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조경재료산업은 양적·질적으로 크게 발전해 왔다. 아울러 신소재 개발 및 제품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뛰어난 성능과 특화된 기능을 가진 조경재료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조경재료는 외부공간을 창출하는 결정적 매체로 조경 분야에서 이루어진 많은 학술적 연구와 신기술은 조경재료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학문적 연구와 산업적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및 실무에서 조경재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 책은 조경을 배우는 학생들과 실무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
더보기
조경산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조경재료산업은 양적·질적으로 크게 발전해 왔다. 아울러 신소재 개발 및 제품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뛰어난 성능과 특화된 기능을 가진 조경재료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조경재료는 외부공간을 창출하는 결정적 매체로 조경 분야에서 이루어진 많은 학술적 연구와 신기술은 조경재료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학문적 연구와 산업적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및 실무에서 조경재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 책은 조경을 배우는 학생들과 실무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경재료와 관련된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만든 교과서이다. 이 책에서는 지금까지 재료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다루었던 과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조경의 특성인 미학적이고 친환경적 측면을 보완하여 조경재료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다양한 적용 사례를 사진으로 제시하여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 책을 통하여 조경재료학의 이론적 지식을 배우고, 조경재료 실무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실무 분야의 전문가들이 조경재료를 이해하고 신제품 개발 및 생산, 설계, 시공을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세 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 ‘조경재료 일반’에서는 조경재료 대한 이해 및 접근방법, 조경재료산업의 현황 및 관련 제도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며, 조경재료를 과학적 측면, 미학적 측면, 친환경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제2편 ‘조경재료별 특성’에서는 목재, 석재, 금속재, 콘크리트, 점토, 합성수지, 유리, 도료 등 대표적인 재료를 소개하고 있는데, 각각의 특성, 생산과정, 공법, 관련제품 등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제3편 ‘조경재료의 응용’에서는 조경 분야의 대표적 제품인 조경수목과 부대시설, 조경포장, 어린이놀이시설, 인공지반녹화, 생태환경복원 등과 관련하여 각각의 특성 및 기준, 그리고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