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체육원리, 체육사가 땡긴다

체육원리, 체육사가 땡긴다

  • 이채문
  • |
  • 지북스
  • |
  • 2016-05-02 출간
  • |
  • 751페이지
  • |
  • 190 X 260 mm
  • |
  • ISBN 978896251306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부
스포츠와 윤리(대한미디어)

제1장 | 스포츠와 윤리
스포츠의 윤리적 기초
1. 도덕, 윤리, 선의 개념
2. 사실판단과 가치판단
3. 스포츠와 윤리의 관계
스포츠윤리의 이해
1. 일반윤리와 스포츠 윤리: 스포츠윤리의 독자성
가. 스포츠윤리의 등장배경
나. 스포츠윤리의 특성
2. 스포츠윤리의 목적과 필요성
가. 스포츠윤리의 필요성
나. 스포츠윤리의 목적
3. 스포츠윤리와 스포츠인의 윤리
윤리이론
1. 결과론적 윤리체계
2. 의무론적 윤리체계
3. 덕론적 윤리체계
4. 동양사상과 윤리체계
가. 유교
나. 불교
다. 도교
5. 가치충돌의 문제와 대안

제2장 | 경쟁과 페어플레이
스포츠경기의 목적
1. 아곤과 아레테의 차
가. 아곤의 의미
나. 아레테의 의미
다. 아곤과 아레테의 차이
2. 승리 추구와 탁월성 추구
스포츠맨십
2016서술형
1. 스포츠맨십의 의미
2. 놀이의 도덕: 규칙의 존중
3. 경쟁의 도덕: 놀이 자체의 존중
페어플레이
2016서술형
1. 페어플레이(공정시합)의 이해
가. *페어*하게 *플레이*한다는 의미
나. 공정시합에 관한 두 가지 견해
2. 의도적 반칙
3. 승부 조작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 방안

제3장 | 스포츠와 불평등
성차별
1. 스포츠에서 성차별의 과거와 현재
가. 스포츠 성차별의 과거
나. 스포츠 성차별의 현재
2. 스포츠에서 성 평등을 위한 방안
가. 스포츠에서의 성차별의 원인
나. 스포츠에서의 성 평등 방안
3. 성전환 선수의 문제
가. 여성 성별확인 검사제도
나. 성전환 선수의 윤리문제
인종차별
1. 스포츠에서 인종차별의 과거와 현재
가. 스포츠 인종주의의 배경 형성
2.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예상되는 갈등들
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나. 다문화사회에서 나타나는 갈등들
3. 스포츠에서 인종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
장애차별
1. 장애인의 스포츠권
2. 스포츠에서의 장애인 차별
가. 장애인 스포츠의 (성)폭력 현황
나.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
3. 장애차별 없는 스포츠의 조건

제4장 | 스포츠에서 환경과 동물윤리
스포츠와 환경윤리
1. 스포츠에서 파생되는 환경윤리적인 문제들
2. 스포츠에 적용 가능한 환경윤리학의 이론들
가.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
나. 자연중심주의(ecocentrism)
다. 인간중심주의인가, 자연중심주의인가?
3. 지속 가능한 스포츠 발달의 윤리적 전제
가. 필요성의 계율
나. 역사성의 계율
다. 다양성의 계율
스포츠와 동물윤리
1. 스포츠의 종차별주의 문제
가. 종차별주의
나. 반종차별주의
2. 경쟁 * 유희 * 연구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
가. 경쟁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
나. 유희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
다. 연구도구로 전락한 동물의 권리

