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약제부는 처방에 따른 조제뿐 아니라 전문적이고 다양한 환자 지향적 임상약제업무를 통해 약물요법의 질적 향상과 적절한 환자 치료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일반 약제업무에서 환자 중심의 임상약제업무 및 안전한 약물관리로 약제업무의 중요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병원내 다양한 전문가들이 팀을 구성하여 환자의 평가와 치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는‘팀의료’가 활성화되고 있어 팀의 일원으로서 병원약사의 전문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병원약학은 약학이론과 함께 의료현장에서의 약제업무실습을 통해야 비로써 그 내용이 확실히 이해되고 완성될 수 있습니다.
교육, 연구, 진료라는 서울대학교병원의 설립목적에 따라, 약제부는 그동안 의료현장에서 약학 전공자들에게 병원약제업무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여 왔습니다. 약학대학 6년제 개편에 따라 모든 약학대학 학생들이 필수 실무실습 과정으로 병원약학을 실습하게 됨에 따라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실무실습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실무실습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실습서에는 실습생이 가져야 할 자세 및 의료기관 실습에 필요한 기본교육을 모두에 기술하여 의료현장에서 약제업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의료에 종사하는 전문인으로서 환자의 질병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책임감 있는 태도를 갖추도록 하였습니다. 병원 및 약제부 조직의 특성과 역할, 약국 전산 시스템의 이해를 통해 병원의 전반적인 처방시스템을 파악하고 전체적인 업무흐름을 익힐 수 있도록 실습에 바탕이 되는 사항 등을 상세히 담았습니다.
병원 약제부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업무를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업무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에 대해 사진을 첨부하여 실습생이 표준화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실습생에게 어려운 용어는 본문 양옆에 별도로 정의하여 이해를 도왔으며 각 단계별 실습에 실습목표, 실습내용을 기술하여 실무실습의 질적 표준화를 꾀하였고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사항은 자기평가문제를 통해 한번 더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임상업무소개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임상업무 중 고영양수액요법, 임상약동학, 항응고약료, 장기이식약료, 중환자약료, 호흡기약료업무를 기술하여 심화 실무실습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다.
병원약학 실무실습서는 이론적 약학지식을 습득한 약학대학 학생이 다양한 의료현장에서 약사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하여 환자의 약물요법 및 임상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고 통일성 있는 교육의 질을 확보하고자 상세하고 충실하게 기술하였습니다. 또한 약학대학 학생 외 병원 약사로서 첫발을 내딛는 신규약사에게 필요한 업무 매뉴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중소병원 약제부에게 필요한 조제지침 및 업무 프로세스 등이 기술되어 있어 병원약제부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끝으로 병원약학 실무실습서 발간에 수고해주신 약무과 약무교육파트와 교육실무위원들에게 감사드리며 병원약학 실무실습이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되어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13년 8월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장 김 향 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