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간호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전문간호사 제도가 확립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임상 현장이나 간호교육 부분에서 신체검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간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간호사들은 간호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간호과정 첫 단계인 사정에서 대상자의 주요 증상 등 간호력을 포함한 건강력 수집과 신체검진을 통해 대상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감별진단이 필요한 질환을 판단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게 된다.
건강력 수집은 대상자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계로, 면담을 통하여 질병에 대한 것을 발견할 뿐 아니라 대상자의 말을 잘 듣고...
더보기
최근 간호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전문간호사 제도가 확립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임상 현장이나 간호교육 부분에서 신체검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간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간호사들은 간호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간호과정 첫 단계인 사정에서 대상자의 주요 증상 등 간호력을 포함한 건강력 수집과 신체검진을 통해 대상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감별진단이 필요한 질환을 판단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게 된다.
건강력 수집은 대상자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계로, 면담을 통하여 질병에 대한 것을 발견할 뿐 아니라 대상자의 말을 잘 듣고, 대상자의 모습(검진실로 들어올 때 걸음걸이, 목소리의 억양, 얼굴 표정, 몸짓, 진찰대로 올라갈 때의 어려움 등)을 잘 관찰함으로써 대상자의 증상이 대상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신체검진을 할 때 더 완벽하게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다.
신체검진은 건강문제를 찾아내는 기법으로 시진, 청진, 타진, 촉진법이 이용된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이 기법을 잘 습득해서 대상자의 문제점을 찾아내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러한 기법이 몸에 익숙하지 못하면 대상자를 사정할 때 자신감이 떨어지고 당황해 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하여 자세하게 머리에서부터 발끝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하면 중요한 부분을 빠뜨리지 않고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서는 총 3단원 2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원은 건강사정의 기본으로 건강사정의 개요, 비판적 사고 그리고 면담과 건강력 사정을 다루고 있으며, 2단원인 9장부터 22장까지는 부위별 신체검진을 다루고 있다. 각 장마다 구조와 기능, 건강력, 신체검진, 기록, 건강증진을 포함하였다. 3단원은 특수검진으로 아동, 청소년 그리고 노인의 신체검진을 다루었다.
각 장에는 본문 옆 오른쪽에 비정상 결과들을 기술하였고, 뒷부분에 비정상 결과들을 표와 그림들로 표현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포함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서에 사용된 의학용어는 대한의협의학용어사전검색을 이용하였으며, 용어의 혼선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하여 한글과 영어를 괄호 안에 넣어서 용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 책을 번역하는데 있어서 여러 역자들은 간호현장에서 근무한 경험과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하였으며 좋은 교과서로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본 서가 간호학을 사랑하고 간호현장에서 일하시는 간호사, 간호학을 공부하는 학생 그리고 이들에게 신체검진을 가르치는 교수님들께서 많은 활용이 되기를 기대한다.
바쁘신 중에도 원고를 작성하여 주신 집필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군자출판사 장주연 사장님과 편집과 교정과정에서 수고하신 석태회 과장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최근 간호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전문간호사 제도가 확립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임상 현장이나 간호교육 부분에서 신체검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간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간호사들은 간호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간호과정 첫 단계인 사정에서 대상자의 주요 증상 등 간호력을 포함한 건강력 수집과 신체검진을 통해 대상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감별진단이 필요한 질환을 판단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게 된다.
건강력 수집은 대상자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계로, 면담을 통하여 질병에 대한 것을 발견할 뿐 아니라 대상자의 말을 잘 듣고, 대상자의 모습(검진실로 들어올 때 걸음걸이, 목소리의 억양, 얼굴 표정, 몸짓, 진찰대로 올라갈 때의 어려움 등)을 잘 관찰함으로써 대상자의 증상이 대상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신체검진을 할 때 더 완벽하게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다.
신체검진은 건강문제를 찾아내는 기법으로 시진, 청진, 타진, 촉진법이 이용된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이 기법을 잘 습득해서 대상자의 문제점을 찾아내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러한 기법이 몸에 익숙하지 못하면 대상자를 사정할 때 자신감이 떨어지고 당황해 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하여 자세하게 머리에서부터 발끝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하면 중요한 부분을 빠뜨리지 않고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서는 총 3단원 2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원은 건강사정의 기본으로 건강사정의 개요, 비판적 사고 그리고 면담과 건강력 사정을 다루고 있으며, 2단원인 9장부터 22장까지는 부위별 신체검진을 다루고 있다. 각 장마다 구조와 기능, 건강력, 신체검진, 기록, 건강증진을 포함하였다. 3단원은 특수검진으로 아동, 청소년 그리고 노인의 신체검진을 다루었다.
각 장에는 본문 옆 오른쪽에 비정상 결과들을 기술하였고, 뒷부분에 비정상 결과들을 표와 그림들로 표현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포함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서에 사용된 의학용어는 대한의협의학용어사전검색을 이용하였으며, 용어의 혼선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하여 한글과 영어를 괄호 안에 넣어서 용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 책을 번역하는데 있어서 여러 역자들은 간호현장에서 근무한 경험과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하였으며 좋은 교과서로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본 서가 간호학을 사랑하고 간호현장에서 일하시는 간호사, 간호학을 공부하는 학생 그리고 이들에게 신체검진을 가르치는 교수님들께서 많은 활용이 되기를 기대한다.
바쁘신 중에도 원고를 작성하여 주신 집필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군자출판사 장주연 사장님과 편집과 교정과정에서 수고하신 석태회 과장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역자들을 대표하여
김금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