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임상 상황에 비추어 볼 때 간호 행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과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과정에서 간호진단은 자료를 분석하고 문제를 확인하여 전문직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임으로써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간호진단은 간호사와 대상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간호 실무의 독자적인 영역을 명확하게 하고, 간호진단을 기반으로 한 대상자에게 개별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저술에서 사용한 간호진단은 대한간호협회에서 NANDA의 간호진단명을 우리말로 표준화한 목록을 기준으로, 2012...
더보기
최근 임상 상황에 비추어 볼 때 간호 행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과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과정에서 간호진단은 자료를 분석하고 문제를 확인하여 전문직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임으로써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간호진단은 간호사와 대상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간호 실무의 독자적인 영역을 명확하게 하고, 간호진단을 기반으로 한 대상자에게 개별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저술에서 사용한 간호진단은 대한간호협회에서 NANDA의 간호진단명을 우리말로 표준화한 목록을 기준으로, 2012-2014 NANDA 간호진단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간호진단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고, 2장에서는 NANDA에서 제시한 간호진단명을 그 정의와 특성, 관련요인, 위험요인 등을 중심으로 수록하였으며, 3장에서는 의학적 진단명이나 임상 상황에 따라 가능한 간호진단을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본 저술의 내용이 임상 및 간호 현장에서 학생들과 임상간호사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출판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신 군자출판사 장주연 사장님과 임직원 여러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드린다.
2014년 6월
저자 길 숙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