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장에 뛰어들고 싶은가?
중국 문화산업의 궤적을 오롯이 담아낸 필독서!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전술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보자!
중국 문화산업의 궤적을 오롯이 담아낸 필독서, 『중국문화산업이 미래다』
세계 문화산업의 중심지, 중국!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전술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보자!
중국정부의 문화산업 육성정책에 따라 중국정부기관은 물론 민간 기업에 이르기까지 문화산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국 문화산업 시장은 현재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 곳에는 기회와 도전이 병존하고 있다. 기회를 노리는 세계 문화 산업인들이 중국 문화산업 시장에 손을 뻗기 시작한 지도 오래 전이다. 거대한 중국 문화시장을 겨냥하고 문화 창작 소재 개척의 일환으로 아시아, 특히 중국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서양은 물론 아시아 국가들도 중국의 문화의 다양성을 문화 창작 소재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미 광활한 문화산업 시장의 기회를 잡기 위해 대열에 합류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났다. 1992년 수교 이후 양국의 문화 교류는 활발히 진행되었고, 거대한 중국 문화산업 시장에서 우리나라 문화가 당당히 자리매김했다. ‘한류’라는 신조어가 탄생되었고, 한국의 대중문화 및 한국 연예인들의 문화 활동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대되었다.
그러나 급성장하는 경제만큼이나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중국 문화시장에서 변화의 흐름을 읽지 못하면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중국 영상시장이 드라마에서 영화로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음악시장이 어떻게 발전하는지, 방송 프로그램들이 어떤 프로그램들을 선호하는지, TV에서 인터넷 및 모바일로의 전환은 얼마나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중국인들의 음악이나 영상 소비 패턴은 어떤지, 그리고 대중의 대중문화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중국정부의 움직임은 어떤지 등을 적절히 파악하여 따라가지 못하면 중국 문화시장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사업 기회를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 이 책에서는 중국의 경제, 사회 및 문화적인 측면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국 문화시장 진출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저자의 경험에서 우러난 디테일과 이론을 연계하여 중국 문화산업 시장의 현주소를 집중 분석하고 있다. 중국 문화산업 진출을 위한 저자의 오랜 경험과 시행착오가 고스란히 담겨있기에 동종의 다른 서적들과 차별화된다. 중국 문화산업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이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로 가득 채워진 필독서라 할 수 있다. 중국 문화산업의 궤적을 오롯이 담아낸 필독서, 『중국문화산업이 미래다』를 통해 중국 문화시장 진출 전략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