제5장 | 스포츠와 폭력
스포츠폭력
1. 스포츠의 공격적 특성과 폭력성
가. 폭력의 유래
나. 스포츠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폭력성
2. 격투스포츠의 윤리적 논쟁: 이종격투기
가. 이종격투기와 인간의 공격성
나. 이종격투기의 유래와 특징
다. 격투스포츠의 윤리성
선수폭력
1. 폭력을 성찰하는 이론
가. 아리스토텔레스 - 분노
나. 푸코 - 규율과 권력
다. 한나 아렌트 - 악의 평범성
2. 선수폭력의 규정
3. 스포츠폭력의 유형
가. 선수들 간의 폭력
나. 선수 또는 지도자가 심판에게 가하는 폭력
다. 지도자가 선수에게 가하는 폭력
4. 선수폭력 예방 및 대처
5. 선수 성폭력
관중폭력
1. 경기 중 관중의 폭력
가. 관중의 언어폭력
나. 관중의 사이버폭력
2. 경기 후 관중의 폭력행동
가. 훌리거니즘(hooliganism)
나. 관중문화의식

제6장 | 경기력 향상과 공정성
도핑
1. 도핑의 의미
2. 도핑을 금지해야 하는 이유
가. 공정성
나. 역할모형
다. 강요
라. 건강상의 부작용
3. 효과적인 도핑 금지 방안
가. 윤리교육
나. 도핑검사의 강화
다. 적발 시 강경한 처벌
유전자 조작
1. 스포츠에서 유전자 조작의 현황
가. 유전자 도핑의 정의
나. 유전자 도핑의 사용 가능성
2. 유전자 조작을 반대해야 하는 이유
가. 인간존엄성 침해
나. 종의 정체성 혼란
다. 스포츠사회의 무질서 초래
라. 위험성
3. 스포츠에서 유전자 조작 방지 대책
가.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
나. 신뢰성 있는 도핑테스트 개발
다. 선수들의 도핑검사 의무화
라. 선수 및 지도자의 윤리교육 실시
스포츠에서 생체공학 기술활용
1. 스포츠에서 공학기술의 역할
가. 안전을 위한 기술
나. 감시를 위한 기술
다. 수행 증가를 위한 기술
2. 전신수영복 착용을 금지하는 이유
3. 의족장애선수의 일반경기 참가

제7장 | 스포츠와 인권
학생선수와 인권
1. 인권 사각지대인 학교운동부
가. 학교운동부
나. 학교운동부의 인권문제
다. 학교운동부의 인권보장
2. 학생선수의 생활권과 학습권 : 최저학력제
가.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과 최저학력제
나.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 근거
3.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프로젝트
가. 공부하는 학생선수
나.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다.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실천과정
4. 체육특기자의 진학과 입시제도의 문제
가. 체육특기자제도
나. 체육특기자의 진학과 입시제도의 문제
다. 체육특기자의 진학과 입시제도 문제의 해결방안
스포츠지도자의 윤리
1. 지도자에 의한 폭력이 가능한 이유
2. 선수체벌 문제
가. 선수체벌
나. 선수체벌의 문제
다. 선수체벌의 해결방법
3. 성폭력 문제
가. 스포츠 성폭력
나. 스포츠 성폭력 문제
다. 스포츠 성폭력의 해결방안
4. 교육자로서의 책임과 권한
가. 지도자의 역할
나. 교육자로서의 책임과 권한
스포츠와 인성교육
1. 어린이 운동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
가. 어린이 운동선수의 문제
나. 어린이 운동선수의 보호방안
2. 학교체육의 인성교육적 가치
가. 스포츠교육과 인성발달
나. 학교체육의 인성교육적 가치
3. 새로운 학교문화를 위한 스포츠의 역할
가. 학교문화의 특성
나. 새로운 학교문화를 위한 스포츠의 역할

