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방진단의 길잡이

한방진단의 길잡이

  • 하장
  • |
  • 성보사
  • |
  • 2015-04-10 출간
  • |
  • 350페이지
  • |
  • 194 X 265 mm
  • |
  • ISBN 978898879496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저자의 말>

편작(扁鵲)의 일화를 보면, 그가 신비한 약을 먹고 사람의 내장을 볼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고, 또『난경(難經)』에서는 “환자를 보기만 하고서 병을 알아내는 것을 ‘神’이라고 한다(望而知之謂之神).”고 하였다. 이는 망진(望診)이 한의학 고유의 진찰 방법인 사진법(四診法) 중 최우선임을 나타낸다. 그렇다면 정말 望診으로 진단이 가능한지, 어떻게 하면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지, 또 어떻게 해야 그러한 경지에 오를 수 있는지가 궁금하다.『변증방약정전(辨證方藥正傳)』의 저자인 李尙和 선생은, 편작이 신비한 약을 복용했기 때문에 오장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는 말을 믿지 않았다. 그저 사람들이 그가 신비한 약을 복용해서 그런 신통한 능력이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한 것이지, 신기한 방법이 아닌 망진으로 확연하게 알아낸다는 것을 모른다고 하였다. 구한말 당대 최고의 명의였던 분의 말씀이 이러하다면, 망진이 그리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한 방법은 아닐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까닭에 望診法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여 임상에 적용시켜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望?聞?問?切 등 四診法에 관한 내용을 책으로 펴내는 데는 몇 가지 물음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첫째, 꼭 망진이 필요한가? “외부에 상응하여 나타나는 증상을 관찰하여 그 내장의 변화를 예측하면 발생하는 질병을 알 수 있다.”고 하였고, “보아서 아는 것을 神이라고 한다.”고 하여 四診 중에서 望診을 최고의 경지로 보았으며, “제일 먼저 환자의 神?氣?色을 살펴야 하고, 色의 潤과 枯, 形의 肥와 瘦, 일상생활의 행동(起居動作)과 수면상태 등을 구분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望診이 진단에서 필수불가결한 방법인 데다가 모든 진찰 방법 중 가장 우선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의학 진찰 방법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觀形察色이다. 이렇듯 진찰 방법에서 望診을 제외하고 어떻게 온전한 한의학을 구현할 수 있겠는가!
둘째, 주관적인 감각(五感)을 통해 이루어지는 望聞問切의 四診法이 진찰 방법으로서 얼마나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 이는 醫者의 五感을 통한 이러한 방식이 진단학적으로 객관성과 보편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인데, 이 방법이 진찰자의 주관적인 감각을 사용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주어진 감각자료를 인식하는 과정에 객관성을 보장해주는, 즉 동일한 보편성을 갖는 공통주관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望診法이 어떠한 가치가 있는가? 사람은 두 눈과 마음의 靈明함으로 모든 것을 추측하고, 나의 氣와 神, 理로써 세상을 증험한다. 또한 인간은 天地와 끊임없이 교섭하며 살아가는 존재로서, 그 과정에서 인체 내부의 변화가 외부로 나타나므로 그 외부를 살피면 내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눈과 정신으로 인체를 살피는 望診法은 시간이 지나도 바뀌지 않는 인간의 인식론 문제이므로 진단학적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넷째, 望診을 말로 설명할 수 있을까? 사람의 형체와 정신, 태도, 움직임, 표정, 감정, 얼굴색 등을 일일이 글로써 묘사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것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이를 글로 풀어쓸 때 그 표현이 비록 낯설고 거칠더라도, 그 시도를 통해 좋은 내용을 축적해가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앞으로 望診法(四診法)은 한의사의 손에서 점점 더 멀어지게 될 것이다. 어설픈 시도일지라도 과감하게 한 걸음 내딛는 용기가 필요하다.

