 자신의 삶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저자 나름의 따뜻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 해설서를 통해 『안티크리스트』의 여러 개념 및 논지들을 파악하고, 누구라도 스스로를 창조하는 존재로 나아가게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