제8장 | 스포츠조직과 윤리
스포츠와 정책윤리
1. 정치와 스포츠의 관계
2. 스포츠의 사회적 이슈와 윤리성 문제
3. 스포츠정책과 윤리성 문제
가. 스포츠정책과 윤리의 연관성
나. 스포츠정책윤리의 이론적 근거
다. 스포츠정책윤리의 확보방안
심판의 윤리
1. 심판의 윤리기준
가. 공정성(公正性)
나. 청렴성(淸廉性)
다. 편견과 차별성
2. 심판의 역할과 과제
가. 심판의 순기능
스포츠조직의 윤리경영
1. 스포츠경영자의 윤리적 의식: 윤리적 리더십
가. 스포츠경영자의 윤리적 의식
나. 스포츠경영자의 윤리적 리더십
2. 스포츠조직의 윤리적 책임 주체와 공동체적 조직행동
가. 스포츠조직의 윤리적 책임 본질과 주체
나. 스포츠조직의 윤리적 책임주체로서 공동체적 개인주의
다. 스포츠조직에서 역할 도덕성과 공동체적 개인주의

제2부
한국체육사(대한미디어)


제1장 | 선사 * 부족국가와 삼국시대의 체육
선사*부족국가시대의 생활과 체육
1. 선사 * 부족국가시대의 생활
2. 선사 * 부족국가시대의 체육
가. 수렵
나. 군사
다. 축제
라. 주술
마. 성년의식
바. 정신 및 위생, 건강
사. 유희
삼국시대의 체육
1. 삼국시대의 생활과 체육
가. 삼국시대의 생활
나. 삼국시대의 체육
2. 삼국시대의 무예
가. 기마술
나. 활쏘기
다. 입산수행과 편력
2014 기입형
라. 화랑도 체육
3. 삼국시대의 체육사상
3-1. 화랑도의 체육사상
가. 신체미의 숭배사상
나. 심신일체론적 체육관
다. 군사주의 체육사상
라. 불국토 사상
3-2. 화랑도 체육의 역사적 의미
4. 삼국시대의 민속놀이와 오락
가. 각저(角抵)
나. 격구(擊毬)
다. 축국(蹴鞠)
라. 수박(手搏)
마. 석전(石戰)
바. 방응(放鷹)
사. 마상재(馬上才)
아. 수렵
자. 투호(投壺)
차. 기타

제2장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체육
고려시대의 체육
1. 고려시대의 사회와 체육
가. 고려시대의 사회
나. 고려시대의 교육
다. 고려시대의 체육
2. 고려시대의 무예
가. 무신정권과 무예를 발달
나. 고려시대의 무예체육
1) 수박
2016 기입형
2) 궁술
3) 마술
2016 기입형
3. 고려시대의 민속놀이와 오락
가. 귀족사회의 민속놀이
나. 서민사회의 민속놀이와 오락
다. 기타 신체 활동
조선시대의 체육
1. 조선시대의 사회와 체육
가. 조선시대의 사회
나. 조선시대의 교육
다. 과거제도
라. 조선시대의 체육
2. 조선시대의 무예
3. 조선시대의 민속놀이와 오락
4. 조선시대의 체육사상
가. 숭문천무와 문무겸전의 대립
나. 심신수련으로서의 활쏘기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무예체육 및 민속놀이와 오락 비교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교육(체육) 비교

제3장 |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체육 * 스포츠
개화기의 체육*스포츠
1. 개화기의 사회와 교육
가. 개화기의 사회
나. 개화기의 교육
2. 개화기의 체육
가. 개화기 체육의 발전 양상
나. 관*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체육
다. 운동회 개최와 역할
라. 체육단체의 결성
마. 근대 스포츠의 도입과 보급
3. 개화기 체육사상과 역사적 의미
가. 개화기 체육사상
● 개화기 체육
일제강점기의 체육*스포츠
1. 일제강점기의 학교체육
가. 무단통치기의 학교체육
나. 문화통치기의 학교체육
다. 민족말살기의 학교체육
2. 일제강점기의 스포츠
가. 근대 스포츠의 도입과 보급
나. 스포츠지도자의 활동
다. 스포츠 단체의 결성과 활동
라. 경성운동장의 건설
3. 일제강점기 민족주의적 스포츠 활동
가. ymca의 스포츠 활동
나. 민중의 스포츠 활동
다. 손기정과 베를린올림픽경기대회
라. 일장기말살사건
● 일제강점기의 체육
● 개화기, 일제강점기 체육단체

