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을 연상시킨다. 성장소설의 모던 클래식.”
★『더 북셀러 The Bookseller』★
“유머러스하면서 동시에 심오하다.”
★『더 선데이 타임스 The Sunday Times』★
“『스탠 바이 미』 이후 소년들에 관한 가장 멋진 이야기!”
★아마존 독자★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만나는 타조 소년들
2016년 제철소에서 펴낸 키스 그레이의 장편소설 『타조 소년들』이 국내 창작 뮤지컬 공연에 맞춰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영국 작가 키스 그레이는 이십대 초반에 펴낸 첫 장편소설 『Creepers』(1996)가 영국 Guardian Fiction Prize 최종 후보에 오르면서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로도 발표하는 작품마다 각종 문학상을 휩쓸며 대중과 평단의 찬사를 한몸에 받았다.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타조 소년들』은 죽은 친구의 유골 항아리를 훔쳐 여행을 떠난 세 영국 소년이 우여곡절을 겪으며 인생의 죽음과 상실을 가슴 깊이 끌어안고 진정한 자아와 만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가는 이 의미심장한 이야기에 ‘모험’이라는 강력한 엔진을 장착해 속도감을 높인다. 마치 세 소년과 함께 스쿠터를 타고 달리는 듯한 빠른 전개가 돋보인다. 개성 넘치는 캐릭터와 탄탄한 서사, 묵직한 메시지가 훌륭하게 조화를 이뤄 영국에서 출간 당시 큰 인기를 끌었다. 작가는 한 온라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소년들을 위해 쓰인 책들은 스파이, 총싸움, 우주여행 등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십대 남자로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에 관해 이야기하는 책은 거의 없다. 나는 그 간극을 메워보려고 한다”라고 집필 의도를 밝힌 바 있다.
로스를 로스로!
불의의 사고로 절친 로스를 잃은 블레이크와 심, 케니는 장례식이 ‘로스답지’ 않았다는 사실에 분개한다. 그들은 살아 있을 때 로스에게 고통만 안겨주었던 가족, 선생, 친구 들을 뺀, 오로지 자신들만의 장례식을 계획한다. 평생 기억에 남을 만한 이벤트를 고심하던 세 친구는 로스가 오래 전부터 입버릇처럼 말하던 스코틀랜드의 작은 바닷가 마을 ‘로스’를 생각해낸다. 로스는 자신의 이름과 같은 ‘로스’에 간다면 비로소 ‘진짜 로스’가 될 거라고 입버릇처럼 말하곤 했다. 그들은 로스의 유골 항아리를 몰래 ‘납치’하여 ‘로스’로 데려가자는 계획을 곧장 실행에 옮긴다.
자그마치 400킬로미터가 넘는 먼 길 위에서 세 소년은 돈을 벌기 위해 번지점프를 하거나 허허벌판에 우뚝 선 유령의 집에 들어가 하룻밤을 지내는 등 평소엔 할 수 없는 모험과 일탈을 감행한다. 또 수상한 청년들을 만나 택시를 얻어 타기도 하고, 기차에서 만난 또래 여자아이들과 야릇한 로맨스를 꿈꾸기도 한다. 그러는 동안 그들은 로스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에 한 걸음씩 가까이 다가간다. 그리고 결국 끝끝내 외면하고 싶었던 자신들의 또 다른 모습과 마주한다.
소설 후반부에 맞닥뜨리는 진실의 실체는 비단 그들만의 것이 아니다. 세 소년이 타조처럼 모래 속에 고개를 처박고 있었음을 인정하는 대목은 우리에게 “나는 누구인가”라는 또 다른 질문을 던진다. 작가가 스스로 밝혔듯 『타조 소년들』은 성장에 관한 소설이다. 작가는 이제 더는 아이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어른으로 다 자란 것도 아닌 우리에게 소년들과 여행길에 오르지 않겠냐고 제안한다. 죽음, 우정, 관계, 죄책감 등을 유골 항아리와 함께 배낭 안에 집어넣고서.
타조, 마침내 고개를 들다!
‘성장’은 십대의 전유물이 아니다. 스스로 아직 완전히 자라지 못했다고 믿는 어른들에게도 여전히 주효한 삶의 명제이다. 특히 청소년기를 입시 준비로 보낸 한국 청년들에게 성장에 대한 고민은 현재진행형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자아와 정체성을 본격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청소년기 이후인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블레이크, 심, 케니 그리고 로스 가운데 한 사람에게 자신의 모습을 투영할 것이다. 이렇듯 『타조 소년들』은 과감한 스토리텔링으로 모험담이 주는 서사적 재미를 충분히 살리면서도 순간순간의 성찰 또한 놓치지 않는다. 자기 자신을 온전하게 바라보는 일이야말로 여행과 모험이 주는 가장 큰 선물이 아닐까.
성장문학으로서의 『타조 소년들』이 지닌 큰 미덕은 읽는 이로 하여금 지나온 시간을 복기하고 성찰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은 비단 특정한 시기의 문제가 아니라 인생 전체를 관통한다. 성장소설은 말 그대로 ‘성장하고 있는’ 이들을 위한 것이다. 좋은 성장문학은 청소년만을 위한 문학이 아니라는 지극히 당연한 명제를 이 책은 보여준다.