20세기 이후 한의학에는 새로운 치료법이 많이 등장했고, 또한 치료율 상승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그에 비해 전통적인 한의학 진찰 방법을 발전시키려는 노력은 다소 미흡했다고 본다.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사회 환경 등의 이유로 한의학이 위기라고 말하지만, 한의사들이 한의사 본연의 모습에서 멀어진데서 이러한 위기가 시작되었다고 본다. 한의사라면 환자가 말해주지 않아도, 원래 당신이 어떠한 특성을 갖고 태어났는지, 과거에 어떠했는지, 현재 어떠한 상태인지, 앞으로 어떻게 생활해야 하는지 등을 알아내어, 한의학이 아주 매력적인 학문이고 뛰어난 의술이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각인시켜줘야 한다. 환자들이 한의사에게 바라는 것 또한 그러한 것일지도 모른다. 한의사는 환자를 꿰뚫어 볼 수 있는 혜안을 지니고서 환자를 감동시키고 감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임상가는 한의학적 이론과 임상을 모두 갖추고 실전에 적용해야 할 책무가 있다. 하지만 지금의 교육환경이 도제식 교육법이었던 예전과는 달리,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되어 보다 폭넓은 이론수업은 들을 수 있는 반면, 훌륭한 임상가가 되기 위한 실무를 배우기는 오히려 더 어려워졌다. 이는 마치 외과의가 되려는 사람이 수술법을 강의로만 익히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는 고전에 나타난 한의학 진찰법을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기술?설명함으로써 이를 임상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架橋 역할을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책에서는 진찰 방법뿐만 아니라 진찰의 요점, 임상실례, 환자와의 대화내용 등을 아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한의사들이 보다 쉽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책을 완성해가는 시점에서 돌아보니, 자칫 책의 내용이 너무 상업적으로 비춰지는 것은 아닌가? 라는 두려운 생각이 앞섰다. 책 내용 중에도 언급이 되었지만, 名醫가 되기 위해서는 의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裏面까지도 살필 수 있는 慧眼이 있어야 하고, 동시에 풍부한 임상 경험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를 대하는 醫者의 마음이다. 醫者가 진심으로 환자를 대할 때에야 비로소 慧眼이 생기고, 以心傳心으로 환자가 마음을 열어 感動을 통한 感化가 이루어질 것이다. ‘先義後利’라는 말처럼, 醫者는 진심으로 환자를 대하고 맑은 平常心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꼭 강조하고자 한다.


목차


서 론

제1장 진단의 개요

一. 문헌상에 나타난 진찰의 대상
二. 진찰의 순서
三. 醫者의 자격조건과 자세

제2장 形?神?氣?聲의 이해

一. 形
1. 形이란 우리 몸의 形狀이다
2. 사람의 形狀을 자연계에 비유하여 이해한다
3. 形은 선천적으로 다르게 타고 난다
4. 形은 연령에 따라 변화한다
5. 形은 환경과 음식에 영향을 받는다
6. 形의 强弱과 壽命
7. 邪氣의 침입과 질병 발생 부위
8. 體形과 動態를 함께 살펴야 한다
9. 骨格은 타고난 虛實이고, 色은 변하는 것이다
10. 稟賦 받은 체질은 변할 수 있다
11. 形의 특성에 따라 生理病理 현상도 차이가 생긴다
12. ?理?皮膚?肌肉?筋?骨 등 신체 각 부분으로 몸 상태를 진찰한다
[부록] 臟腑形狀
(1) 肝
(2) 心
(3) 脾
(4) 肺
(5) 腎
二. 神
1. 神의 정의
2. 神의 구분
3. 神의 생성
4. 눈과 얼굴을 살펴 神을 파악한다
5. 사람의 動態를 살펴 神을 알 수 있다
6. 질병의 진단?치료 시에 神이 가장 중요하다
7. 得神者는 昌하고, 失神者는 亡한다
8. 神을 살피기란 매우 어렵다
9. 相法에서의 神
三. 氣
1. 有形의 神?理로 有形의 事物을 窮究하여야 한다
2. 사람은 氣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氣의 작용에 의한다
3. 사람은 天地의 氣가 合해져 生한다
4. 사람마다 稟賦 받은 氣가 다르다
5. 氣에는 盛衰가 있다
6. 氣는 精을 生하고 形을 충실하게 한다
7. 陽氣를 중시해야 한다
8. 氣의 生理
9. 氣의 病理
四. 聲
1. 聲音은 인체의 울림이다
2. 진찰을 할 때에는 聲音을 중시해야 한다
3. 聲音은 氣에서 발생하고, 氣는 肺가 主宰한다
4. 聲音은 發聲 기관의 협조로 나온다
5. 聲音을 五音으로 分辨한다
6. 聲音은 氣의 영향을 받는다
7. 聲音은 인체의 病理 현상을 반영한다
8. 聲音에 의한 진단
9. 聲音으로 壽夭와 吉凶, 기질을 판단한다