제4장 | 현대체육 * 스포츠
체육행정조직 및 체육단체
1. 국가 체육행정조직의 변천
2. 민간 체육단체
가. 대한체육회
나. 대한올림픽위원회
다. 대한장애인체육회
라. 국민생활체육회
마. 국민체육진흥공단
생활체육
1. 생활체육의 개요
가. 생활체육의 개념
나. 생활체육의 특성
다. 생활체육의 역할과 의의
2. 우리나라 생활체육 정책 및 현황
가. 1980년 이전의 생활체육 정책
나. 1990년대의 생활체육 정책
다. 2000년대의 생활체육 정책
라. 현재의 생활체육 정책
현대스포츠와 정치
1. 제 3,4공화국의 *체력은 정치*
2. 제5공화국은 스포츠공화국
가. 한국프로야구의 출범
나. 오직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3. 현대의 정치와 스포츠 역사를 바라보며

제3부
체육원리


part 1
체육의 개념 및 목적


제1장 | 체육이란 무엇인가? (하남길)
체육의 발달 배경
2014 기입형
체육(體育)의 개념
1. 용어의 변천
체육(體育)의 개념의 변천
1. 신체의 교육(education of the physical)
97기출
2. 신체를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97기출
3. 움직임 교육
4. 인간 중심 교육
5. 스포츠 교육
6. 몸 교육(somatic education):
체육 사조의 변천
1. 유럽의 단련주의*자연주의*범애주의 사조
2. 유럽 대륙의 국가주의 체육 사조
3. 영국의 강건한 기독교주의 스포츠 교육 사조
4. 미국의 진보주의와 ★신 체육 사조
5. 움직임 교육 사조
6. 인간주의 체육 사조
7. 스포츠 교육 사조
체육의 목적

제2장 | 체육의 목적과 가치
체육의 목적
1. 학자들의 목적관
2. 우리나라 학교 체육의 목적
3. 체육목적의 정당화
체육의 가치

part 2
체육과 인간 및 신체


제3장 | 존재론(ontology)
존재론적 연구
1. 대상(subject matter)문제
2. 신체(body) 문제

제4장 | 체육관련 개념들
체육?스포츠와 유사한 용어
1. 보건
2. 체조
3. 무용
4. 여가
04기출
5. 레크리에이션
04기출
6. 운동
7. 놀이
04기출
8. 게임
04기출
9. 스포츠
04기출
10. 운동경기
11. 움직임 교육

제5장 | 놀이 * 게임 * 스포츠
놀이이론
1. 고전 이론(classical theory of play)
2. 근대 이론
3. 현대 놀이론
놀이의 특성
1. 호이징하의 놀이 특성 정의
11기출
2. 카이와의 놀이 특성 정의
07기출
11기출
3. 메이어의 정의
11기출
4. 사포라와 미첼의 특성 정의
놀이의 실존적 기능과 내재적 특성
1. 실존적 기능
2. 놀이의 내재적 특성
게임론
스포츠
1. 스포츠의 개념과 정의
2. 스포츠 성격에 관한 사회학적 견해
3. 스포츠 성격에 관한 역사학적 견해
06기출
09기출
2016 서술형
스포츠 문화의 발달 배경
스포츠의 분류

제6장| 심신관계론(心身關係論)과 체육
심신상관론
12기출
공청회

part 3
체육과 지식 및 학문


제7장 | 인식론(epistemology)
인식론적 연구

제8장 | 지식의 유형과 체육
지식과 체육
1. 명제적 지식
06기출
2. 방법적 지식
06기출
09기출
3. 신체행위지식 (physical action knowledge, pak)
4. 체육적 지식과 인격, 그리고 삶

