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분야에서 연구방법론을 강의하면서 보건의료 연구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교재를 접할 수 없었다. 「Introduction to Health Research Methods-A Practical Guide」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처음으로 연구를 접하는 보건의료 분야 전공자들에게 연구과정 전반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교재로 생각하여 「보건의료 연구방법론」을 번역하였다.
「보건의료 연구방법론」은 보건의료 연구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연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 책은 연구과정에 대한 실용적인 단계별 안내서이다. ...
더보기
보건의료 분야에서 연구방법론을 강의하면서 보건의료 연구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교재를 접할 수 없었다. 「Introduction to Health Research Methods-A Practical Guide」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처음으로 연구를 접하는 보건의료 분야 전공자들에게 연구과정 전반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교재로 생각하여 「보건의료 연구방법론」을 번역하였다.
「보건의료 연구방법론」은 보건의료 연구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연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 책은 연구과정에 대한 실용적인 단계별 안내서이다.
이 책에서는 보건의료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 따라야 하는 연구과정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일반적인 토픽 선정, 문헌고찰을 통한 연구 목표와 연구 목적 수립 등 연구 문제를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연구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 절에서 보건의료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구방법인 단면적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 등 관찰 연구, 실험 연구와 기존 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 단계는 상세한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연구제안서와 프로토콜을 어떻게 개발할 것이며, 1차, 2차, 3차 연구에서 누구를 대상으로 어떻게 자료를 수집할 것인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보건의료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연구 윤리에 대하여도 논의하고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전 단계에서 수립한 자료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기술통계량, 비교 통계량과 고급 보건의료 통계량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연구과정의 마지막 단계는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와 출판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 절에서는 원고 작성 및 수정과 연구 결과물 보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보건의료 연구는 세심한 주의와 인내가 요구되는 과정이다. 이 책에서 설명하는 연구과정 단계에 따라 연구의 틀을 잡고 연구를 수행한다면 어렵지 않게 연구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준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이 책이 출판될 수 있도록 애써 주신 군자출판사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2015 3
역자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