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보안은 뚫을 수 없는 벽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뚜렷한 목적을 가진 공격자는 방어체계를 넘어 결국 공격을 수행한다. 가장 효과적인 정보보호 모니터링 방법은 침해사고를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제시하여 능동적 보안 관제(NSM)를 통합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보안 모니터링』은 능동적 보안 관제를 통해 사전 지식을 요구하지 않고도 가장 견고한 네트워크 방어체계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능동적 보안 관제를 위한 플랫폼 구성 방법
- 독립형 및 분산형 관제 네트워크 구성
- 커맨드라인 명령어 및 그래픽 분석 도구의 사용 방법
-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한 침해사고 분석
- 외부 위협 인텔리전스를 사용하여 고급 공격자 탐지
독자 대상
초중급
이 책의 구성
1부 “시작하기”는 능동적 보안 관제 및 센서 설치 방법을 소개한다.
1장 “능동적 보안 관제의 목적”에서는 보안 관제를 수행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능동적 보안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 방법을 설명한다.
2장 “네트워크 트래픽 수집: 접근, 저장, 관리”에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에 물리적으로 접근 시 발생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2부 “시큐리티 어니언 설치”에서는 SO 설치 및 효과적인 환경 설정 방법을 소개하다.
3장 “능동적 보안 관제를 위한 독립형 플랫폼 설치 및 운영”에서는 SO을 소개하며 저가형 범용 하드웨어에 SO 소프트웨어 설치 및 운영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4장 “분산 설치”에서는 3장에서 다룬 내용을 확장하여 분산 환경에서의 SO 설치 및 운영 방법을 다룬다.
5장 “SO 플랫폼 관리”에서는 SO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3부 “사용 도구”에서는 SO에 포함된 핵심 소프트웨어와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6장 “명령어 기반의 패킷 분석 도구”에서는 SO에 포함되어 있는 Tcpdump, Tshark, Dumpcap, Argus의 핵심 기능을 알아본다.
7장 “그래픽 기반의 패킷 분석 도구”에서는 Wireshark, Xplico 그리고 NetworkMiner 사용 방법을 알아본다.
8장 “능동적 보안 관제 콘솔”에서는 스구일, 스쿼트, 스노비, 엘사와 같은 능동적 보안 관제 패키지 툴에 대해 알아본다.
4부 “능동적 보안 관제 활용”에서는 능동적 보안 관제 프로세스와 침해사고를 탐지/대응하기 위한 데이터를 다룬다.
9장 “능동적 보안 관제 운영”에서는 글로벌 기업에서 침해사고 대응을 총괄하던 저자의 경험을 공유한다.
10장 “서버망 침해사고”에서는 능동적 보안 관제의 사례 연구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구간에서의 침해사고 대응 사례를 다룬다.
11장 “사용자망 침해사고”에서는 능동적 보안 관제의 두 번째 사례 연구로 내부망에서의 피해 사례를 다룬다.
12장 “SO 확장”에서는 SO을 확장할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하며 이번 장을 마무리한다.
13장 “프락시와 체크섬”에서는 능동적 보안 관제 수행 시 부딪칠 수 있는 문제를 다룬다.
결론 부분에서는 능동적 보안 관제가 향후 클라우드 환경 등에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부록 부분에서는 “SO 스크립트 및 환경 설정”을 통해 SO 개발자인 더그 벌크 등의 핵심 스크립트 파일 및 설정 스크립트를 제공한다.
출판사 리뷰
사전 지식 없이 가장 견고한 네트워크 방어체계를 구축하려면?
기업 내부의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을 막으려면?
가장 효과적인 정보보호 모니터링 방법은?
현대 디지털 세상에서는 회사의 크기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침해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 책이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위협들이 군, 경찰 등의 영역에 제한된 것이 아니라 일반 사회 영역에 존재하는 까닭이다.
“만약 여러분의 기관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이미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뛰어난 방어자는 자신의 방어체계가 지속적으로 침해 당한다는 가정하에 보안체계를 운영하여야 하며 침해사고 대응체계는 더 이상 일회성, 일시적으로 운영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침해사고 대응체계는 명확한 지표와 목적을 가지는 지속적 비즈니스 프로세스로 인지되어야 한다. 이 책은 여러분의 보안 관제에 실제 발생하는 사고를 탐지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 도구 그리고 프로세스를 소개한다. 만약 독자들 중 가장 최근 발생한 침해사고 건수 및 대응 시간을 알지 못한다면 이 책을 통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핵심 지표 수립 및 이를 통한 대응 활동 구성 방법을 알게 될 것이다.
이제 이 책을 펴면 여러분도 네트워크 보안 마스터로서의 첫걸음을 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