제9장 | 체육의 학문화
체육의 학문적 체계
1. 교육적 측면의 체육:움직임 교육과학
2. 학문적 측면의 체육:움직임 예술 과학
3. 체육의 통합적 정의
4. 체육의 학문적 체계

part 4
체육과 가치 및 교육


제10장 | 가치론(axiology)
가치론적 연구
윤리학

제11장 | 가치의 기원 및 유형과 체육
윤리학
미학

part 5
체육과 사상 및 실천


제12장 | 교육철학과 체육
진보주의(progressivism)
07기출
공청회
11기출
12기출
공청회
1. 진보주의와 교육
2. 진보주의와 체육
항존주의(perennialism)
1. 항존주의와 교육
2. 항존주의와 체육
본질주의(essentialism)
07기출
공청회
11기출
1. 본질주의와 교육
2. 본질주의와 체육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1. 재건주의와 교육
2. 재건주의와 체육

제13장 | 전통철학과 체육
자연주의 (naturalism)
1. 자연주의
2. 자연주의와 교육
3. 자연주의와 체육스포츠
관념론(ldealism)
10기출
1. 관념론
2. 관념론과 교육
3. 관념론과 체육스포츠
실재론 (realism)
1. 실재론
2. 실재론과 교육
3. 실재론과 체육스포츠
실용주의(pragmatism)
02기출
10기출
1. 실용주의
2. 실용주의과 교육
3. 실용주의와 체육
실존주의(existentialism)
11기출
1. 실존주의
2. 실존주의와 교육
3. 실존주의와 체육

제14장 | 스포츠 철학(하남길, 권선옥, 김세기)
스포츠의 의미
1. 스포츠 참여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2. 스포츠를 통한 목적의식 강화
3. 스포츠 참가의 단계와 의미
2014 기입형
⑴ 지향단계
⑵ 준비단계
⑶ 참여단계
⑷ 몰입단계
⑸ 해결 또는 결의단계
스포츠의 잠재적 의미
1. 탁월성의 추구
2. 지배와 우월성
3. 개인적 한계의 규정
4. 모험의 기회 포착
5. 표현
6. 의식의 변용 상태와 신비적 통합
몸과 마음의 관계
1. 인간과 몸
2. 심신 일체론
스포츠와 미
1. 신체미
⑴ 인체미의 요소
⑵ 신체 미학설
2. 스포츠와 운동미
3. 스포츠의 기술미와 예술미
⑴ 스포츠의 기술 미
⑵ 스포츠의 예술 미
4. 스포츠와 움직임의 형식미
⑴ 정제(uniformity)
⑵ 비례(proportion)
⑶ 균형(balance)
⑷ 대칭(symmetry)
⑸ 조화(harmony)
⑹ 층차(gradation)
⑺ 리듬(rhythm)
스포츠와 윤리
1. 스포츠와 경쟁의 유형
⑴ 아곤(agon)과 라이벌리(rivalry)
⑵ 아레테(arete)
2. 스포츠 윤리
⑴ 롬바디주의적 윤리
⑵ 반문화적 윤리
⑶ 혁신적 윤리

제4부
체육과 스포츠 역사


part 1
고대 사회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제1장 | 원시시대의 생활과 신체문화
스포츠의 기원과 진화
1. 스포츠의 기원과 발달
2. 스포츠 문화의 진화 모델
3. 스포츠 문화의 진화 에너지

제2장 | 그리스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호머 시대의 체육과 스포츠
1. 호머 시대의 사회와 교육
2. 호머 시대의 체육
3. 호머 시대의 스포츠:★장례경기
스파르타의 체육
1. 스파르타 사회와 교육
2. 스파르타의 체육
아테네의 체육
05기출
1. 아테네 사회와 교육
2. 아테네의 체육
그리스의 스포츠:범그리스 경기대회
04기출
1. 범그리스 경기대회:4대 ★제전경기
2. 고대 올림픽
12기출
그리스의 체육 사상
1. 그리스 체육과 스포츠 사상적 배경
2. 철학자들의 체육관

