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총서 『지속의 문턱에서』 시리즈 전 3권 발간
지속가능성을 사유하는 인간학적 성찰의 집적, 인문사회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는 인성교육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중심축으로 한 총서 『지속의 문턱에서』 전 3권을 발간하였다. 본 총서는 2019년부터 6년에 걸쳐 진행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교육연계형)의 종합적 성과로, 인간학과 교육학, 생태·신학·문화 연구를 가로지르는 융복합 담론의 결정체다.
1978년 설립 이래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을 축으로 학술·교육·사회 실천을 모색해 온 인간학연구소는, 47주년을 맞이한 올해 “지속가능한 인간학”이라는 기조 아래 그 지적 지형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총서는 특히 연구소가 주도해 온 <경계 인성교육>과 <SDGs 인성교육> 모델의 철학적 근거와 실천적 설계를 종합하며, 교육·사회·환경을 아우르는 인간학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다.
“우리는 지금 기후위기, 불평등, 생태 파괴와 공동체의 해체라는 복합적 위기 앞에 서 있다. 이 위기들은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삶과 관계, 가치의 문제이며, 무엇을 지속하고 누구와 함께할지를 묻는 윤리적 질문이다. 이 총서는 그 질문에 응답하기 위한 신앙과 실천, 사유와 기록의 여정으로 기획되었다.”
교육·정책·실천이 교차하는 학제 간 전략의 제안
지속가능발전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과 정의의 문제이다. 기후변화, 불평등, 자원 고갈, 문화 소외, 도시 붕괴 등 인류가 직면한 복합적 위기는 단일 해법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사회 각 부문과 세대 간의 연대, 그리고 새로운 인식과 실천이 요구된다.
이 책에 담긴 글들은 문화연구자, 정책기획자, 교육실천가 등 각기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이론적 고찰을 넘어 SDGs의 여러 주제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실천적 통찰을 통해 연대의 청사진을 제시한 결과물이다. 콜렉티브 임팩트, 윤리적 소비, 다문화 공존, 도시 공간의 재구성, 공론장 형성 등 현재성과 구체성을 기반으로 한 글들이 수록되었으며, 이는 교육·사회 변화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실천적 기획으로 기능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이 결코 거창하거나 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현실임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될 것이다. 지속가능성은 정답이 아니라 과정이다. 각자의 위치에서 할 수 있는 고민과 시도, 연대와 성찰이 모일 때 비로소 그 과정은 더 큰 의미를 가진다. 이 책이 독자들에게 그 여정의 나침반이 되어 더 나은 세계를 향한 사유의 전환점이자, 실천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