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 관하여
이 책은 스포츠, 댄스, 운동에 중심이 되는 주요한 골격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빠르게 참고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각 근육 부위는 참고하기 쉽도록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 근육의 기시부, 종지부, 작용 등을 포함한 상세한 설명들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며, 움직임 치료(movement therapy)와 움직임 예술(movement arts), 그리고 신체작용(전문적인 테크닉을 사용하여 신체를 치료하기 위해 만지거나 조작하는 행위. 예를 들면, 필라티스)의 전문가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더보기
이 책에 관하여
이 책은 스포츠, 댄스, 운동에 중심이 되는 주요한 골격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빠르게 참고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각 근육 부위는 참고하기 쉽도록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 근육의 기시부, 종지부, 작용 등을 포함한 상세한 설명들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며, 움직임 치료(movement therapy)와 움직임 예술(movement arts), 그리고 신체작용(전문적인 테크닉을 사용하여 신체를 치료하기 위해 만지거나 조작하는 행위. 예를 들면, 필라티스)의 전문가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기술적 용어들은 더욱 정확하고 구체적이며 친근하게 표현되었다. 기술적 용어들은 괄호 안에 설명되었으며 각 근육에 관련된 정보들은 독특한 스타일로 기술되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머리글은 진하게 표현된다(어떤 근육들은 약자로 표시되기도 하였다).
말초신경공급(Peripheral nerve supply)에 관한 정리
신경계 구성(Nervous system comprises)
중추신경계(뇌와 척수, central nervous system-brain and spinal cord))
말초신경계(뇌와 척수를 제외한 모든 신경구조로 자율신경계도 포함됨, peripharal nervous system-autonomic nervous system)
말초신경계는 12쌍의 뇌신경과 31쌍의 척수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이들의 이차 신경지와 함께). 척수신경은 신경이 나오는 척수수준에 따라 번호가 매겨진다(수준은 척수분절로 알려져 있다).
말초신경계 공급에 대해서는 이 책에서 각 근육들에 나열되어 나와 있다. 그러나 신경섬유가 나오는 척수분절에 관한 정보들은 여러 문헌에 따라 간혹 다르다. 이유는 해부학자들이 신경섬유총을 통과하는 서로 다른 신경섬유들이 뒤엉켜 각각의 섬유들의 경로를 정확히 추적하는것이 어렵기 때문이다(신경총=신경망: 라틴어로 ‘노끈(braid)’에서 유래). 그러므로 그러한 정보들은 신체의 해부를 통해서보다는 임상적 관찰의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경우가 많다.
가능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저자는 Florence Peterson Kendall과 Elizabeth Kendall McCreary에 의해 고안된 방법을 사용하였다(참고문헌을 보시오: Muscle Testing and Function). Kendall과 McCreary는 잘 알려진 여섯 개의 해부학 교과서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였다. 즉, Cunningham, deJon, Foerster와 Bumke, Gray, Haymaker와 Woodhall 그리고 Spalteholz에 의해 쓰여진 정보를 통합하였다. Kendall과 McCreary에 의해 만들어진 방법과 똑같은 방법으로 정보를 비교 참조하여, 각 근육에 가장 중요한 신경근을 강조하는 체계가 이 책에서 채택되었다.
심부 요골신경, 5, 6, (7)번 경수에 의해 지배를 받는(C5, 6, 7), 회외근(supinator)을 예를 들어보자. 관련된 척수분절은 문자〔C〕와 숫자 5, 6, (7)로 나타내어진다. 대부분이(적어도 다섯 개 책에서) 인정되는 숫자는 굵게〔예를 들어, 6〕으로 나타내었다. 굵지 않은 숫자〔예를 들어, 5〕는 3~4가지 참고서적에서 인정되는 것을 반영하였다. 굵지도 않으며 괄호 안의 숫자로 나타낸 〔예를 들어, (7)〕은 두 가지 참고서적에서 인정을 받거나 둘 이상의 서적에서 아주 최소의 신경공급을 받는 것으로 특별히 언급된 경우이다. 척수분절이 단 한 가지 책에서 언급되었다면 무시되었다. 그러므로 굵은 숫자는 주요 신경지배를 나타내며, 굵지 않은 숫자는 비교적 중요치 않은 신경지배를 나타내고, 괄호 안의 숫자는 신경지배의 가능성 또는 드문 신경지배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