제3장 | 로마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로마의 사회와 교육
1. 로마의 사회와 문화
2. 로마의 교육
로마의 체육
1. 체육의 목적
05기출
2. 체육의 제도와 내용
⑴ 전기 로마의 체육
⑵ 후기 로마의 체육
로마의 스포츠와 오락
1. 로마 스포츠의 유래
2. 로마 관중 스포츠와 오락
12기출
로마의 체육사상
1. 기독교 사상과 오락적 스포츠
12기출
2. 체육사상

제4장 | 중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고대 중국의 사회와 교육
1. 고대 중국의 사회와 문화
2. 고대 중국의 교육
고대 중국의 체육
1. 체육의 목적
2. 체육의 제도와 내용
고대 중국의 스포츠
1. 스포츠의 성격
2. 스포츠의 종류
고대 중국의 체육사상

part 2
중세 및 근세 초기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제5장 | 중세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중세의 기사 스포츠
1. 중세의 사회와 문화
2. 중세의 교육
중세의 체육
1. 중세 수도원과 스콜라 교육
2. 중세 기사의 체육
01기출
3. 중세 중국의 체육
중세의 스포츠와 오락
1. 중세 귀족 사회의 스포츠
2. 중세 서민 사회의 스포츠
11기출
3. 중세 중국의 전통 스포츠
4. 중세의 체육사상
12기출

제6장 |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시대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와 교육
1. 르네상스를 근대의 출발로 간주하는 이유(14~16c)
2. 르네상스시대의 교육
르네상스시대의 체육과 사상
1. 르네상스시대의 체육
2. 인문주의자들의 체육 가치관
09기출
3. 중국 원나라시대의 체육
종교개혁시대의 체육
1. 종교개혁시대의 사회와 문화
2. 종교개혁시대의 교육
3. 종교개혁시대의 체육
09기출
12기출
4. 종교개혁시대의 체육 가치관
5. 중국 명조의 체육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의 스포츠
1. 영국 왕실과 귀족사회의 스포츠
2. 중산층과 민중사회의 스포츠
공청회

3. 중국 명조의 스포츠

제7장 | 절대주의시대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절대주의시대의 사회와 교육
1. 절대주의시대의 사회와 교육
2. 절대주의 시대의 교육
12기출
절대주의시대의 체육과 사상
1. 과학시대의 체육
2. 과학시대의 체육 사상
3. 계몽시대의 체육
05기출
12기출
4. 계몽시대의 체육 사상
05기출
2014 기입형
5. 중국 청조의 체육
절대주의시대의 스포츠
1. 영국 스포츠의 발달
2. 미국 스포츠의 발달
3. 중국의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part 3
근대 체육과 스포츠 문화


제8장 | 유럽 대륙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독일의 체육과 스포츠
1. 독일의 교육
2. 독일의 체육
공청회
08기출
09기출
10기출
12기출
2014 기입형
3. 독일의 스포츠
4. 독일의 체육 사상
스웨덴의 체육과 스포츠
1. 스웨덴의 교육
2. 스웨덴의 체육
덴마크의 체육과 스포츠
1. 덴마크의 교육
2. 덴마크의 체육
공청회
10기출
3. 덴마크의 스포츠
4. 덴마크의 체육 사상
프랑스의 체육과 스포츠
1. 프랑스의 교육
2. 프랑스의 체육
3. 프랑스의 스포츠
4. 프랑스의 체육사상
러시아의 체육과 스포츠
1. 러시아의 교육
2. 러시아의 체육
3. 러시아의 스포츠와 무용

제9장 | 영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영국의 사회와 교육
1. 영국의 사회
2. 영국의 교육
영국의 체육
1. 영국 체육의 발달 배경
09기출
2. 영국의 체조 운동
3. 레크리에이션 및 소년단 활동
4. 영국 학교 체육의 발달 과정
10기출
영국의 스포츠
1. 영국 스포츠 문화의 발달 배경
2. 영국 스포츠의 조직화와 확산
3. 각종 스포츠의 발달
공청회
4. 영국 스포츠의 세계화
영국의 체육과 스포츠 사상
1. ★애슬레티시즘
10기출
2015
2. ★강건한 기독교주의
10기출
3. 아마추어리즘
10기출
4. 프로페셔널리즘
10기출
5. 제국주의(임페리얼리즘)
10기출
6. 체육 사상가

