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시된 출전을 밝히고자 했습니다.
질문하기 위해 언급한 제시문의 형태는 다양합니다. 사료(史料)와 문화재의 비중이 크지만 지도, 도표, 통계
등도 많이 인용되어 있지요. 이들의 출전을 정확히 밝혀 수험 준비자는 물론, 지도하시는 교사분이나 관련
전공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2. 정확하고 객관적인 해설을 하고자 했습니다.
기출문제를 풀어 봄으로써 기본적으로 문제의 유형과 난이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답 확인에만 연연하지
않고 다른 지문은 왜 틀렸는지 그 오답들도 동일한 비중으로 해설 하였습니다. 그러하기에 오답 풀이를
강조하여 1문제를 풀면서 5문제의 지식을 도모하고자 하였습니다.
3. 충실한 이해를 위해 [심화정리]를 마련하였습니다.
기출문제는 한편으로는 확률높은 예상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런 점에 주목하여 해설과 더불어 분류사, 배경지식
등 그와 관련된 지식을 모아 [심화정리]를 따로 마련하였습니다. 이는 충분히 상당한 수준의 이론서적을
병행하는 효과도 가져올 것입니다.
4. 역사학계의 최근의 연구 성과를 언급하였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다양한 역사 전공자들로부터 의뢰받거나 공모하여 선별한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하다 보니 전공학자의 관심 분야, 자신의 연고와 관련된 특정지역, 최근 일본.중국과의 갈등을 야기한
역사쟁점, 발굴 성과를 반영하여 때맞춰 열린 특별 기획전을 반영한 문제들이 많이 보이더군요. 이를 일일이
찾아서 충실한 자료집으로 남기고자 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