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요법과 한방 요법에 따른 건강 지침서
이 책은 2003년에 출간되었던 『백세장수 건강보감』의 개정판이다. 민간 요법과 한방 요법에 따른 건강 지침서로서 식물, 동물, 균류, 해조류 및 광물 가운데 한방이나 민간 약물 요법에 자주 사용하고 약효가 좋은 천연 약물 470종을 선별하여 실었다. 우리가 보통 부르는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으며, 광물류는 뒤쪽에 모아서 정리하였다. 천연 약물마다 생태, 약용 부위, 약효, 사용법 및 참고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며, 저자가 직접 약재를 물로 달인 액의 사진을 수록하였다. 천연 약물의 역사, 이름의 유래, 가까운 식물과의 형태 비교를 기술하여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천연 약물에서 현대 의약품으로 개발되어 사용 중인 것을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의약품의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주도에서 흔하게 자라는 병풀로 만든, 상처를 낫게 하는 연고나 염증 제거제, 도라지를 제약 원료로 하여 만든 가래 제거제, 녹나무와 박하로 만든 근육통 치료제, 미치광이풀을 원료로 하여 만든 멀미 치료제, 은행나무 잎으로 만든 혈액 순환 개선제, 칠엽수 나뭇잎으로 만든 소염제, 물레나물을 원료로 하여 만든 우울증 치료제, 영지버섯이나 상황버섯으로 만든 항암제 등이 소개되어 있다.
부록에는 식물 용어 도해, 천연 약물의 채취 시기, 보관 방법, 수치 과정(건조, 보관, 절단, 찜, 볶음 등), 물로 달이는 방법, 복용법 등을 기술하였다. 또한, 각종 질환에 따른 약물명을 제시하였으며, 한의원 또는 한약방에서 자주 사용되는 한방 처방들을 소개하고 적응증을 정리하였다.
책의 특징
▶이 책에는 식물, 동물, 균류(버섯), 해조류 및 광물 가운데에서 한방이나 민간 약물 요법에서 자주 사용 하고 약효가 좋은 천연 약물 470종을 선별하여 실었다.
▶이 책의 순서는 천연 약물명을 가나다순으로 하고, 광물류는 뒤쪽에 모아서 정리하였다.
▶천연 약물 중 한약 처방에 사용되는 것은 한약 처방명을 기재하였으며, 처방 구성 약물과 효능은 부록에 수록, 정리하였다.
▶약물 사용법은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을 주로 참고하여 정리하였으며, 약재를 달인 액의 사진은 날씨에 따라 색깔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책을 집필하기 위하여 중약대사전(中國江蘇醫學院, 上海人民衛生出版社) 및 원색화한약도감(原色和漢藥圖鑑, 難波恒雄, 保育社), 한국의 약용 식물(배기환, 교학사), 향약대사전(정보섭, 신민교 감수, 영림사), 동양 전통 약물(김재길, 소배근, 영림사), 본초학(한국생약교수협의회, 아카데미) 등을 참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