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아버지의 라듸오

아버지의 라듸오

  • 김해수 , 김진주 (엮음)
  • |
  • 느린걸음
  • |
  • 2016-04-22 출간
  • |
  • 240페이지
  • |
  • ISBN 978899141820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959년, 국산 라디오(금성 A-501, 등록문화재 제559-2호)를 처음 만들어
대한민국 전자산업의 새벽을 연 엔지니어 故김해수의 일대기
‘산업역군’ 아버지의 기록을 ‘민주투사’ 딸 김진주가 엮어냈다

지지직거리는 ‘아버지의 라듸오’에서 흘러나오는 이야기들은
일제와 해방, 전쟁과 분단, 산업화와 민주화의 한국 현대사를
가로지르며 우리의 뿌리 깊은 기억과 새로운 희망을 일깨운다



반세기 만에 다시 주목 받는 엔지니어 김해수의 라디오와 삶


1959년, 최초의 국산 라디오(금성 A-501, 등록문화재 제559-2호)를 만들어 대한민국 전자산업의 새벽을 연 엔지니어 김해수(金海洙, 1923-2005). 김해수에게 라디오는 운명과도 같았다. 그는 14살에 일본 도쿄에서 유학하여 이불 속에 숨어서 라디오 기술을 배웠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관리들도 탐내던 탁월한 엔지니어였고, 해방 직후에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첩첩산중에 불을 밝히며 ‘전기 의사’라 불리던 고향마을 스타였다.
금성사(현 LG전자) 1회 공채시험에 수석합격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라디오, TV 등을 설계하고 만든 김해수는 계속되는 실패 속에서도 부품 국산화에 심혈을 기울였다. 식민지배와 전쟁을 겪은 작은 나라에서 일본과 미국으로부터 기술적 독립과 경제적 독립의 초석을 닦기 위한 토종 엔지니어의 자존심과 사명감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 그의 공로로‘금성 A-501’ 라디오는 지난 해 미래창조과학부에 의해 ‘대한민국 광복 70년 과학기술 70선’에 선정되어 새롭게 주목 받았다. (KBS 광복 70년 특집 다큐멘터리 ‘70인의 인생, 역사를 만들다’에서 소개) ‘금성 A-501’ 라디오는 생산된 지 50년이 지난 2013년 8월에 전자 산업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을 IT강국으로 발돋움하게 한 산업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더 빛나는 엔지니어 김해수의 개척정신은 앞이 보이지 않는 저성장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긍지와 새로운 도전의식을 불어넣는다.


‘산업역군’ 아버지와 ‘민주투사’ 딸이 함께 빚어낸 대립과 화해의 기록

이 책이 더욱 의미 있는 것은 ‘산업화 1세대’인 아버지 김해수의 기록을 ‘민주화 주역’이었던 딸 김진주(前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중앙위원)가 엮어냈다는 점이다. 아버지 김해수가 ‘산업역군’으로 대통령 표창장을 받으며 경제발전에 신명을 바치는 동안, 그의 아들 딸들은‘민주투사’가 되어 거리로 달려나갔다.
딸 김진주는 1978년 이화여대 약학과를 졸업한 후, 약사라는 안정된 기반을 버리고 가출을 감행, 구로공단 미싱사가 되어 사회주의 혁명을 꿈꾸던 박노해 시인(당시 노동자 박기평)을 만나 결혼하게 된다. 1991년 수배 중이던 딸과 사위가 안기부에 의해 체포되자, 아버지 김해수는 거실에 자랑스럽게 걸어두었던 대통령 표창장을 책상 서랍 속에 넣어두게 된다.
아버지 김해수는 말한다. “조국 근대화의 주역으로 산업현장에서 심혈을 바쳤던 우리 세대는 위대했지만,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래로 수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위해서 희생당했던 고통을 강요하거나 외면해온 죄를 짓기도 했다. 그 때문에 우리는 다음 세대에게 ‘민주화의 주역’이라는 임무를 떠넘기게 됨으로써 우리 사회가 더욱 엄청난 대가를 치러야 했던 것이다.”
한편, 딸 김진주는 엮은이의 글을 통해 말한다. “20세기 초에 첨단의 전자공학을 공부한 엔지니어로서 그가 살아낸 한국의 현대사는 ‘희망의 시대’이자 ‘배반의 시대’였다. 아버지가 겪어온 날들의 희망과 배반을 잊지 않고 되새겨보는 일은 지금 이 시대를 통과하는 우리 삶의 의미와 과제들을 좀더 뚜렷하게 밝혀주리라고 믿는다.” 아버지와 딸이 빚어낸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 대립과 화해의 순간이 이 책의 곳곳에서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2016년 봄, 반세기 만에 부활해 소리를 낸 ‘아버지의 라디오’