제3장 望類型

一. 사람은 각기 다른 신체조건을 갖고 있다
二. 체형에 따라 생리적 특징이 있다
三. 內經에 나타난 類型
四. 남자의 類型 구분
1. 筋骨이 盛한 體型
[참고] 津液이 부족해진 마른체형(燥證)
2. 肥濕한 體型
3. 細長型
(1) 배가 차고 기관지가 약한 체형
(2) 건강한 細長型
(3) 熱이 많은 細長型
(4) 마르고 허리가 약한 경우
(5) 精力不足型
4. 上盛下虛의 體型
5. 肺가 약한 체형
6. 거북목 體型
五. 여자의 類型 구분
1. 細長型
(1) 배가 차고 기관지가 약한 체형
(2) 예민한 細長型
(3) 熱이 많은 細長型
(4) 건강한 細長型
2. 肥濕한 體型
(1) 팔다리가 짧고 흉곽이 크며 통통한 체형
(2) 체격이 크고 肥濕한 체형
3. 骨格이 큰 體型
(1) 체격이 크고 근골이 좋은 경우
(2) 체격이 커도 근골이 약한 경우
4. 美人型
5. 地積型
6. 津液不足型
7. 精力不足型

제4장 觀人勇怯骨肉皮膚

一. 사람은 선천적으로 稟賦를 다르게 타고난다
二. 五體는 五臟과 相合한다
三. 勇怯을 살핀다
1. 勇者
(1) 체격이 크고 우람한 자의 경우
(2) 체격이 작고 왜소한 자의 경우
2. 怯者
(1) 체격이 큰 사람의 경우
(2) 체격이 작은 사람의 경우
四. 骨을 살핀다
1. 强骨의 경우
2. 弱骨의 경우
五. 肌肉을 살핀다
六. 皮膚를 살핀다
七. 五味와 五體
八. 五體의 生理와 病理
九. 治療
十. 豫後
十一. 相法

제5장 色澤의 진찰(察色)

一. 察色의 중요성
二. 五色에는 生氣가 있어야 한다
三. 顔面의 각 부위는 해당 臟腑와 신체부위의 상태를 반영한다
1. 顔面을 內外로 나누어서 臟腑를 配屬한다
2. 五官을 위주로 五臟을 配屬한다
3. 東西南北中央의 方位에 따라 臟腑를 配屬한다
4. 男女는 順逆과 위치가 다르다
四. 五色의 生理
五. 五色의 病理
六. 顔面 五色의 특성
1. 靑色
2. 赤色
3. 黃色
4. 白色
5. 黑色
七. 察色을 통한 진단
八. 察色의 임상 운용
1. 얼굴의 전반적인 色을 살핀다
(1) 面色黃白과 氣血不足
(2) 面白과 肺虛
(3) 面色黃赤濁
(4) 面色赤과 肝熱, 心熱
(5) 面黑과 肝腎
(6) 面靑과 肝脾不和
2. 얼굴의 부위를 구분하여 살핀다
(1) 上停
(2) 中停
(3) 下停
3. 얼굴의 피부를 살핀다
4. 손[手]
九. 五色의 변화로 예후를 가늠한다
十. 醫者는 察色에 밝아야 한다

제6장 顔面과 身體 부위의 진찰

一. 顔面望診의 개요
1. 얼굴을 살펴서 질병을 진단한다
2. 五官으로 五臟을 살핀다
3. 얼굴과 신체 각 부위를 함께 살핀다
4. 顔色과 질병 증상을 함께 살핀다
5. 얼굴을 보아 壽命을 가늠한다
6. 五臟六腑의 顔面配屬
7. 三停과 五嶽
二. 顔面의 부위별 진찰
1. 髮[머리카락]
2. 顔庭[이마]
3. 印堂[闕, 眉間]
4. 眉[눈썹]
5. 目[눈]
6. 臥蠶(와잠)
7. 鼻[코]
8. ?骨[광대뼈]
9. 人中(인중)
10. 脣[입술]
11. 口[입]
12. ?[턱]
13. 耳[귀]
14. 舌[혀]
15. 齒[치아]
三. 기타 신체 부위의 진찰
1. 頸項[목]
2. 前腕[아래팔
3. 手[손
(1) 손의 모양
(2) 손의 色澤과 寒溫
4. 爪甲[손톱]

제7장 望七情

一. 五志의 化生
二. 七情의 病理
三. 脫營과 失精
四. 눈과 얼굴을 통해 환자의 감정을 살펴야 한다
五. 七情傷의 치료
六. 相法
七. 七情의 임상적 관찰
1. 怒[분노]
2. 喜[기쁨]
3. 思[생각]
4. 悲[슬픔]
5. 驚[놀람]?恐[두려움]
6. 憂[근심]
7. 銳敏(예민)
8. 緊張(긴장)

