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행복은 누추하고 불행은 찬란하다

행복은 누추하고 불행은 찬란하다

  • 장석주
  • |
  • 현암사
  • |
  • 2016-05-25 출간
  • |
  • ISBN 9788932317915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4,000원

즉시할인가

12,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시인 장석주가 건져 올린 찬란한 한 줄의 시어 정신이 번쩍 드는 명징한 문구 위선적 ‘힐링 과잉’으로 나약해진 이들에게 사유을 통한 ‘자발적 고뇌’를 권하다 베스트셀러 저자이자 문필가로 더 잘 알려진 ‘시인’ 장석주가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코너와 문화예술위원회의 ‘시배달’ 코너에 게재한 시 중 129편을 꼽아 묶었다. 저자는 행과 연으로 엮인 시에서도 단 한 줄의 날카로운 구절만을 남겨 마치 하이쿠 같은 울림을 준다. 기존의 시 독법이 전체를 음미하는 방식이었던 것에 반해, 이 방식은 짜릿한 전율을 일으킨 ‘찰나의 문장’을 잡아두고 깊이 사유하는 독특한 구조다. 그러나 그리 낯설지는 않다. 어느 날 문득 마음을 베듯 가슴속으로 파고든 날선 시의 비수. 그 섬뜩한 언어의 칼날은 대부분 짧고 강렬한 한 줄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단 한 줄의 시어에 매료되어 전문을 읽고 행과 연을 외운다. 태생부터 짧고 강렬한 시가 언중에게 활용되는 자연스러운 용례다. 요즘 출판계 동향을 다룬 기사에는 ‘시의 새로운 도약’이 항시 언급된다. 위로가 필요한 외로운 현대인에게 시가 힐링의 손길을 건넨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시어, 따스한 문구가 SNS에 게재되며 화제를 모으기도 한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어설픈 위로를 경계한다. 시는 지금 여기 생생하게 ‘살아 있음’을 인지하는 행위이며, 산다는 것은 제 생의 무게를 스스로 짊어지는 것이다. 저자는 시인이 생을 ‘인내하고 살아내며’ 자아낸 거미줄에 맺힌 이슬을, 찬란한 불행이라 칭한다. 시인의 촉각(觸角)으로 만져낸 ‘시의 모서리’ 투박한 말[言]의 돌덩어리를 시인이 날마다 벼른 날카로운 정으로 쪼개고 다듬어낸 것이 시다. 우리는 시를 읽으며 잡음어를 도려내고 삶의 선명한 실체를 직면한다. 그래서 우리는 시를 읽는다. 시를 더듬어 읽다 보면 마음의 온도를 올리고 내리는 문장들이 만져진다. 어떤 말들은 손이 서늘해지고, 또 어떤 말들은 눈시울을 뜨겁게 하며, 어떤 말들은 문득 발이 시리다. 시가 우리에게 처음 들어오는 곳은 눈이지만, 시를 육화(肉化)하는 것은 마음의 손끝이다. 손으로 만져 모서리를 더듬는 촉감으로 시의 몸체를 읽어내며, 우리는 전율하고 앓아눕고 때로는 미소 짓는다. 시인의 예민한 촉각은 시를 만지는 것으로 생(生)을 복기한다. 지은이가 뽑아낸 찬란한 ‘불행’의 문구들은

