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6급 문제집은 일차적으로 초등 학교용 사회 교과서 내용을 우선적으로 하여 50%정도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사가 독립 교과가 아닌 사회 교과서 중에 한 학기용으로 배우기에 내용이 워낙 빈약하다고
판단합니다.
2. 이를 보완하기 위해 중학교 교과서와 시중에 나와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펴낸 다양한
역사관련 서적을 참조하여 나머지 50%정도를 만들었습니다. 특히 근.현대사 부분도 많이 다루면서
초등학교 과정에서 무리가 아닌가 스스로에게 묻기도 해보았습니다. 어차피 고득점과 관련된 문제가
주안점이라면 차라리 장점이 될 수도 있겠다 싶어 그냥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3. 작업하면서 가장 애먹었던 부분이 초등 학생들이 눈높이에 맞추는 일이었습니다.문제 내용보다는 구사하는
용어나 대화나 생활을 보여주는 그림(삽화)들을 통한 다양한 문제 형식이었습니다.그리하여 용어등도 다듬고,
무엇보다도 삽화 그림들을 보다 많이 개발하여 다양한 역사 이해에 힘썼습니다.
4.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담당하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제시한 '초등 학교 학습 수준의 역사 기본 지식,
역사 상식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가장 근접한 문제들로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몇 차례 실시하는 가운데 나타난 시행착오를 극복해 나가면서 변화되는 문제의 형식이나 내용을
따라 잡고자 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