제8장 望氣色

一. 생활적인 관점에 의한 분류
1. 일을 많이 한 사람(노동자, 농군 유형)
2. 고생을 많이 한 사람(풍파를 많이 겪은 사람)
3. 바쁘고 부지런한 사람
4. 어질고 성실한 사람
5. 피곤한 사람
6. 肝疲勞
7. 기력이 빠지는 노인
8. 아프고 난 사람
9. 몸이 冷한 사람
10. 어머니 類型
(1) 賢母良妻형 어머니
(2) 헌신하는 어머니
(3) 완고한 어머니
(4) 함부로 사는 어머니
二. 정신적인 관점에 의한 분류
1. 정직하고 신의가 있는 사람
2. 예민한 사람
3. 잔신경을 많이 쓰는 사람
4. 긴장하고 사는 사람
5. 정신적인 피로가 많은 사람
6. 성질난 사람
7. 의심이 많고 깐깐한 사람
8. 걱정이 많은 사람(생각이 많은 사람)
9. 불면증
10. 우울증
11. 공황장애
12. 흉폭한 사람
13. 욕심 많은 사람
14. 단순하고 과감한 사람
15. 억울한 사람
16. 충격 받은 사람
(1) 돈 떼인 사람
(2) 놀란 사람
18. 어지러운 사람
19. 애정결핍
三. 소아, 청소년
1. 이비인후과 계통이 안 좋은 아이
2. 자다가 땀 흘리는 아이(盜汗)
3. 밥 잘 안 먹는 아이
4. 성장기 어린이
5. 성장통
6. 게으른 청소년
7. 熱이 많은 청소년
8. 산만한 아이
四. 부인
1. 자궁이 약한 여성
2. 유산한 여자
3. 출산한 여성
4. 갱년기 여성
5. 月經痛
6. 不姙
7. 과부
8. 성적 불만족인 여자
9. 성적으로 헤픈 여자
10. 도화(桃花)
11. 美人型
(1) 腎氣가 약한 경우
(2) 주관이 강한 경우
(3) 감성이 풍부한 경우
(4) 천박하고 앙칼지며 고집이 센 경우
(5) 耳目口鼻가 뚜렷한 경우
12. 俗濁之相

제9장 脈診

一. 脈位의 深淺
1. 浮脈
2. 沈脈
二. 脈數의 多寡
1. 遲脈
2. 數脈
三. 脈搏의 强弱
1. 虛脈
2. 實脈
四. 脈幅의 大小
1. 大脈
2. 小脈(細脈)
五. 脈體의 長短
1. 長脈
2. 短脈
六. 脈形의 변화
1. 滑脈
2. 澁脈
3. 弦脈
七. 脈 週期의 변화
1. 代脈

제10장 問診

一. 問證法

제11장 代謝論

一. 寒熱代謝
1. 몸이 冷한 사람(寒證)
2. 몸에 熱이 많은 사람(熱證)
二. 氣血代謝
1. 氣가 부족해지기 쉬운 사람(氣虛證)
2. 血이 부족해지기 쉬운 사람(血虛證)
三. 津液代謝
1. 津液이 부족해지기 쉬운 사람(津液不足證)
2. 濕이 停滯하기 쉬운 사람(水飮內停證)

제12장 用藥法

用藥法

도서소개

이 책에서는 진찰 방법뿐만 아니라 진찰의 요점, 임상실례, 환자와의 대화내용 등을 아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한의사들이 보다 쉽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판사 서평