목차

머리말 있다 저녁으로 / 송승언(1986~) 비 / 이달균(1957~ ) 새 / 프랑시스 퐁주(1899~1988) 조용한 숲 속에 / 프랑시스 잠(1868~1938) 뼈가 있는 자화상 / 이장욱(1968~ ) 긍휼 / 성동혁(1985~ ) 내가 장미라고 불렀던 것은 / 전동균(1962~ ) 벗는다는 것 / 이채민(1957~ ) 식탁 / 이성복(1952~ ) 나의 길이 / 신해욱(1974~ ) 범종 속에는 누이가 살고 있다 / 김정임(1953~ ) 중국인 맹인 안마사 / 심재휘(1963~ ) 풀과 생각 / 이병일(1981~) 나무와 그림자 / 김남조(1927~ ) 노독 / 이문재(1959~ ) 열매 맺지 못하는 오렌지 나무의 노래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1898~1936) 지평선 / 김혜순(1955~ ) 바람 부는 저녁-안토니를 위하여 / 하일지(1955~ ) 오체투지 / 이수익(1942~ ) 석류 / 조운(1900~1956?) 깊고 고요하다 / 최승자(1952~ ) 되돌아오다 / 조승래(1958~ ) 뒤편 / 천양희(1942~ ) 확고한 움직임 / 우영창(1955~ ) 티셔츠에 목을 넣을 때 생각한다 / 유희경(1980~ ) 춤 / 이진명(1955~ ) 사마귀 / 반칠환(1964~) 산에서 잠들다 / 안이삭(1961~ ) 편도나무에게 / 니코스 카잔차키스(1883~1957) 나는 알고 있다 / 외젠 기유빅( 1907~1997) 식생 / 황인찬(1988~ ) 산다 3월로 건너가는 길목에서 / 박목월(1916~1978) 검은 빗속에서 / 우대식(1965~ ) 렌트 / 조동범(1970~ ) 울음의 영혼 / 이기철(1943~) 서성이는 것들 / 장대송(1962~ ) 토우 / 권혁재(1965~ ) 손거울 / 박용래(1925~1980) 유령림 / 김안(1977~ ) 가을벌레 / 홍성란(1958~ ) 여름 별자리 / 이준관(1949~ ) 가차 없이 아름답다 / 김주대(1965~ ) 술빵 냄새의 시간 / 김은주(1980~ ) 활 / 강정(1971~ ) 어느 소나무의 말씀 / 정호승(1950~ ) 겨울 금파리에 가야겠네 / 이경교(1958~ ) 반성 / 류근(1966~ ) 일곱 번째 사람 / 아틸라 요제프(1905~1937) 한양호일(漢陽好日) / 서정주(1915~2000) 가을 근시 / 김명인(1946~ ) 한여름, 토바고 / 데릭 월컷(1930~ ) 분홍색은 아프다 / 박정남(1951~ ) 시간의 눈 / 파울 첼란(1920~1970) 희망에게 / 유영금(1957~ ) 죽는다 늙어가는 법 / 송하선(1938~ ) 산그늘 / 이상국(1946~ ) 구멍가게-중독자를 위로함 / 이영광(1965~ ) 쉰 / 윤제림(1960~ ) 슬하 / 유홍준(1962~ ) 세상의 모든 비탈

저자소개

저자 장석주 시인, 독서광, 인문학 저술가. 1955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다. 서울에서 청소년기를 보내며 시립도서관과 국립도서관에서 독학으로 시와 철학을 공부했다. 서재와 정원이 있다면 다른 도락은 없어도 좋다고 생각한다. 책과 도서관을, 햇빛과 의자를, 대숲과 바람을, 고전음악을, 침묵과 고요를 사랑한다. 스무 살 때 《월간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한 뒤 197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하고, 같은 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입선하며 평론을 겸업한다. 스물다섯 살 때 출판 편집자로 첫발을 디딘 뒤 열다섯 해 동안 출판 편집자로 살았다. 1993년 출판사를 접고 여러 매체에 글을 쓰고 대학교 세 군데에서 강의를 하며 방송진행자로 활동했다. 2000년 여름, 서울 살림을 정리하고 경기도 안성으로 내려가 ‘수졸재’를 짓고 열두 해 동안 살았다. 지금은 서울과 안성을 오가며 살고 있다. 시집 『몽해항로』, 『오랫동안』, 『일요일과 나쁜 날씨』 등을 포함해서 『풍경의 탄생』, 『이상과 모던뽀이들』, 『나는 문학이다』, 『마흔의 서재』, 『새벽예찬』, 『일상의 인문학』, 『동물원과 유토피아』, 『철학자의 사물들』, 『불면의 등불이 너를 인도한다』, 『글쓰기는 스타일이다』, 『일요일의 인문학』 등을 썼다.

도서소개

베스트셀러 저자이자 문필가로 더 잘 알려진 ‘시인’ 장석주가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 코너와 문화예술위원회의 ‘시배달’ 코너에 게재한 시 중 129편을 꼽아 묶었다. 저자는 행과 연으로 엮인 시에서도 단 한 줄의 날카로운 구절만을 남겨 마치 하이쿠 같은 울림을 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