아버지의 육필 원고를 정리하던 김진주는 실제 ‘아버지의 라디오’를 찾아 나서기 시작했다. 그런데 라디오의 진품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운 일이었다. 수소문해보니 남아 있는 것은 전국을 통틀어 대여섯 대뿐이고,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명품 반열에 들었다는 사실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뒤늦게나마 사려고 해도 팔겠다는 이가 없어 라디오를 만든 사람의 유족 입장에서 안타까운 마음이었는데, 최근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무려 반세기 만에 라디오가 소리를 낸다는 것이었다.
박물관의 유물로만 존재했던 그 라디오를 김흥일 선생 (前태백기계공고 교장)이 수리를 해서 되살려놓았다. 김흥일 선생은 4월 28일 방송예정인 KBS ‘과학의 달’ 특집 다큐멘터리 제작팀의 의뢰를 받아 꼬박 일주일 동안 수리에 매달려 라디오에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 지난 4월 2일 ‘반세기 만에 부활한 라디오 시연 현장’에서 김진주를 만난 김흥일 선생은 이렇게 소회를 전했다. “회로 하나하나를 다시 체크해 보았는데 예전의 성능을 거의 유지하고 있어 참으로 놀라웠죠. 당시 라디오를 개발한 엔지니어들의 선견지명과 튼튼하고 오래가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고심했던 흔적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김진주가 낡은 스위치를 켜자 기적처럼 전원등에 불빛이 들어왔다.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이리저리 다이얼을 돌리다 보니 진공관을 타고 들려오는 아나운서의 음성, 흥겨운 노랫소리까지! 김진주는 아버지가 손수 만든 ‘금성 A-501’ 라디오가 세상을 향해 첫 발신을 하던 순간의 전율을 느끼며 눈시울이 젖어 들었다.


‘과학의 달’ 특집 KBS 다큐 <아버지의 라디오> 2016년 4월 28일 방영 예정

4월은 ‘과학의 달’이다.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큰 획을 남겼지만 우리가 미처 몰랐던 이름, 김해수의 일대기를 공영방송을 통해 생생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해방 후 70년간 과학기술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꾸었을까?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초고속 성장을 거듭해온 오늘의 대한민국을 가능하게 했던 과학기술과, 그 숨은 공로자들을 집중 조명하는 이번 KBS특집 다큐멘터리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일군 주요인물로서 집중 조명을 받은 사람은 단 두 명, 세계적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와 <아버지의 라디오>의 주인공 엔지니어 김해수이다.
당시에는 조명 받지 못했지만 오늘날 엄청난 산업적, 문화적 파장을 일으켜 온 공로와 실체를 추적하고, 그 의미를 시청자들과 독자들이 되짚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스마트 기술로 재편되는 대전환의 시대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꿀 혁신적 발상은 어떻게 가능한지 고민해 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 아버지의 라디오>편은 총 4부작 중, 3부로 4월 28일 밤 10시에 KBS1 텔레비전을 통해 방송될 예정이다. 이번 방송을 통해 1959년 이 땅에 탄생한 라디오 한 대가 어떻게 대한민국의 IT기술과 전자산업의 효시가 되었고, 우리 전자제품들이 ‘Made in Korea’로 세계를 누비게 되었는지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엮은이 머리말 | ‘아버지의 라듸오’가 들려주는 이야기 9
지은이 머리말 | 내가 물려주고 싶은 엔지니어 정신 35

1 부 도쿄에서 엔지니어가 되다
동네에서 소문난 악동 42
집안 내림이었던 낚시 취미 48
도쿄로 유학을 간 소년 54
숨어서 배운 라디오 기술 58
일본인도 탐낸 최고의 엔지니어 63
광산에서 맞은 조국 해방 70

2 부 해방된 조국의 빛과 어둠 속에서
고향에서 스타가 된 사연 80
첩첩산중에 최초로 밝힌 전깃불 85
좌우익을 넘나든 ‘전기 의사’ 98
내 친구 강대봉의 죽음 109
전쟁통의 소안도 피난살이 117
국제시장 ‘화평전업사’ 개점 125

3 부 국산 라디오 1호를 만들기까지
금성사 수석 합격과 라디오 개발 132
한국 전자공업의 선구자들 138
첫 국산 라디오 ‘A-501’의 탄생 144
거듭되는 실패의 가시밭길 150
박정희 대통령과의 극적인 만남 159

4 부 멈추지 않는 엔지니어의 열정으로
새로운 임무, 국산 텔레비전 생산 168
내 손으로 설계한 금성사 동래 공장 173
본사 기획부장 승진과 ‘떡고물’ 거절 183
대기업을 떠나 새로운 개척지로 189
그리운 나의 은인 가와다케 씨 200