제10장 | 미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미국의 사회와 교육
1. 미국의 사회
2. 미국의 교육
미국의 체육
1. 미국 체육의 발달 배경
2014 기입형
2. 미국의 체조 운동
3. 레크리에이션 및 소년단 활동
2015
4. 미국 학교 체육의 발달 과정
공청회
09기출
10기출
12기출
2014 기입형
미국의 스포츠
1. 미국 스포츠 문화의 발달 배경
2. 스포츠의 조직화 전조
3. 스포츠의 조직화
4. 대중 스포츠 시대의 개막
5. 스포츠 문화의 조직화(각종 스포츠의 발달)
공청회
미국의 체육사상
1. 초절주의
2. 실용주의
3. ★강건한 기독교주의
12기출
4. 인종주의와 스포츠
5. 체육 사상가
11기출

제11장 | 중국의 일본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중국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1. 중국의 사회와 교육
2. 중국의 체육
3. 중국의 스포츠
4. 중국의 체육 사상
일본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1. 일본의 사회와 교육
10기출
2. 일본의 체육
3. 일본의 스포츠
4. 일본의 체육사상:★무사도

제12장 | 근대 올림픽
근대 올림픽의 부활
1. 유사올림픽 대회
2. ★쿠베르탱의 등장
3. 브룩스의 제안과 ★쿠베르탱의 올림픽 제창
11기출
4. 고대 올림픽의 부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하계올림픽
1. 제1회 올림픽, 그리스 아테네 (athens greece, 1896)
2. 제2회 올림픽, 프랑스 파리 (paris france, 1900)
11기출
3. 제3회 올림픽, 미국 세인트루이스 (st, louis usa, 1904)
4. 제4회 올림픽, 영국 런던 (london great britain, 1908)
5. 제5회 올림픽, 스웨덴 스톡홀름 (stockholm sweden, 1912)
6. 제7회 올림픽, 벨기에 앤트워프 (antwerp belgium, 1920)
11기출
7. 제8회 올림픽, 프랑스 파리 (paris france, 1924)
8. 제9회 올림픽,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amsterdam netherland, 1928)
9. 제10회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los angeles usa, 1932)
10. 제11회 올림픽, 독일 베를린 (berlin germany, 1936)
11기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하계올림픽
1. 제14회 올림픽, 영국 런던 (london great britain, 1948)
11기출
2. 제15회 올림픽, 핀란드 헬싱키 (helsinki finland, 1952)
11기출
3. 제16회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맬버른 (melbourne astralia, 1956)
4. 제17회 올림픽, 이탈리아 로마 (rome ltaly, 1960)
5. 제18회 올림픽, 일본 도쿄 (tokyo japan, 1964)
6. 제19회 올림픽, 멕시코 멕시코시티 (mexico city mexico, 1968)
7. 제20회 올림픽, 독일 뮌헨 (munich germany, 1972)
11기출
8. 제21회 올림픽, 캐나다 몬트리올 (athens greece, 1976)
9. 제22회 올림픽, 소련 모스크바 (moscow ussr, 1980)
10. 제23회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los angeles usa, 1984)
11. 제24회 올림픽, 대한민국 서울 (seoul korea, 1988)
11기출
12. 제25회 올림픽, 스페인 바르셀로나 (barcelona spain, 1992)
13. 제26회 올림픽(100주년), 미국 애틀랜타 (atlanta usa, 1996)
14. 제27회 올림픽, 호주 시드니 (sydney australia, 2000)
15. 제28회 올림픽, 그리스 아테네 (athene greece, 2004)
16. 제29회 올림픽, 중국 베이징 (beijing, china, 2008)
동계올림픽 대회
1. 제1회 동계올림픽, 프랑스 샤모니 (chamonix france, 1924)
2. 제2회 동계올림픽, 스위스 산모리츠 (st. moritz switzerland, 1928)
3. 제3회 동계올림픽,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lake placid usa, 1932)
4.제4회 동계올림픽, 독일 가르미쉬-파르텐키르헨 (garmisch-partenkirchen germany, 1936)
5. 제5회 동계올림픽, 스위스 산모리츠 (st. moritz switzerland, 1948)
6. 제6회 동계올림픽, 노르웨이 오슬로 (osolo norway, 1952)
7. 제7회 동계올림픽,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cortina d'ampezzo italy, 1956)
8. 제8회 동계올림픽, 미국 스퀘벨리 (squaw valley usa, 1960)
9. 제9회 동계올림픽,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innsbruck austria, 1964)
10. 제10회 동계올림픽, 프랑스 그르노블 (grenovle, france, 1968)
11. 제11회 동계올림픽, 일본 삿포로 (sapporo japan, 1972)
12. 제12회 동계올림픽,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innsbruck austria, 1976)
13. 제13회 동계올림픽,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lake placid usa, 1980)
14. 제14회 동계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 (sarajevo yugoslavia, 1984)
15. 제15회 동계올림픽, 캐나다 캘거리 (calgary canada, 1988)
16. 제16회 동계올림픽, 프랑스 알베르빌 (sarajevo yugoslavia, 1992)
17. 제17회 동계올림픽,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lillehammer, norway, 1994)
18. 제18회 동계올림픽, 일본 나가노 (nagano japan, 1998)
19. 제19회 동계올림픽,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salt lake city usa, 2002)
20. 제20회 동계올림픽, 이탈리아 토리노 (torino, italy, 2006)
근대 올림픽 사상과 이데올로기
1. ★올림피즘
2. 아마추어리즘과 프로페셔널리즘
3. 국가주의
4. 상업주의
5. 인종주의
6. 성차별주의