<저자의 말>

편작(扁鵲)의 일화를 보면, 그가 신비한 약을 먹고 사람의 내장을 볼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고, 또『난경(難經)』에서는 “환자를 보기만 하고서 병을 알아내는 것을 ‘神’이라고 한다(望而知之謂之神).”고 하였다. 이는 망진(望診)이 한의학 고유의 진찰 방법인 사진법(四診法) 중 최우선임을 나타낸다. 그렇다면 정말 望診으로 진단이 가능한지, 어떻게 하면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지, 또 어떻게 해야 그러한 경지에 오를 수 있는지가 궁금하다.『변증방약정전(辨證方藥正傳)』의 저자인 李尙和 선생은, 편작이 신비한 약을 복용했기 때문에 오장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는 말을 믿지 않았다. 그저 사람들이 그가 신비한 약을 복용해서 그런 신통한 능력이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한 것이지, 신기한 방법이 아닌 망진으로 확연하게 알아낸다는 것을 모른다고 하였다. 구한말 당대 최고의 명의였던 분의 말씀이 이러하다면, 망진이 그리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한 방법은 아닐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까닭에 望診法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여 임상에 적용시켜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望?聞?問?切 등 四診法에 관한 내용을 책으로 펴내는 데는 몇 가지 물음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첫째, 꼭 망진이 필요한가? “외부에 상응하여 나타나는 증상을 관찰하여 그 내장의 변화를 예측하면 발생하는 질병을 알 수 있다.”고 하였고, “보아서 아는 것을 神이라고 한다.”고 하여 四診 중에서 望診을 최고의 경지로 보았으며, “제일 먼저 환자의 神?氣?色을 살펴야 하고, 色의 潤과 枯, 形의 肥와 瘦, 일상생활의 행동(起居動作)과 수면상태 등을 구분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望診이 진단에서 필수불가결한 방법인 데다가 모든 진찰 방법 중 가장 우선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의학 진찰 방법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觀形察色이다. 이렇듯 진찰 방법에서 望診을 제외하고 어떻게 온전한 한의학을 구현할 수 있겠는가!
둘째, 주관적인 감각(五感)을 통해 이루어지는 望聞問切의 四診法이 진찰 방법으로서 얼마나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 이는 醫者의 五感을 통한 이러한 방식이 진단학적으로 객관성과 보편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인데, 이 방법이 진찰자의 주관적인 감각을 사용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주어진 감각자료를 인식하는 과정에 객관성을 보장해주는, 즉 동일한 보편성을 갖는 공통주관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望診法이 어떠한 가치가 있는가? 사람은 두 눈과 마음의 靈明함으로 모든 것을 추측하고, 나의 氣와 神, 理로써 세상을 증험한다. 또한 인간은 天地와 끊임없이 교섭하며 살아가는 존재로서, 그 과정에서 인체 내부의 변화가 외부로 나타나므로 그 외부를 살피면 내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눈과 정신으로 인체를 살피는 望診法은 시간이 지나도 바뀌지 않는 인간의 인식론 문제이므로 진단학적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넷째, 望診을 말로 설명할 수 있을까? 사람의 형체와 정신, 태도, 움직임, 표정, 감정, 얼굴색 등을 일일이 글로써 묘사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것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이를 글로 풀어쓸 때 그 표현이 비록 낯설고 거칠더라도, 그 시도를 통해 좋은 내용을 축적해가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앞으로 望診法(四診法)은 한의사의 손에서 점점 더 멀어지게 될 것이다. 어설픈 시도일지라도 과감하게 한 걸음 내딛는 용기가 필요하다.

20세기 이후 한의학에는 새로운 치료법이 많이 등장했고, 또한 치료율 상승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그에 비해 전통적인 한의학 진찰 방법을 발전시키려는 노력은 다소 미흡했다고 본다.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사회 환경 등의 이유로 한의학이 위기라고 말하지만, 한의사들이 한의사 본연의 모습에서 멀어진데서 이러한 위기가 시작되었다고 본다. 한의사라면 환자가 말해주지 않아도, 원래 당신이 어떠한 특성을 갖고 태어났는지, 과거에 어떠했는지, 현재 어떠한 상태인지, 앞으로 어떻게 생활해야 하는지 등을 알아내어, 한의학이 아주 매력적인 학문이고 뛰어난 의술이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각인시켜줘야 한다. 환자들이 한의사에게 바라는 것 또한 그러한 것일지도 모른다. 한의사는 환자를 꿰뚫어 볼 수 있는 혜안을 지니고서 환자를 감동시키고 감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임상가는 한의학적 이론과 임상을 모두 갖추고 실전에 적용해야 할 책무가 있다. 하지만 지금의 교육환경이 도제식 교육법이었던 예전과는 달리,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되어 보다 폭넓은 이론수업은 들을 수 있는 반면, 훌륭한 임상가가 되기 위한 실무를 배우기는 오히려 더 어려워졌다. 이는 마치 외과의가 되려는 사람이 수술법을 강의로만 익히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는 고전에 나타난 한의학 진찰법을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기술?설명함으로써 이를 임상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架橋 역할을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책에서는 진찰 방법뿐만 아니라 진찰의 요점, 임상실례, 환자와의 대화내용 등을 아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한의사들이 보다 쉽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책을 완성해가는 시점에서 돌아보니, 자칫 책의 내용이 너무 상업적으로 비춰지는 것은 아닌가? 라는 두려운 생각이 앞섰다. 책 내용 중에도 언급이 되었지만, 名醫가 되기 위해서는 의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裏面까지도 살필 수 있는 慧眼이 있어야 하고, 동시에 풍부한 임상 경험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를 대하는 醫者의 마음이다. 醫者가 진심으로 환자를 대할 때에야 비로소 慧眼이 생기고, 以心傳心으로 환자가 마음을 열어 感動을 통한 感化가 이루어질 것이다. ‘先義後利’라는 말처럼, 醫者는 진심으로 환자를 대하고 맑은 平常心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꼭 강조하고자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