5 부 바람 속의 등불처럼 일가를 이루다
수호천사 아내 자랑 210
세 아들과 여섯 손주들 217
유별난 딸과 사위 박노해 223

故 김해수 연보 1923~2005 236  

저자소개

저자 : 김해수

저자 김해수는 1923년 경상남도 거창에서 태어나 하동에서 자랐다.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으로 가서 도쿄고등공업학교에 진학했다. 1943년 일본 군부에 의해 인천 조병창의 전기주임으로 발령 받았으나 탈출해 강원도 산골로 숨어들었다. 강원도 광산에서 전기 책임자로 일하던 중 해방을 맞이했고 1945년 고향 하동에서 ‘창전사’를 개업했다. 전기가 들어오지 않던 시절, 첩첩산중 시골마을을 다니며 빛을 밝히는 스타 엔지니어로 활약했다. 해방 직후, 좌우익 분쟁에 휘말려 수감되었다가 고문 후유증으로 폐결핵을 앓고 소안도에서 요양을 하던 차에 1950년 6.25전쟁이 터졌다. 전란 중에 부산 국제시장에서 ‘화평전업사’를 열고 미군 PX의 라디오 수리점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1958년 공채 수석으로 금성사(현 LG전자)에 입사해 ‘국산 라디오 1호’(금성 A-501)의 설계와 생산을 책임졌다. 그때부터 1969년까지 ‘국산 TV 1호’ 설계 등 금성사의 신제품 개발을 주도했으며, 거듭되는 실패 속에 부품 국산화를 통한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큰 획을 그어나갔다. 1960~70년대 성장가도에 오른 한국 전자산업사의 중대한 고비마다 엔지니어 김해수의 발자취가 새겨졌다. 80년대 격동하는 민주화운동의 파고 속에 딸과 사위(박노해 시인), 아들이 구속되는 고난을 겪었으며, 1987년 일본인 사업가의 도움으로 (주)신기상역을 개업해 말년까지 전자산업의 현역으로 일했다. 2005년 8월, 83년의 생애를 마감하고 타계했다.

저자 : 김진주 (엮음)

엮은이 김진주는 1955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라디오 한번 듣기 위해 줄을 서던 시절, 엔지니어 아버지가 만든 국산 1호 라디오를 친구 삼아 자랐다. 고명딸로 부모로부터 사랑을 독차지하며 유복한 유년시절을 보냈고 초등학교 시절에 서울로 올라왔다. 1978년 이화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한 후, 백병원 약사로 근무하던 중 경동교회 청년부를 통해 민주화운동에 합류했다. 당시 노동운동을 이끌기 시작한 노동자 박기평(박노해 시인)을 만나 노동운동에 투신하게 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에게 훈장을 받은 산업화의 주역인 아버지와 갈등을 겪으며 민주투사가 되어갔다. 5년간 구로공단 봉제공장에서 미싱사로 일하며 서노련(서울노동운동연합)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82년 명동성당에서 박기평과 결혼하고 1984년 시집 『노동의 새벽』의 탄생을 지켜보았다. 1989년부터 사노맹(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중앙위원으로서 월간 『노동해방문학』의 주요 필진으로 활동하다 군사정권에 의해 수배되었다. 1991년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당하고 4년 동안 양심수로 옥고를 치뤘다. 1998년 박노해 시인이 8.15 특사로 풀려날 때까지 석방운동에 주력했고 2000년부터 비영리사회단체 나눔문화(www.nanum.com)의 기획위원으로 활동했다. 2004년 아버지 김해수가 노환과 지병으로 고통 받던 중, 아버지의 시대와 생애를 기억하기 위해 매주 육필원고를 받아 기록해왔으며 2007년 『아버지의 라듸오』를 펴냈다. 현재는 아버지의 위패를 모신 경상남도 거제에서 약사로 일하며 대체의학을 연구하고 있다. 

도서소개

1959년, 최초의 국산 라디오(금성 A-501, 등록문화재 제559-2호)를 만들어 대한민국 전자산업의 새벽을 연 엔지니어 김해수(金海洙, 1923-2005). 김해수에게 라디오는 운명과도 같았다. 그는 14살에 일본 도쿄에서 유학하여 이불 속에 숨어서 라디오 기술을 배웠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관리들도 탐내던 탁월한 엔지니어였고, 해방 직후에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첩첩산중에 불을 밝히며 ‘전기 의사’라 불리던 고향마을 스타였다. 『아버지의 라듸오(아버지의 라디오)』는 대한민국 전자산업의 새벽을 연 엔지니어 고 김해수의 일대기를 담은 책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