part 4
한국의 체육과 스포츠문화


제16장 |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개화기의 교육
1. 개화기의 사회와 교육
1) 개화기의 사회
2. 개화기의 교육
개화기의 체육
1) 개화기 체육의 발전 단계
12기출
2) 개화기의 체육
12기출
개화기의 스포츠
1) 학교 스포츠의 발달
2) 체육단체의 결성
3) 개화기 체육의 역사적 의미
개화기의 체육사상
1) 유교주의와 체육
2) 사회 진화론적 민족주의
체육 사상가
공청회
⑴ 이기
⑵ 문일평
⑶ 이기동
⑷ 이종만
⑸ 조원희
⑹ 노백린
⑺ 이종태
⑻ 박은식

제17장 | 일제 강점기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일제강점기의 체육
10기출

1. 조선 교육령 공포기의 체육 (1911~1914)
2. 체조교수요목의 제정과 개정기의 체육 (1914~1927)
3. 학교체육 교수요목기의 체육 (1927~1941)
4. 체육 통제기의 체육 (1941~1945)
5. 민족주의적 체육 활동
6. 체육 *스포츠의 탄압
일제강점기의 체육사상
1. 민족주의 체육사상
2. ymca의 복음주의 운동과 ★강건한 기독교주의

제18장 | 광복 이후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광복 이후의 사회와 교육
1. 광복 이후의 사회
2. 광복 이후의 교육
광복 이후의 체육
1) 미군정기와 교수요목 시대의 체육
1)-1. 체육의 편제 및 목적
2) 교육과정 시대의 체육
광복 이후의 스포츠
1. 체육 및 스포츠 진흥운동의 전개 양상
2. 학교 스포츠의 발달
3. 사회 스포츠의 발달
4. 각종 스포츠의 발달
5. 스포츠 발달의 배경과 특성
6. 광복이후의 체육사상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